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17Y1 -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17Y1
KR200228117Y1 KR2020010000757U KR20010000757U KR200228117Y1 KR 200228117 Y1 KR200228117 Y1 KR 200228117Y1 KR 2020010000757 U KR2020010000757 U KR 2020010000757U KR 20010000757 U KR20010000757 U KR 20010000757U KR 200228117 Y1 KR200228117 Y1 KR 200228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arrier
height
pin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은아이
Priority to KR2020010000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17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를 짊어지게 될 운반자의 상체 조건에 따라 캐리어측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10)의 메인프레임(20)측에 등받이(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20) 하단측 양단부에 상하로 복수개의 핀홀(20a)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홀(20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30)가 고정되어 높낮이 조절되기 위해 등받이의 양단부에 록킹수단(100)을 구비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메인프레임(20) 양단부에 삽입되기 위해 등받이(30)의 양단에 소정량 길게 관통된 결착공(102a)을 갖는 관형 결착부(102)와; 상기 관형 결착부(10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통된 핀안내공(104a)을 갖는 실린더부(104)와; 상기 실린더부(104)의 핀안내공(104a)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결착공(102a)내로 선단부가 소정량 노출되고 상기 핀홀(20a)과 동일직경을 갖는 록킹핀(106)을 포함하여, 상기 록킹핀(106)을 어느 하나의 핀홀(20a)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서 등받이(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A carrier back height adjusting device}
본 고안은 유아를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를 짊어지게 될 운반자의 상체 조건에 따라 캐리어측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짊어지고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는 도 1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20)과, 이 메인프레임(20)에 연결된 어깨끈(18), 시트(19) 및 등받이(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깨끈(18) 및 등받이(30)는 캐리어에 실린 유아의 하중을 운반자의 상체 및 허리측에 지지하는 부분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캐리어측 등받이의 구조 및 그 설치구조를 도 1에서 살펴보면, 등받이(30)는 약간 굽어진 호형의 등받이 프레임(31)과, 이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에 긴장되게 연결된 펠트밴드(32)와, 상기 펠트밴드(32)에 재봉된 허리밴드(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31)의 양단은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메인프레임 (20)의 하단 양단부에 삽입되어 리벳(8)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설치되는 종래의 등받이(30)는 메인프레임(20)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등받이의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즉, 캐리어를 짊어지게 될 사용자의 상체조건에 따라 등받이의 위치가 허리측 위로 또는 허리측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이의 조절을 못함으로서 자세가 불편해지고, 이로 인해 불편한 자세로는 오랫동안 캐리어를 짊어질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어를 짊어지게 될 운반자의 상체 조건에 따라 캐리어측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캐리어의 메인프레임측에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메인프레임 하단측 양단부에 상하로 복수개의 핀홀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가 고정되어 높낮이 조절되기 위해 등받이의 양단부에 록킹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메인프레임 양단부에 삽입되기 위해 등받이의 양단에 소정량 길게 관통된 결착공을 갖는 관형 결착부와;
상기 관형 결착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통된 핀안내공을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핀안내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결착공내로 선단부가 소정량 노출되고 상기 핀홀과 동일직경을 갖는 록킹을 포함하여,
상기 록킹핀을 어느 하나의 핀홀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서 등받이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캐리어의 사시도 및 등받이 고정부의 단면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조립된 등받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메인프레임 20a : 핀홀
30 : 등받이 102 : 관형 결착부
102a : 결착공 104 : 실린더부
104a : 핀안내공 106 : 록킹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조립된 등받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리어의 메인프레임(20)측 하단에 설치된 등받이(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메인프레임(20)측에는 복수개의 핀홀 (2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홀(20a)에 등받이(30)를 고정시키기 위해 등받이(30)의 양단에는 각기 록킹수단(10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핀홀(20a)은 일정간격을 두고 3개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등받이(30)는 상,중,하단으로 조절된다.
등받이(30)의 양쪽 모두 2개의 록킹수단은 같은 구성으로서 어느 하나의 록킹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메인프레임(20) 양단부에 삽입되기 위해 등받이(30)의 양단에 소정량 길게 관통된 결착공(102a)을 갖는 관형 결착부(102)와, 상기 관형 결착부(10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통된 핀안내공(104a)을 갖는 실린더부(104)와, 상기 실린더부(104)의 핀안내공(104a)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105)력에 의해 상기 결착공(102a)내로 선단부가 소정량 노출되고 상기 핀홀(20a)과 동일직경의 록킹핀(10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핀(106)에는 록킹핀(106)을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107)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07)을 잡아당김하면 스프링(105)이 압축되고 록킹핀(106)의 선단부가 메인프레임(20) 단부의 핀홀(20a)로부터 빠지고, 다시 핸들(107)을 놓으면 스프링(10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록킹핀(106)의 선단부가 핀홀(20a)내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등받이(30)를 메인프레임(20)측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등받이(30)의 결착공(102a)을 메인프레임(20)의 말단부에 갖다 데고 양측 핸들(107)을 손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메인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록킹핀(106)이 메인프레임(2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된다.
다음, 원하는 고정위치에서 잡고 있던 핸들(107)을 놓으면 스프링(105)력에 의해 록킹핀(106)이 해당하는 위치의 상,중,하단측의 어느 하나의 핀홀(20a)에 끼워 맞춤된다.
예를 들어, 상체가 긴 경우는 록킹핀(106)을 최하단측 핀홀(20a)에 고정하고 상체가 짧은 경우는 최 상단측 핀홀(20a)에 고정하면 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중간측 핀홀(20a)을 사용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상체의 조건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등받이(30)를 고정할 수 있어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등받이가 취부되는 캐리어측에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캐리어를 짊어지게 될 사용자의 상체조건에 따라 등받이의 위치가 허리측 위로 또는 허리측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 운반 자세가 좋아지고 오랫동안 짊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캐리어(10)의 메인프레임(20)측에 등받이(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메인프레임(20) 하단측 양단부에 상하로 복수개의 핀홀(20a)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홀(20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30)가 고정되어 높낮이 조절되기 위해 등받이의 양단부에 록킹수단(100)을 구비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메인프레임(20) 양단부에 삽입되기 위해 등받이(30)의 양단에 소정량 길게 관통된 결착공(102a)을 갖는 관형 결착부(102)와;
    상기 관형 결착부(10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통된 핀안내공(104a)을 갖는 실린더부(104)와;
    상기 실린더부(104)의 핀안내공(104a)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결착공(102a)내로 선단부가 소정량 노출되고 상기 핀홀(20a)과 동일직경을 갖는 록킹핀(106)을 포함하여,
    상기 록킹핀(106)을 어느 하나의 핀홀(20a)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서 등받이 (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10000757U 2001-01-11 2001-01-11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28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57U KR200228117Y1 (ko) 2001-01-11 2001-01-11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57U KR200228117Y1 (ko) 2001-01-11 2001-01-11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17Y1 true KR200228117Y1 (ko) 2001-06-15

Family

ID=7306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57U KR200228117Y1 (ko) 2001-01-11 2001-01-11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74B1 (ko) 2010-12-17 2013-03-18 김삼생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74B1 (ko) 2010-12-17 2013-03-18 김삼생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813A (en) Foldable chair
KR101511802B1 (ko) 시트 벨트의 유지구조
EP1784094B1 (en) Helmet ear loop
EP0229699A2 (en) Harness
US7971908B2 (en) Guide assembly for a safety belt
EP0350841A2 (en) Load support, in particular, backpack
WO2005122833A3 (en) Backrest and adjustable arm for a chair
US5443304A (en) Restraint free ambulation device
EP0704183A2 (en) Baby carrier
US5135283A (en) Head rest extension
GB2366514A (en) Baby seat with adjustable gripping arrangement, mountable onto grippable objects, such as a table edges, of variable thickness
KR200228117Y1 (ko) 캐리어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장치
US5669671A (en) Support harness for a person seated in a chair
US8770348B2 (en) Universal adjustable sling type seat
EP1642803A1 (en) Seat with seat belt capable of holding baby with simple structure
JP3073766U (ja) 背負いバッグを利用した子守帯
KR101982785B1 (ko) 팔 지지 기구
KR101930830B1 (ko) 환자용 팔걸이
KR0129421B1 (ko) 압박감을 해소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
US5746448A (en) Seat belt holder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KR200203275Y1 (ko) 풀 타입 리클라이너를 갖는 점프형 시트
KR100461829B1 (ko) 차량 시트벨트 텅의 위치조절장치
JPH0856729A (ja) ランドセルの肩掛ベルト取付具
US5873632A (en) Pillow and backrest of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