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81Y1 -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81Y1
KR200227981Y1 KR2020010002008U KR20010002008U KR200227981Y1 KR 200227981 Y1 KR200227981 Y1 KR 200227981Y1 KR 2020010002008 U KR2020010002008 U KR 2020010002008U KR 20010002008 U KR20010002008 U KR 20010002008U KR 200227981 Y1 KR200227981 Y1 KR 200227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elephone
extended
variab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2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8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가변성 받침대는 전화기의 받침대에 있어서, 전화기 받침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401); 상기 받침대 몸체 바닥에 바닥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스토퍼(S); 상기 받침대 몸체(401) 선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대칭성 가이드 레일(403)에 의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확장 받침대 부분(402); 상기 가이드 레일(40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S)가 수용되는 가이드 개구(404); 상기 가이드 개구(404)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의 정지힘을 제공하기 위한 원형 개구(405); 및 상기 원형 개구(405)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 보조 개구(40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VARIABLE BOTTOM SUPPORT FOR TELEPHONE}
본 고안은 전화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성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든 전자제품 특히, 휴대용이 아니라 탁상용 등과 같이 제품의 안정감을 제공해야 하는 전자제품은 받침대를 구비한다. 이러한 안정감을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제품이 넘어지거나, 사용 중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바닥부분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자제품 중, 전화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전화기 본체에 거치되는 핸드셋 및 전화기 본체와 핸드셋을 연결하여주는 콜 코드로 구성된다. 이때, 전화기 본체를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하여주는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기도 하며,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전화기는 경사진 상태의 전화기 본체에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받침대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물론, 받침대가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록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받침구조는 제품의 부피를 확장시킴으로서, 물류 비용의 증가와 제품의 원가 절감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부피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안정감을 제공하여 물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성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기의 받침대에 있어서,
전화기 받침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401);
상기 받침대 몸체 바닥에 바닥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스토퍼(S);
상기 받침대 몸체(401) 선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대칭성 가이드 레일(403)에 의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확장 받침대 부분(402);
상기 가이드 레일(40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S)가 수용되는 가이드 개구(404);
상기 가이드 개구(404)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의 정지힘을 제공하기 위한 원형 개구(405); 및
상기 원형 개구(405)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 보조 개구(406)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닫힌 상태의 가변성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열린 상태의 가변성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성 받침대의 정지 수단을 나타내는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닫힌 상태의 가변성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열린 상태의 가변성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10)와, 상기 전화기 본체(10)가 놓인 거치대(30)와, 상기 거치대(30)의 일측에 거치되는 핸드셋(20)과, 상기 거치대(3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받침 정도가 가변되는 가변성 받침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언급된 '가변성'이란 받침대의 받침 정도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상기 가변성 받침대(40)는 확장 받침대 부분(402)이 받침대 몸체(40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이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에는 받침 정도가 최대가 되고,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이 후방으로 완전이 이동하여 받침대 몸체)401)에 수용된 경우에는 받침 정도가 최소가 된다. 즉, 상기 전화기가 탁상에 놓인 경우,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을 완전히 받침대 몸체(401)에서 인출시켜 받침 정도를 최대로 하고, 포장에 포장된 경우 등에는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을 완전히 받침대 몸체(401)에서 수용시켜서 받침 정도를 최소로 하고, 포장에 포장되어 포장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서 물류 비용을 최소화한다.
상기 가변성 받침대(40)는 크게 받침대 몸체(401)와, 상기 받침대 몸체(401)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확장 받침대 부분(402)과,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을 받침대 몸체(401)에서 전후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403)과,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을 완전히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변성 받침대(40)의 정지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변성 정지 수단은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이 받침대 몸체에서 완전히 인출된 경우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수단을 의미하고, 상기 선방 부분이 받침대 몸체에서 완전히 수용된 경우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정지 수단은 확장 받침대 부분 바닥쪽으로 구비되어 확장 받침대 부분(402)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개구(404)와, 상기 가이드 개구(404)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 개구(404)의 양단에 결합되는 스토퍼(S)와, 상기 가이드 개구(404)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S)가 결합되어짐으로서 정지힘을 제공하는 원형 개구(4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개구(405) 둘레로 탄성 제공을 부가하기 위한 보조 개구(406)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S)가 원형 개구(405)에 안착되면,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은 정지되는 힘을 받게 된다. 물론, 상기 보조 개구(406)는 상기 스토퍼(S)가 원형 개구(405)에서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이 원할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 받침대를 가변성 받침대로 구현함으로써, 탁상에 놓인 경우에는 확장 받침대 부분을 받침대 몸체에서 완전히 인출시켜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하고, 포장지에 포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을 받침대 몸체에서 완전히 인입시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한다.

Claims (1)

  1. 전화기의 받침대에 있어서,
    전화기 받침에 구비된 받침대 몸체(401);
    상기 받침대 몸체 바닥에 바닥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스토퍼(S);
    상기 받침대 몸체(401) 선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대칭성 가이드 레일(403)에 의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확장 받침대 부분(402);
    상기 가이드 레일(40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S)가 수용되는 가이드 개구(404);
    상기 가이드 개구(404)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확장 받침대 부분(402)의 정지힘을 제공하기 위한 원형 개구(405); 및
    상기 원형 개구(405)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 보조 개구(406)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성 받침대.
KR2020010002008U 2001-01-29 2001-01-29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KR200227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08U KR200227981Y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08U KR200227981Y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81Y1 true KR200227981Y1 (ko) 2001-06-15

Family

ID=7306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008U KR200227981Y1 (ko) 2001-01-29 2001-01-29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27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se
KR101517775B1 (ko)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US20020020789A1 (en) Holding apparatus for information input devices
WO2003049575A8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keyboard
KR101906040B1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KR20220108088A (ko) 다목적 작업 표면을 갖는 작업 스테이션
US6508451B1 (en) Accessory support apparatus for hand held device
US4710596A (en) Telephone unit adapte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mounting
AU2002252986A1 (en) Golf bag
KR200227981Y1 (ko) 전화기의 가변성 받침대
JP2010240194A (ja) 小型超音波診断装置用キャリア
WO2000048065A3 (en) Keyboard wrist support
US6457880B1 (en) Camera and shoulder support for carrying a load
US5346111A (en) Portable, personal computer, personal communicator holder
US10209740B2 (en) Ejection mechanism for docked electronic device
US7007612B2 (en) Laptop computer support system
US20230179250A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storage compartment
AU6345199A (en) Collapsible splint for passive mobilisation of lower limb
CA2147934A1 (en) Adjustable Produce Display Rack
CN217283002U (zh) 一种升降式终端支架
KR200195237Y1 (ko) 자동차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
CN211739000U (zh) 折叠式支撑装置及具有其的灯具和风扇
CN114030426B (zh) 一种多向车载支架
CN217978255U (zh) 一种平板电脑超薄隐形支架
KR200258432Y1 (ko) 보조작업대용 서랍이 장착된 컴퓨터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