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106Y1 -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106Y1
KR200227106Y1 KR2020010000915U KR20010000915U KR200227106Y1 KR 200227106 Y1 KR200227106 Y1 KR 200227106Y1 KR 2020010000915 U KR2020010000915 U KR 2020010000915U KR 20010000915 U KR20010000915 U KR 20010000915U KR 200227106 Y1 KR200227106 Y1 KR 200227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se
fishing
lif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9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주연
Original Assignee
문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주연 filed Critical 문주연
Priority to KR2020010000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1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10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물고기의 입질시 자동으로 낚시바늘을 당겨주게 되므로써 실수 및 미숙련에 의한 포획실패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내경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록킹 그루브(11)가 형성되는 관형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나사로 체결되는 상부캡(20)과; 상기 케이스(10)에 나사로 체결되는 하부캡(30)과;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상기 하부캡(30)의 중심축(31)에 끼워져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작동구(40)와; 상기 승강작동구(40)에 양측으로 각각 내장되는 피스톤 핀(51)의 내측단부가 각각 스프링(52)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호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끈(53)으로 연결되고, 상기 끈(53)은 낚시 바늘이 고정된 낚시줄(70)이 묶여지도록 하는 록킹수단(50); 및 상기 하부캡 (30)의 상부면과 상기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간으로 탄설되는 탄성부재수단(60)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error of the catch and failure by mistake and unskilled catching by automatically pulling the fishing needle when the fish is in the mouth,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vertically inside A tubular case 10 having a locking groove 11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n inner diameter surface thereof; An upper cap 20 screwed to the case 10; A lower cap 30 screwed to the case 10;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tool 40 which is built in the case 10 and is fitted to the central axis 31 of the lower cap 30 so as to be vertically liftable; 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piston pins 51, which are respectively built i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40, are supported by springs 52,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by strings 53 to allow slide movement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53, the locking means 50 to be tied to the fishing line 70, the fishing hook is fixe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means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p 30 and the horizontal tube 41 of the lifting operation (40).

Description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본 고안은 낚시를 보다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시 자동으로 낚시바늘을 당겨주게 되므로서 실수 및 미숙련에 의한 포획실패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that enables users to enjoy fishing more conveniently. More specifically, the fishing needles are automatically pulled when the fish is being bitten, thereby preventing errors in catching due to mistakes and inexperience. It is about a fish automatic catching device that allows.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의 입질상태를 관찰하여 인위적으로 낚시대를 낚아 채므로서 잡게 되는 행위이다.In general, fishing is the act of catching while catching the fishing rod artificially by observing the quality of the fish.

낚시를 하는 장소가 바다인지 민물인지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바다의 방파제 낚시나 민물 낚시는 부력을 이용하는 찌를 주로 사용한다.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fishing place is at sea or freshwater, but sea breakwater fishing and freshwater fishing mainly use buoyancy floats.

즉 수면 위로 부상하는 찌의 움직임을 보면서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고, 이러한 입질 정도와 낚시대를 통해 느껴지는 감각으로서 정확히 낚시대를 채는 시기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ile watching the movement of the flo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sh to detect the quality of the fish, and the sense of feeling through the fishing rod to determine the time to take the fishing rod exactly.

이러한 찌를 사용하지 않는 바다 낚시의 경우에는 단순히 무거운 봉돌을 낚시줄에 달아맨 뒤 해저면으로 봉돌이 가라앉게 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정도에 따라 낚시대를 통해 느껴지는 감각과 낚시대 끝부분의 휨 정도에 의해 낚시대의 채는 시기를 결정하곤 한다.In the case of sea fishing that does not use these bobbers, simply attach a heavy rod to the fishing line and let the rod sink to the bottom, depending on the degree of fish and the degree of bending at the tip of the rod. The poles of a fishing rod often decide when.

이와같이 낚시는 낚시를 하는 사람의 감각에 대부분 의존하여 낚시를 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는 숙달이 요구되기는 하나 입질에 의해 낚시대를 통해 느껴지는 감정을 만끽하다 보면 누구라도 살아있는 물고기의 생동감과 물고기를 낚는 기분에 도취되므로서 낚시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ishing is mostly dependent on the sensation of the fishers, so it requires some mastery, but anyone who enjoys the feelings of the fish by vibrating the fish can feel the liveliness of the fish and the feeling of fishing. You will enjoy fishing.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이 낚시는 아무리 입질이 있다 해도 그 입질의 정도에 따라 채는 시기가 다르므로 사실 그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있는데에는 많은 시간을 투자하므로서 어느정도는 숙련이 되지 않으면 놓치는 경우가 많으며, 일단 낚시를 드리우고 나면 언제 입질이 있을지 몰라 숙련자라도 낚시대의 곁을 한시도 떠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even if you have fishing, depending on the degree of quality of the fishing, the timing of taking it is different, so you can actually know the exact time. After dropping, I do not know when there will be a grueling even if the skilled person was uncomfortable to leave the side of the fishing ro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물고기에 의한 입질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낚시 바늘을 잡아 채는 작용이 수행되므로서 인위적인 감각이 없이도 간편하게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easily catch fish without an artificial sensation since the action of grasping a fish hook is carried out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fish are being blown.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고안은 낚시대에 신경을 쓰지 않고도 자동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여유로운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atch the fish automatically without worrying about the fishing rod has a different purpose to enjoy a leisurely fish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sh automatic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작동구를 복귀하기 복귀수단의 설치 상태도,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lifting operation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포획장치가 록킹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도 5는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에서 승강작동구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in the automatic fish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에서 승강작동구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lift in the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케이스 20 : 상부캡10: case 20: upper cap

30 : 하부캡 40 : 승강작동구30: lower cap 40: lifting operation

50 : 록킹수단 51 : 피스톤 핀50: locking means 51: piston pin

52 : 스프링 53 : 연결 끈52: spring 53: connecting strap

60 : 탄성부재수단60: elastic member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내경의 중앙 높이는 외측으로 내경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요입시킨 록킹 그루브가 형성되는 관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로 나사체결되면서 상단부를 커버하고, 상부면에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고리를 일체로 구비한 상부캡과;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면서 하단부를 커버하고,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록킹 그루브에 근접하는 높이까지 연장되게 상향 돌출시킨 중심축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심축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관통되게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한 하부캡과;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수평의 관체와 이 수평의 관체 중앙에 하향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하부캡의 중심축에 끼워져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의 관체로서 이루어지는 승강작동구와;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평의 관체에서 양측으로 각각 내장되는 피스톤 핀의 내측단부는 각각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면서 수평의 관체내에서 상호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끈으로 연결되고, 끈의 중간은 하부캡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한 관통공을 통해 하향 인출시켜 끝단부에 낚시바늘이 구비되도록 한 낚시줄이 묶여지도록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직의 관체을 둘러싸면서 하부캡의 상부면과 승강작동구의 수평의 관체간으로 탄설되는 스프링수단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case in which the inside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the center height of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diameter surface to the outside; An upper cap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ring so as to be screwed into an upper end of the case and covers an upper end, and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to tie a fishing line; The lower end of the case is screwed to cover the lower end,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protruding upward to extend to the height close to the locking groove integrally formed, and a predetermined diameter to penetrat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axis A lower cap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tool which is built in the case and is formed as a vertical tube which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tube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enter axis of the lower cap to be vertically lifted; The inner ends of the piston pins, which are built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ipe of the elevating operation port,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springs,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by a string to allow the slide movemen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pipe. Locking means for pulling the fishing line is drawn down through the through-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fishing line is provided at the end;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spring means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p and the horizontal tube of the elevating operation port while surrounding the vertical tube of the elevating operation p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내경의 중앙 높이에 외측으로 내경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요입시킨 록킹 그루브가 형성되는 관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수평 관체와 상기 수평 관체 중앙에 하향 일체로 수직 관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내부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 관제로서 이루어지는 승강작동구와; 내부 양측에 낚시줄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관체의 양측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의 록킹그루브에 상기 승강작동구를 록킹시키고, 물속에서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당길 시 상기 케이스의 록킹그루브에서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케이스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 상기 내부양측에 연결된 낚시줄에 연장되어 매달린 낚시바늘을 당길수 있도록 상기 승강작동구를 상부로 올려주기 위한 스프링 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case in which the inside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diameter surface to the outside at the central height of the inner diameter;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tool built in the case and configured as a vertical control unit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while vertic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tube and the horizontal tube in a downward integral; Fishing line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and are respectively built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tube, the locking groove of the lifting lock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case, when the fish pulls the fishing needle in the water from the locking groove of the case Locking means for releasing locking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extended to the fishing line extending to the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both sides to catch the fish when the locking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as a spring means for raising.

이를 첨부한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획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작동구를 복귀하기 복귀수단의 설치 상태도이고,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lifting operation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가 록킹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ture device is un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에서 승강작동구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in the capt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관형의 케이스(10)와 상부캡(20)과 하부캡(30)과 승강작동구(40)와 록킹수단(50) 및 스프링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ubular case 10, an upper cap 20, a lower cap 30, an elevating actuator 40, a locking means 50, and a spring means 60.

케이스(10)는 내부가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형의 부재로서, 내부는 수직으로 관통되며, 내경의 중앙 직경에는 내경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서 록킹 그루브(1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case 10 is a tubular member through which the inside penetrates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side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locking groove 11 is formed at a central depth of the inner diameter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diameter surface. .

그리고 상부캡(20)은 케이스(10)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케이스(10)와의 체결이 용이하게 케이스(10)의 내경으로 나사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부면에는 중앙에 고리(21)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게 하여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한다.And the upper cap 20 is a member that covers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the fastening with the case 10 to be fastened with a screw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0, the upper surface has a ring 21 in the center It is to be provided as an integral to tie the fishing line.

하부 캡(30)은 상부캡(20)과 함께 케이스(10)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상부캡(2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0)에 체결이 용이하게 나사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캡(30)은 케이스(10)의 내경부로 삽입되는 상단면에 중앙에 일체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중심축(31)을 형성한다.The lower cap 30 is a member that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together with the upper cap 20, and like the upper cap 20, the lower cap 30 is easily fastened to the case 10 by a screw, and the lower cap ( 30 forms a central axis 31 to protrude integrally upward in the center on the upper end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case 10.

상향 돌출시킨 중심축(31)은 상단부가 케이스(10)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록킹그루브(11)에 근접하는 높이로서 연장되도록 하며, 중심축(31)의 상단부로부터는 수직으로 소정의 직경으로서 관통되게 하여 낚시줄과 끈(43)이 통과되는 관통홀 (32)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central shaft 31 which protrudes upwards has an upper end extending at a height close to the locking groove 11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case 10, and is a vertical diameter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axis 31. The through-holes 32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and the string 43 pass through are formed.

승강작동구(40)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로서, 상부는 수평의 관체(41)로서 이루어지고, 이 수평의 관체(41) 중앙에 수직의 관체(42)가 일체로 하향 연결되는 구성이다.The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40 is a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upper portion is constituted by a horizontal tube 41 and a tu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tube 41. The configuration in which 42 is integrally connected downwards.

따라서 승강작동구(40)는 'T'자형상을 이루게 되며, 특히 승강작동구(40)의 수직의 관체(42)는 하부캡(30)의 상부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중심축(31)이 삽입되어 이 중심축(31)을 따라서 수직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Therefore,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forms a 'T' shape, and in particular, the vertical tube 42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p 30. It is inserted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entral axis 31.

한편 수평의 관체(41)는 길이가 케이스(10)의 내경보다는 짧게 형성되도록 하고, 수평의 관체(41)의 내부에는 중간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격벽(41a)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 격벽(41a)은 중앙이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tubular body 41 is formed so that its length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0, and the partition 41a is formed symmetrically from the middle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tubular 41, but the partition 41a is formed. Allows the center to penetrate to a predetermined diameter.

또한 록킹수단(50)은 상기한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수평의 관체(41)에는 양측단부로 이탈방지되게 피스톤 핀(51)이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피스톤 핀(51)은 내측단부가 격벽(41a)과 스프링(52)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면서 양측의 피스톤 핀(51)을 외측으로 탄발되게 지지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50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ipe 41 of the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40, the piston pin 51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orizontal pipe 4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t both ends. These piston pins 51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partition 41a and the spring 52 so as to support the piston pins 51 on both sides to be outwardly elastically.

그리고 양측의 피스톤 핀(51)의 내측단부간은 수평의 관체(41) 내부로 형성되는 양측의 격벽(41a) 중앙을 통해 끈(53)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 끈(53)의 중간부위는 낚시 바늘이 일단에 묶여진 낚시줄(70)의 타단이 묶여져 연결되도록 한다.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piston pins 51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strings 53 through the centers of the partition walls 41a on both sides, which are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pipe 41,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trings 53 is The other end of the fishing line 70, which is tied to one end of the fishing hook is tied to be connected.

따라서 낚시 바늘이 일단에 묶여져 있는 낚시줄은 하부캡(30)의 중앙을 관통시킨 관통홀(32)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 핀(51)간을 연결한 끈(53)의 중간에 타단이 묶여지게 된다.Therefore, the fishing line is tied to one end of the fishing line is the other end is tied in the middle of the string 53 connecting the piston pins 51 through the through hole 32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cap 30. .

한편 하부캡(30)과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 사이에는 항상 승강작동구(40)를 상향 탄력 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수단(예컨데 스프링수단)(60)이 수직의 관체(42)를 둘러 싸면서 구비되도록 한다.Meanwhile, between the lower cap 30 and the horizontal tube 41 of the elevating actuator 40, an elastic member means (for example, a spring means) 60 that vertically supports the elevating actuator 40 upwardly is vertical. It is to be provided while surrounding (42).

이와 같이 구비되는 케이스(10)와 상부캡(20) 및 하부캡(30)의 결합체는 종전의 봉돌과 근사한 중량을 갖도록 하며, 특히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 (12)이 형성되도록 하여 물고기 유인용 먹이가 채워지면서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작동구(40)의 수직의 관체(42)에는 상승된 승강작동구(40)를 하향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귀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되 이 복귀수단은 도 3에서와 같이 수직의 관체(42)의 상단에 끈(43)을 묶을 수 있는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의 관체(41)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에 묶여진 끈(43)이 상기 수평의 관체(41)의 중앙에 형성된 홀과 관통홀(32)을 통해 하향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승강작동구(40)가 록킹 그루브(11)에서 이탈하여 상부로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끈(43)을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승강작동구(40)가 록킹그루브(11)에 양쪽의 피스톤 핀(51)이 끼워져 복귀된다.The combination of the case 10 and the upper cap 20 and the lower cap 3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has a weight close to that of the conventional bumper,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grooves 1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0. To attract the fish while the fish attracting food is filled, the vertical body 42 of the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40 is provided with a return means so as to return the elevated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40 downward. The return means is installed to protrude an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which can tie the string 43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42 as shown in Figure 3, an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ipe 41 A hole is formed and the string 43 tied to the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is installed to be drawn downward through the hole and the through hole 3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ipe 41. That is, when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pulls the string 43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 and rises upward,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groove 11. The piston pin 51 is fitted and returned.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포획장치는 낚시대에 일단이 결합된 낚시줄의 타단을 상부캡(20)에 형성한 고리(21)에 묶고, 낚시 바늘이 일단에 고정된 낚시줄의 타단은 록킹수단(50)와 양측으로 구비되는 피스톤 핀(51)간을 연결한 끈(53)과 연결된다.The cap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ied to the hook 21 formed on the upper cap 20, the other end of the fishing line is coupled to the fishing rod, the other end of the fishing line is fixed to the fishing hook at one end It is connected to the string 53 connecting the means 50 and the piston pin 51 provided on both sides.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를 드리우게 되면 본 고안의 포획장치는 수면 바닥에 위치되는데 이때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어 둔 먹이를 먹게 되면 낚시 바늘이 당겨지게 된다.When the fishing in such a state, the ca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surface, and when the fish eats the food hooked on the hook, the hook is pulled.

이때 낚시 바늘과 연결된 낚시줄(70)이 당겨지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승강작동구(40)의 내부에서 스프링(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피스톤 핀(51)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fishing line 70 connected to the fishing needle is pulled, the piston pin 51 supported by the spring 52 is moved inward in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as shown in FIG. 4.

그러면 하부캡(30)과 승강작동구(40)간으로 구비되는 스프링수단(60)은 압축되어 있다 피스톤 핀(51)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승강작동구(40)를 도 5에서와 같이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Then, the spring means 60 provided between the lower cap 30 and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40 is compressed.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40 is raised as shown in FIG. 5 while the locking state of the piston pin 51 is released. Will be moved.

이렇게 탄성부재수단(예컨데 스프링수단)(60)에 의해 승강작동구(40)를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승강작동구(40)의 내부에서 피스톤 핀(51)간 끈(53)으로 연결된 낚시줄(70)이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낚시 바늘에 물고기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When the elevating actuator 40 is instantaneous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means (for example, the spring means) 60, the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piston pin 51 between the piston pins 51 in the elevating actuator 40. Since the 70 is pulled sharply, the fish will be caught in the hook.

특히 승강작동구(40)의 양측단부에 내장되는 피스톤 핀(51)은 스프링(52)에 의해서 소정의 탄력으로 지지되므로 물고기가 먹이를 낚아채는 힘이 스프링(52)을 압축시키는 힘보다 더 크므로 피스톤 핀(51)을 이동시켜 자동적으로 낚시줄을 당겨주므로 감각적으로 낚시를 채는 종전의 포획방법 보다는 더욱 정확한 시점에서 포획할 수가 있으므로 성공률이 한층 높은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iston pin 51 built in both ends of the lifting operation 40 is supported by the spring 52 with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force that the fish catches the food is greater than the force that compresses the spring 52. As the piston pin 51 is moved to automatically draw the fishing line, the sensory fishing can be captured at a more accurate point of time than the conventional catching method.

한편 승강작동구(40)의 록킹상태가 일단 해제되고 나면 다시 물고기를 포획해야 하므로 도 3에서와 같이 수직의 관체(42) 상단에 끈(43)이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에 고정되고, 타단은 관통홀(32)을 통해 하부캡(30)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하향 인출되게 한 복귀수단(43)을 사용하게 되면 손쉽게 승강작동구(40)를 록킹시킬 수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ce the locking state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40 is released, the fish must be caught again, so as shown in FIG. 3, the string 43 is fixed to the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on the top of the vertical pipe 42. , The other end can easily lock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40 by using the return means 43 through which the lower cap 30 vertically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수단(예컨데 스프링수단)(60)이 하부캡(30)과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사이에 상부방향으로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으나, 도 6a와 같이 상부캡(20) 내부중앙에 돌출된 탄성부재상부고정부(35)와 승강작동구(40)의 상부중에 돌출된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상부고정부(35)와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에 탄성부재수단(예컨데 스프링수단)(60)을 고정시켜 상기 상부캡(20)과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사이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작동구(40)에 삽입된 양쪽의 피스톤 핀(51)이 록킹그루브(11)에 끼워져 록킹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means (for example spring means) 60 to receive the elasticity in the upper direction between the lower cap 30 and the horizontal pipe 41 of the elevating operation opening 40 6A, but an elastic member upper fixing part 35 protruding in the inner center of the upper cap 20 and an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protruding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40 are formed, as shown in FIG. The elastic member means (for example, spring means) 60 is fixed to the elastic member upper fixing part 35 and the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so that the horizontal tube of the upper cap 20 and the elevating actuator 40 is horizontal. It is provided so that a pulling force can be applied between the 41 and the piston pins 51 inserted into the elevating operation hole 40 are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11 so as to have a structure for locking.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흡입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40)가 록킹그루브(11)로부터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탄성부재수단(예컨데 스프링수단)(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40)가 도 6b와 같이 상부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도 구현 가능하다.In this state, as the fish suctions the fishing need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fting mechanism 4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1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means (for example, spring means) 60.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 lifting operation 40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ure 6b.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도 6a의 스프링수단(60) 대신에 도 7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상부고정부(35)와 탄성부재하부고정부(36)에 고무줄(80)을 묶어 상기 상부캡(20)과 승강작동구(40)의 수평의 관체(41)사이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설치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때 고무줄(80)을 팽팽하게 묶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흡입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40)가 록킹그루브 (11)로부터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고무줄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40)가 상부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도 구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spring means 60 of Figure 6a as shown in Figure 7 the elastic member upper fixing part 35 and the elastic member lower fixing part 36 by tying the rubber band 80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so that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upper cap 20 and the horizontal pipe 41 of the elevating operation opening 40.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device 40 is unlocked from the locking groove 11 by lifting the fishing needle as described above by tightly tying the elastic cord 80, the lifting operation tool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ubber cord.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40 to be pulled upward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나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수단(60)은 복원력이 있는 고무줄 또는 스프링수단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means 60 may be implemented as a rubber band or spring means having a restoring forc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포획장치를 사용하여 낚시를 하게 되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낚시를 즐길 수가 있게 된다.When fishing using the captu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njoy fish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고기가 먹이를 낚아채는 정확한 시점에 자동으로 낚시 바늘을 급격하게 당겨지게 하여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게 되므로 비록 초보자라 할지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없이 편안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atch the fish by automatically pulling the fish hook sharply at the exact time when the fish are catching the food, so even beginners can easily use it and do not need to be always tense.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allows you to enjoy fishing.

Claims (9)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내경의 중앙 높이에 외측으로 내경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요입시킨 록킹 그루브가 형성되는 관형의 케이스와;A tubular case in which the inside penetrates vertically and has a locking groov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inner diameter surface outwardly at a central height of the inner diameter;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수평 관체와 상기 수평 관체 중앙에 하향 일체로 수직 관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내부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 관체로서 이루어지는 승강작동구와;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tool embedd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as a vertical pipe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while being vertic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body; 내부 양측에 낚시줄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관체의 양측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의 록킹그루브에 상기 승강작동구를 록킹시키고, 물속에서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당길 시 상기 케이스의 록킹그루브에서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수단과;Fishing line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and are respectively built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tube, the locking groove of the lifting lock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case, when the fish pulls the fishing needle in the water from the locking groove of the case Locking means for releasing locking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상기 케이스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 상기 내부양측에 연결된 낚시줄에 연장되어 매달린 낚시바늘을 당길수 있도록 상기 승강작동구를 상부로 올려주기 위한 탄성부재수단으로 구비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extended to the fishing line extending to the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both sides to catch the fish when the locking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Automatic catching devic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means for lif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외주면으로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먹이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홈을 더 구비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The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rooves to fill the food for attracting the fish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면서 하단부를 커버하고,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록킹 그루브에 근접하는 높이까지 연장되게 상향 돌출시킨 중심축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심축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관통되게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한 하부캡을 더 구비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According to claim 1,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e to cover the lower end, an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protruding upward to extend to a height close to the locking groove, integrally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axis Fish automatic catc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wer cap formed in the through hole to a predetermined diameter to penetrate down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로 나사체결되면서 상단부를 커버하고, 상부면에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고리를 일체로 구비한 상부캡을 더 구비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4. The automatic fish ca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upper cap integrally provided with a hook to cover the upper end while being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and to tie the fishing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평의 관체에서 양측으로 각각 내장되는 피스톤 핀의 내측단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핀의 내측단부가 각각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면서 상기 수평 관체내에서 상호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끈으로 연결되고, 상기 끈의 중간은 상기 하부캡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한 관통공을 통해 하향 인출시켜 끝단부에 낚시바늘이 구비되도록 한 낚시줄이 묶여지도록 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4.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ocking means has inner end portions of piston pins each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tube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and the inner ends of the piston pins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springs, respectively. In order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lide is connected to the string, the middle of the string is drawn down through the through-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cap so that the fishing line is provided so that the fishing needle is provided at the end Fish automatic catching device. 제3항 내지 제5항 중 그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직관체를 둘러싸면서 상기 하부캡의 상부면과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평의 관체간으로 탄설되는 물고기 자동포획장치.The automatic catching fis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spr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p and the horizontal tube of the elevating operation port while surrounding the vertical tube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Devic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구의 수직 관체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캡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향 인출되게 하여 상기 케이스의 록킹그루브에 록킹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을 더 구비하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According to claim 4 or 5,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and further comprising a return means for locking the locking groove of the case by allowing the lower cap to be pulled out vertically downwards. Fish auto tak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수단은, 상기 케이스 상부와 상기 승강작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 상기 내부양측에 연결된 낚시줄에 연장되어 매달린 낚시바늘을 복원력에 의해 당길수 있도록 상기 승강작동구를 상부로 올려주는 스프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The fis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shing to catch the fish when the locking operation mechanism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An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comprising a spring means for lifting the lifting operation upwards so as to pull the fishing needle suspended by the restoring force extending to a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수단은, 상기 케이스 상부와 상기 승강작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구의 록킹이 해제될 시 상기 물고기를 포획하기 위해 상기 내부양측에 연결된 낚시줄에 연장되어 매달린 낚시바늘을 복원력에 의해 당길수 있도록 상기 승강작동구를 상부로 올려주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The fis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shing to catch the fish when the locking operation mechanism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An automatic fish catching device consisting of a rubber band for lifting the lifting mechanism to the upper portion to pull the fishing needle suspended by the restoring force extended to the line.
KR2020010000915U 2001-01-12 2001-01-12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KR2002271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15U KR200227106Y1 (en) 2001-01-12 2001-01-12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15U KR200227106Y1 (en) 2001-01-12 2001-01-12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106Y1 true KR200227106Y1 (en) 2001-06-15

Family

ID=7309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915U KR200227106Y1 (en) 2001-01-12 2001-01-12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10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89B1 (en) 2005-06-30 2007-05-23 하청 Quick capturing apparatus for fishing
KR101482688B1 (en) 2012-08-21 2015-01-16 김동환 The fish of capture utens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89B1 (en) 2005-06-30 2007-05-23 하청 Quick capturing apparatus for fishing
KR101482688B1 (en) 2012-08-21 2015-01-16 김동환 The fish of capture utens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4471A (en) Floating anti-fouling sinker and chum dispenser
US5398440A (en) Fishing bobber with drag scoop for bait jigging
US5005310A (en) Floating tip-up fishing rig
KR200227106Y1 (en)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US3443336A (en) Fishing device
KR100964289B1 (en) Fishing float
GB2435603A (en) Floating groundbait device
KR100849588B1 (en) Jerking device of a fish-hook
KR100310161B1 (en) A crab-hook for crab angle
KR102371322B1 (en)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KR20200144949A (en)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fish biting sense finely
US3456379A (en) Sinkable fishing float
KR200493863Y1 (en) Swivel assembly
KR102607742B1 (en) Weight-adjustable sinker assembly
KR200204974Y1 (en) Float for fishing
KR200327146Y1 (en)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KR200361713Y1 (en) Fishing rod that compose float
CN2449478Y (en) Bait cage for fishing
KR100678399B1 (en) Heresy fishhook float
JP2012105576A (en) Automatically hitting float
KR200407636Y1 (en) float
KR200249270Y1 (en) An automatic capture fishing device
KR200379255Y1 (en) underwater float for a fishing
KR930003203Y1 (en) Automatic fishing rod
JPH078142A (en) Fish catch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