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860Y1 -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860Y1
KR200227860Y1 KR2019980025392U KR19980025392U KR200227860Y1 KR 200227860 Y1 KR200227860 Y1 KR 200227860Y1 KR 2019980025392 U KR2019980025392 U KR 2019980025392U KR 19980025392 U KR19980025392 U KR 19980025392U KR 200227860 Y1 KR200227860 Y1 KR 200227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mpressor
refrigerator
stan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486U (ko
Inventor
고창환
김석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8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4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860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진고무 상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연장된 스탠드장치에 닿는 구조일 경우 발생되는 냉장고 앞면 도어에서의 진동량을 저감하도록 한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를 통해 냉장고 옆면이나 앞면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압축기다리부분(2)에 4점 지지되는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있어서, 스탠드(3)가 관통하는 중앙의 중공부분이 큰 직경의 부분(22)과 스탠드와 닿게되는 작은 직경부분(23)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은 직경의 부분의 폭이 전체 중공부분의 높이의 1/5이하인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 }
본 고안은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진고무 상부가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연장된 스탠드장치에 닿는 구조일 경우 발생되는 냉장고 앞면 도어에서의 진동량을 저감하도록 한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관한것이다.
냉장고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냉장고 기계실 바닥)(1)을 통해 냉장고 옆면이나 앞면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방진고무(10)가 압축기다리부분(2)에 4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방진고무(10)를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에서 연장되는 스탠드(3)의 상부부분과 방진고무(10)의 상부가 닿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3)은 방진고무(10)의 중앙의 중공부분(11)를 관통하고 있다. 이때, 방진고무(10)의 중공부분(11)은 큰 직경의 하부(12)와 작은 직경의 상부(13)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분의 상부(13)와 하부(12)는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통상 스탠드(3)의 직경은 8mm, 방진고무(10)의 중공상부(13)의 직경은 8.3mm, 중공하부(12)의 직경은 10.2mm이며, 방진고무의 경도는 40도이다.
그러나 스탠드의 직경과 중공상부의 직경의 틈새는 0.3mm이고, 고무처짐량 1mm, 양산시 압축기의 놓임 위치를 감안하면 스탠드(3)와 중공상부(13)는 밀착한 상태에서 진동을 저감하고 있다.
한편, 냉장고의 압축기는 왕복동식이므로 약 60Hz주파수의 진동이 계속 발생하게 되면 이 진동은 압축기와 연결된 부분들을 통해 타부품들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연결된 부분들 중 파이프는 자체 댐핑에 의해 저감되어질 수 있으나 바닥을 통해 나오는 진동은 자체댐핑이 없으므로 "웅"하는 진동 뿐 아니라 소음까지도 발생시킨다.
이런 현상을 막기위한 목적으로, 상기와 같이, 보통 압축기특성에 맞는 방진고무를 베이스플레이트사이에 설치하므로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방지고무가 고정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조립 및 운송시 충격문제를 위해 스탠드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냉장고의 압축기는 왕복동식이므로 모터의 회전운동시 편심에 의해 상하방향의 진동보다 수평방향의 록킹되는 진동이 더욱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방진고무의 상부(13)가 스탠드에 닿아 있을 경우 압축기다리부분(2)을 통해 나오는 수평방향의 60Hz성분이 방진되지않고 스탠드를 통해 그대로 냉장고 앞면이나 옆면을 통해 전달되며 더욱이 냉장고 앞면은 도어가 있어 소비자들이 느끼는 진동에 대한 불만은 커질 수밖에 없다. 도 2에서의 실험결과와 같이 스탠드가 방진고무의 상부와 닿는 경우와 닿지않는 경우의 비교시 약 10배까지의 차이도 발생하고 있다. 이때 측정점은 앞면 도어에서 가장 진동이 심한 부분에서 실험하였다.
그러나 스탠드가 방진고무의 상부와 닿아 있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압축기를 방진고무 위에 고정할 경우 방진 고무 윗부분의 틈새로 인해 짧은 시간내에 정확히 끼워맞추기 힘들어 양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냉장고 앞면 도어로의 진동의 전달을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냉장고 옆면이나 앞면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압축기다리부분에 4점 지지되는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있어서, 스탠드가 관통하는 중앙의 중공부분이 큰 직경의 부분과 스탠드와 닿게되는 작은 직경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은 직경의 부분이 전체 중공부분의 의 높이의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방진고무에 따른 진동량 비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방진고무에 따른 진동량 비교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플레이트 2 : 압축기다리
3 : 스탠드 20 : 방진고무
21 : 중공부분 22 : 하부
23 : 상부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압축기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냉장고 기계실 바닥)(1)을 통해 냉장고 옆면이나 앞면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방진고무(20)가 압축기다리부분(2)에 4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방진고무(20)를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에서 연장되는 스탠드(3)의 상부부분과 방진고무(20)의 상부가 닿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3)은 방진고무(20)의 중앙의 중공부분(21)를 관통하고 있다. 이때, 방진고무(20)의 중공부분(11)은 큰 직경의 하부(22)와 작은 직경의 상부(23)로 형성된다.
상기 작은 직경의 상부(23)는 중공부분(21)의 높이의 1/5이하로 형성된다.
통상 스탠드(3)의 직경은 8mm, 방진고무(20)의 중공상부(23)의 직경은 8.3mm, 중공하부(22)의 직경은 10.2mm이며, 방진고무의 경도는 40도이다.
상기 중공부분의 상부(23)의 높이는 기존11.5mm에서 3mm로 수정하였다. 이때 3mm는 방진고무가 압축기다리부분에 끼워지기 쉽게 옆에 경사지게 만든 부분(24)의 치수 2.5mm인 것을 고려하여 조금 더 여유있게 변경된다.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축기의 진동이 스탠드(3)를 통해 전달되는 접촉부위를 최소화하면서 양산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스탠드와의 닿임부분인 방진고무의 중공상부(23)의 치수를 줄이므로서 압축기의 진동전달을 저감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진고무를 사용한 경우, 기존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량을 약 40%가량 감소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실제 도어부분에서 사람이 느끼는 진동량은 기존형상에 비해 거의 미미한 수준으로 저감되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방진고무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방진고무(30)에서는, 스탠드(3)와 닿게 되는 중공부분(34)이 중공하부(32)와 중공상부(33)의 중간에 형성되어, 지지되는 부위가 압축기의 다리부분이 닿는 부분을 회피하면서 상부 머리부분의 내경이 작업자가 조립시 찌그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밑부분으로 위치를 변경되어진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탠드와 닿게 되는 방진고무의 중공부분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서, 냉장고 앞면 도어에서의 진동량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베이스플레이트을 통해 냉장고 옆면이나 앞면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스탠드를 구비하여 압축기 다리부분에 4점 지지되는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가 관통하는 중앙의 중공부분이 큰 직경의 부분과 스탠드와 닿게되는 작은 직경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은 직경 부분은, 상기 중공부분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작은 직경 부분이 전체 중공 부분의 높이는 1/5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직경 부분은, 상기 중공상부와 중공하부의 중간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압축기 다리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방진 고무 구조.
KR2019980025392U 1998-12-17 1998-12-17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KR200227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92U KR200227860Y1 (ko) 1998-12-17 1998-12-17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92U KR200227860Y1 (ko) 1998-12-17 1998-12-17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86U KR20000015486U (ko) 2000-08-05
KR200227860Y1 true KR200227860Y1 (ko) 2001-11-15

Family

ID=695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92U KR200227860Y1 (ko) 1998-12-17 1998-12-17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86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588B1 (ko) 냉장고용 압축기 마운팅 구조
KR20040077234A (ko)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US4126075A (en) Supporting device for drums and like musical instruments on a stand
KR20070024290A (ko) 댐퍼지지구를 구비한 세탁기
KR100546677B1 (ko) 압축기용 방진고무
KR200227860Y1 (ko) 냉장고압축기용방진고무구조
KR101684967B1 (ko) 세탁장치
KR20000015487U (ko)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구조
KR20090040688A (ko) 방진고무 및 이를 이용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하드 디스크의 방진기구
KR100289440B1 (ko)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KR100519297B1 (ko) 냉장고용 압축기 마운트 어셈블리
JPH09206236A (ja) 浴槽の支持構造
KR20040011974A (ko) 드럼세탁기 설치대 및 드럼세탁기와 설치대 조립구조
KR20080065433A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CN219164360U (zh) 一种电机安装支架结构
KR200350052Y1 (ko) 유격을 제거한 수평조절부
CN217134249U (zh) 一种带有缓冲软弹结构的键盘
CN214994688U (zh) 一种新型的预制混凝土墙板与主体框架结构连接装置
JPS6245358Y2 (ko)
KR20030080906A (ko) 세탁기용 진동방지 렉
KR200365524Y1 (ko) 진동공급기의 하부베이스 조립체
CN105096923A (zh) 垫体的支承结构
JP2007167405A (ja) ミシンの支持構造
JPH05164189A (ja) 組込式二重防振装置
KR200213773Y1 (ko) 유도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