KR200228118Y1 - A carrier with head-rest - Google Patents

A carrier with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18Y1
KR200228118Y1 KR2020010000758U KR20010000758U KR200228118Y1 KR 200228118 Y1 KR200228118 Y1 KR 200228118Y1 KR 2020010000758 U KR2020010000758 U KR 2020010000758U KR 20010000758 U KR20010000758 U KR 20010000758U KR 200228118 Y1 KR200228118 Y1 KR 200228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arrier
cushion foam
cush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7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은아이
Priority to KR2020010000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1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18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를 어깨에 짊어지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에 있어 베이비시트에 앉은 유아의 머리 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추가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in which a headrest is added to prevent the head of the infant sitting on the baby seat in the carrier for carrying the infant on the should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프레임에 결착된 베이비시트를 갖는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시트의 등받이부에 유아의 머리 굴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arrier having a baby seat bound to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rest is further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roll of the infant to the back of the baby seat do.

본 고안은 상기 헤드레스트가, 양측으로 나누어진 대략 반원형의 쿠션폼, 이들 쿠션폼을 감싸서 일체로 연결하는 쿠션폼 외피로 구성한 것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headrest is composed of a cushion semi-circular cushion foam divided into two sides, a cushion foam shell which wraps and connects these cushion foams integrally.

본 고안은 상기 쿠션폼 외피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고,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를 등받이부의 상단 중앙에 연결시켜 놓은 연결밴드의 삽입구멍에 삽입,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쿠션폼 외피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되,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의 배면과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 중앙면에 각기 한쌍의 벨크로테잎을 부착시켜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flat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and allows the flat cushion foam shell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on b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latten 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but a pair of velcro tapes ar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at cushion foam shell and the upper cen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headrest portion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back portion. It also provides wha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Description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A carrier with head-rest}A carrier with head-rest

본 고안은 유아를 어깨에 짊어지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리어의 베이비시트에 앉은 유아의 머리 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추가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for carrying an infant on a shou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rier in which a headrest is added to prevent the head of an infant sitting on a baby seat of the carrier.

유아를 등산이나 그 밖의 용도인 운반용으로 사용할 경우 필요한 것이 캐리어(carrier)이다. 캐리어는 유아를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 안전성, 운반자의 견착편리성, 운반편리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Carriers are needed when infants are used for mountain climbing or other purposes. The carrier is intended to carry the infant, and must have infant safety, carrying convenience, and carrying convenience.

캐리어는 사람이 운반하는 관계로 보행에 따라 어느 정도 흔들릴 수밖에 없고, 여기에 유아의 머리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중심이 맞지 않아 운반자의 자세가 불편해지고 유아 또한 중심을 쉽게 잃게 된다. 이렇게 되면 캐리어의 운반자 및 유아 또한 쉽게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는 소비자의 불만 사항이 아닐 수 없다.Because the carrier is carried by a person, it can not be shaken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walking, and if the head of the infant is inclined to one side, the carrier is not centered, so the carrier's posture becomes uncomfortable, and the infant also loses its center easily. This makes carriers and infants of the carriers also easily fatigued, which is a consumer complaint.

이는 종래 캐리어의 베이비시트의 구조 및 그 작용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다.This can be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aby seat of the conventional carrier.

도 1에 종래 캐리어(5)의 베이비시트(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structure of a baby seat 20 of a conventional carrier 5.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비시트(20)는 캐리어 프레임(1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어깨밴드(21), 2개의 다리삽입공(23a)을 갖는 시트부(23) 및 시트부(23) 배후에 연장된 등받이부(24) 및 허리보호대(도시안됨)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the baby seat 20 is mounted to the carrier frame 10, and extends behind the seat portion 23 and the seat portion 23 having the shoulder band 21, the two leg insertion holes 23a. Back 24, and waist protector (not shown).

유아를 캐리어에 태우고자 할 경우, 시트부(23)에 유아를 올려놓고 다리를 다리삽입공(23a)에 삽입시켜 놓은 후 허리보호대에 연결된 연결밴드를 고정한다.When the infant is to be put on the carrier, the infant is placed on the seat 23, the leg is inserted into the leg insertion hole 23a, and the connection band connected to the waist protector is fixed.

이렇게 되면 유아의 하중은 시트부(23) 및 등받이부(24)로 지지된다. 여기서 등받이부(24)를 좀더 살펴보면 약간의 곡률을 갖지만 거의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24)에 머리를 기대게 되더라도 머리굴림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load of the infant is supported by the seat part 23 and the backrest part 24. Looking at the backrest portion 24 further has a slight curvature, but is configured almost flat. Therefore, even if the head is leaning on the backrest 24,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head from rolling.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는 쉽게 머리가 한쪽으로 굴러가기 쉽고 이로 인해 캐리어를 짊어진 운반자의 자세가 불편해지고,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을 하면 피로감이 더해지고, 유아 또한 중심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해야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fants easily roll their heads to one side, which makes the posture of the carrier carrying the carrier uncomfortable, which increases the fatigue caused by prolonged use, and the infant also has the burden of trying to center. do.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어의 베이비시트에 앉은 유아의 머리굴림을 방지하여 운반 자세를 편리하게 하고 피로감을 덜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head of the infant sitting on the baby seat of the carrier to provide a carrier having a headrest that can facilitate the carrying posture and reduce fatigue There is th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프레임에 결착된 베이비시트를 갖는 캐리어에 있어서,In the carrier having a baby seat bound to the frame,

상기 베이비시트의 등받이부에 유아의 머리굴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by se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rest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in the back of the baby seat.

본 고안은 상기 헤드레스트가, 양측으로 나누어진 대략 반원형의 쿠션폼, 이들 쿠션폼을 감싸서 일체로 연결하는 쿠션폼 외피로 구성한 것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headrest is composed of a cushion semi-circular cushion foam divided into two sides, a cushion foam shell which wraps and connects these cushion foams integrally.

본 고안은 상기 쿠션폼 외피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고,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를 등받이부의 상단 중앙에 연결시켜 놓은 연결밴드의 삽입구멍에 삽입,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flat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and allows the flat cushion foam shell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on b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또 본 고안은 상기 쿠션폼 외피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되,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의 배면과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 중앙면에 각기 한쌍의 벨크로테잎을 부착시켜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latten 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but a pair of velcro tapes ar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at cushion foam shell and the upper center surface of the back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headrest portion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back portion. It also provides wha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도 1은 종래 캐리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rrier.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시트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of the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 탈부착 수단의 변형 예시도.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headrest detachable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레임 20 : 베이비시트10: frame 20: baby seat

24 : 등받이부 50 : 헤드레스트24: backrest 50: headrest

52,53 : 쿠션폼 54 : 외피52,53: cushion foam 54: outer shell

25 : 연결밴드 25a : 삽입구멍25: connection band 25a: insertion hole

61,62 : 벨크로테잎61,62: Velcro ta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시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 탈부착 수단의 변형예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portion of the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of the line A-A of Figure 2, 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headrest detachable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프레임(10)에 결착된 베이비시트(20)를 갖는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시트(20)의 등받이(24)에 유아의 머리굴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50)가 더 구비되어 있다.In the carrier having the baby seat 20 is attached to the frame 10 as shown in Figure 2, the headrest 50 is further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to the back 24 of the baby seat 20 It is.

상기 헤드레스트(50)는, 양측으로 나누어진 대략 반원형의 쿠션폼(52,53), 이들 쿠션폼(52,53)을 감싸서 일체로 연결하는 쿠션폼 외피(54)로 구성되어 있다.The headrest 50 is composed of substantially semi-circular cushion foams 52 and 53 divided into two sides, and a cushion foam shell 54 for wrapping and connecting the cushion foams 52 and 53 integrally.

상기 쿠션폼(52,53)은 발포스폰지, 솜, 그 밖에도 약간의 쿠션기능을 갖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foams 52 and 53 may include foam sponge, cotton, and all others having a slight cushioning function.

쿠션폼(52,53)의 단면구조를 보면 도 3과 같이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외에도 원형 또는 다른 형태로 대치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ushion foam (52, 53) is approximately oval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헤드레스트(50)를 머리가 위치되는 등받이(24)측 부분에 고정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부착수단을 이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etachable means to fix the headrest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the portion of the backrest 24 where the head is located.

일실시예의 탈부착수단은, 도 2와 같이 헤드레스트(50)의 쿠션폼 외피(54)의 중간부를 재봉질하여 평탄하게 구성하고, 등받이부(24)의 상단 중앙에 헤드레스트 연결구멍(25a)을 갖는 헤드레스트 연결밴드(25)가 구비되어 있다.The detachable means of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 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54 of the headrest 50 is sewn flat, and the headrest connection hole 25a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24 The headrest connection band 25 which has is provided.

즉, 헤드레스트(50)의 쿠션폼 외피(54)가 헤드레스트 연결밴드(25)의 삽입구멍(25a)에 삽입,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부(24)에 헤드레스트(5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cushion foam shell 54 of the headrest 50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insertion hole 25a of the headrest connecting band 25 to remove the headrest 50 from the backrest 24.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다른 실시예의 탈부착수단은 도 3과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50)의 쿠션폼 외피(54)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되,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54)부의 배면과 상기 등받이(24)의 상단 중앙면에 각기 한쌍의 벨크로테잎(61,62)을 부착시켜 등받이 (24)에 헤드레스트(5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eans of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latten 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54 of the headrest 50, as shown in Figure 3,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cushion foam shell 54 and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back 24 A pair of Velcro tapes 61 and 62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respectively, so that the headrest 5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ackrest 24.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50)는 등받이(24)에 탈부착 수단을 통하지 않고 바로 헤드레스트(50)에 직접 재봉질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drest 5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directly by sewing directly to the headrest 50 without going through the detachable means to the backrest 24.

도 2와 같이 헤드레스트(50)가 구비된 캐리어에 있어 유아가 캐리어의 베이비시트(20)에 앉아서 등받이(24)에 기대게 되면 헤드레스트(50)가 머리의 양측에 놓이게 된다.In the carrier with the headrest 50 as shown in FIG. 2, the infant rests on the backrest 24 while sitting on the baby seat 20 of the carrier so that the headrest 50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head.

즉, 머리의 양측(50)으로 헤드레스트(50)가 위치됨으로서 유아의 머리가 한쪽으로 치우치려고 해도 이를 방해하는 쪽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서 쉽게 유아의 머리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eadrest 50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head 50, the head of the infan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pulled to one side by supporting the side of the infant, even if it is biased to one side.

따라서 캐리어를 짊어진 운반자도 자세가 좋아지고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유아 또한 헤드레스트(50)에 의해 머리가 편안하게 받쳐주는 느낌을 받아 안정감을 갖는다.Therefore, the carrier carrying the carrier will have a better posture and less fatigue. Infant also has a sense of stability to feel the head is comfortably supported by the headrest (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리어의 베이비 시트에 앉은 유아의 머리가 한쪽으로 쏠림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캐리어를 짊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자세가 좋아지고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되며 운반의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head of the infant sitting on the baby seat of the carrier from being pulled to one side, so that the carrier can be reliably carried, so that the user's posture is improved and the fatigue is less felt, and the comfort of carrying can be obtained. have.

Claims (4)

프레임(10)에 결착된 베이비시트(20)를 갖는 캐리어에 있어서,In the carrier having the baby seat 20 bonded to the frame 10, 상기 베이비시트(20)의 등받이부(24)에 유아의 머리굴림을 받쳐줄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Carrier having a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rest (50) is further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in the backrest (24) of the baby seat (2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헤드레스트는, 양측으로 나누어진 대략 반원형의 쿠션폼(52,53), 이들 쿠션폼(52,53)을 감싸서 일체로 연결하는 쿠션폼 외피(5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The headrest has a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ushion foam (52,53) divided into both sides, the cushion foam outer shell (54) surrounding the cushion foam (52,53) and integrally connected carri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쿠션폼 외피(54)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고,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를 등받이부(24)의 상단 중앙에 연결시켜 놓은 연결밴드(25)의 삽입구멍(25a)에 삽입,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54 is flat, and the flat cushion foam shell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insertion hole 25a of the connection band 25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24. The carrier having a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eadrest in the backres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쿠션폼 외피(54)의 중간부를 평탄하게 구성하되, 이 평탄한 쿠션폼 외피부의 배면과 상기 등받이부(24)의 상단 중앙면에 각기 한쌍의 벨크로테잎(61,62)을 부착시켜 등받이부에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캐리어.The middle portion of the cushion foam shell 54 is flat, and a pair of velcro tapes 61 and 62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cushion foam shell and the upper center surface of the backrest 24, respectively. The carrier having a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res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KR2020010000758U 2001-01-11 2001-01-11 A carrier with head-rest KR2002281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58U KR200228118Y1 (en) 2001-01-11 2001-01-11 A carrier with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58U KR200228118Y1 (en) 2001-01-11 2001-01-11 A carrier with head-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18Y1 true KR200228118Y1 (en) 2001-06-15

Family

ID=7305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58U KR200228118Y1 (en) 2001-01-11 2001-01-11 A carrier with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1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90Y1 (en) Portable neck pillow
US6139100A (en) Child&#39;s car seat with multi-positionable headrest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CN102458190B (en) Device for improved travel comfort
KR101812529B1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JP2001070107A (en) Baby carrier with pad
US6758526B2 (en) Child&#39;s headrest
KR102377913B1 (en)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JP2004181268A (en) Nursing belt and user-worn member
KR20200000890U (en) Small and lightweight foldable memory foam travel neck pillow
JP3128833U (en) Headrest cover with necklace
KR200228118Y1 (en) A carrier with head-rest
JP4716608B2 (en)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KR20210001495U (en) Sling type baby wrapper
KR20110063946A (en) Neck protection pillow
KR101955476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KR101955475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JP2003000383A (en) Seat cover
JP2002253394A (en) Baby carrier with supporting member for head
JP3725610B2 (en) Baby bag combined with waist bag
JP3523386B2 (en) Head support for infant carrier and infant carrier
KR200322104Y1 (en) A Pillow and Cushion Set for Lactation
KR200269135Y1 (en) Seat cover for automobile
CN219515885U (en) Intelligent pregnant woma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