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322B1 -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 Google Patents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322B1
KR102371322B1 KR1020200037913A KR20200037913A KR102371322B1 KR 102371322 B1 KR102371322 B1 KR 102371322B1 KR 1020200037913 A KR1020200037913 A KR 1020200037913A KR 20200037913 A KR20200037913 A KR 20200037913A KR 102371322 B1 KR102371322 B1 KR 10237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main
fishing
auxiliary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758A (en
Inventor
임재경
Original Assignee
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경 filed Critical 임재경
Priority to KR102020003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22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줄의 끝단에 매달려 붕어를 포획하는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 보조바늘에 매달린 먹이가 풀어져 보조바늘이 부구의 부력에 의해 상승할 때 부구가 주 목줄에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 바늘(3a)이 묶여진 주 목줄(10)에 부구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부구에 보조바늘(3b)이 묶인 목줄(5b)을 고정하여서 된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에 있어서, 상기 부구(20)를 가이드관(13)이 설치되는 소경부(20a)는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고 가이드관(13)의 타측에 위치하는 대경부(20b)는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며, 상기 대경부(20)의 저면에는 보조바늘(3b)이 매달리는 목줄(5b)을 도래(21)로 고정하여 보조바늘(3b)에서 먹이가 풀어지면 부구(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hook for catching crucian carp hanging from the end of a fishing line, so that when the food hanging from the auxiliary needle is released and the auxiliary needle rises by the buoyancy of the auxiliary needle, the float can rise stably without being caught on the main line. did i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for freshwater fishing by installing a buoy on the main leash 10 to which the main needle 3a is tied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leash 5b to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tied to the buoy. In the needle rigging, the small-diameter portion 20a where the guide tube 13 is installed has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20b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13 ha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art 20, the collar 5b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hung is fixed with the auger 21 so that when the food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the buoy 20 is maintained horizontally.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 줄의 끝단에 매달려 붕어를 포획하는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보조바늘에 매달린 먹이가 풀어져 보조바늘이 부구의 부력에 의해 상승할 때 부구가 주 목줄에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hook for catching crucian carp hanging from the end of a fishing line,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food hanging from the auxiliary needle is released and the auxiliary needle rises by the buoyancy of the auxiliary needle, the float is stably not caught on the main line. It relates to a pair of needle rigs for freshwater fishing that allows you to climb.

일반적으로, 붕어를 잡기 위한 낚시채비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대(1)에 묶여진 낚시줄(2)의 끝단에 낚시바늘(3)을 바닥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중량체(납)의 봉돌(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봉돌에는 도 2와 같은 낚시바늘(3)이 목줄(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낚시줄(2)에 끼워진 찌고무(도시는 생략함)에는 어신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찌(6)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꽂혀져 있다.In general, looking at the fishing gear for catching crucian carp, as shown in FIG. 1 , a weight body (lead) for seating the fishing hook 3 at the end of the fishing line 2 tied to the fishing rod 1 on the bottom surface A rod (4) is fixed, and a fishing hook (3) as shown in FIG. 2 is connected to the rod by a neck line (5). The jji (6) for identification is insert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따라서 낚시장소에 따라 알맞는 먹이(7)를 낚시바늘(3)에 매달고 투척하면 먹이(7)가 매달린 낚시바늘이 봉돌(4)의 무게에 의해 물 속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안착되면서 찌(6)가 무게중심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fishing place, when the appropriate food (7) is hung on the hook (3) and thrown, the hook (6) on which the food (7) is suspended sinks and sett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y the weight of the rod (4). ) is erected vertically by the center of gravity, so you can enjoy fishing.

이러한 상태에서 붕어가 낚시바늘(3)에 매달린 먹이(7)를 먹기 위해 입질을 하면 붕어의 흡입력에 의해 봉돌(4)이 상승하므로 봉돌의 무게에 의해 수면에 잠겨져 있던 찌(6)가 봉돌의 상승량만큼 함께 상승하고, 이에 따라 조사가 붕어의 입질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낚시대를 잡아 당겨 낚시바늘에 붕어가 걸리도록 하므로써 붕어를 잡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rucian carp bites to eat the prey (7) hung on the hook (3), the bongdol (4) rises by the suction power of the crucian carp, so the bobbin (6) that was submerged in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weight of the crucian carp It rises together by the amount of rise, and accordingly, the survey identifies the bite of the crucian carp with the naked eye and pulls the fishing rod to catch the crucian carp.

상기한 바와 같이 즐기는 낚시는 낚시바늘의 종류에 따라 외바늘 채비, 쌍바늘 채비, 다바늘(일명 "인찌끼") 채비 등으로 대별된다.Fishing enjoyed as described above is roughly divided into single-needle rigging, double-needle rigging, and multi-needle (aka "indigo") rigging depending on the type of fishing hook.

상기 외바늘 채비는 봉돌(4)에 1개의 낚시바늘(3)이 목줄(5)에 의해 매달리므로 밑 걸림이 많은 지역 또는 수초낚시 등에 널리 사용되며, 사각지대가 없어 입질의 변화가 찌에 그대로 전달되어 찌의 상승량을 촤대화하게 되므로 입질이 매우 약한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The single hook rigging is widely used in areas with a lot of bottom jamming or aquatic fishing, etc. because one fishing hook 3 is hung on the bongdol 4 by a leash 5. It is transmitted and talked about the amount of rise of the jjigae, so it is useful even when the bite is very weak.

그러나 이 경우에는 외바늘을 사용하므로 인해 밑밥의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ingle needle is used, the effect of ground rice can hardly be expected.

즉, 낚시를 즐기는 과정에서 집어를 하더라도 이미 투하한 먹이가 부족하여 집어되었던 붕어가 빠른 시간 내에 먹이를 전부 먹은 다음 다른 장소로 벗어나게 되는 치명적인 폐단이 있어 외바늘 낚시는 많은 붕어를 잡는 낚시가 아닌 수초 치기 또는 댐의 수몰지역 등에서의 낚시에 주로 적용된다.In other words, even if caught in the process of enjoying fishing, there is a fatal flaw in that the previously dropped food is insufficient, so the caught crucian carp eats all the food in a short time and then moves to another place. It is mainly applied to fishing in the submerged area of chimney or dam.

한편, 쌍 바늘채비는 민물낚시에 주로 사용되는 채비로서, 도 2와 같이 봉돌(4)에 2개의 낚시바늘(3)을 목줄(5)에 의해 각각 연결하여 각각의 낚시바늘(3)에 먹이(7)를 매달아 1개의 먹이로 붕어를 잡는 과정에서 다른 1개의 낚시바늘에 매달려 있던 먹이는 밑밥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어 집어에 매우 유리하고 한 번 집어가 이루어지면 집어된 붕어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twin hook rig is a rig mainly used for freshwater fishing, and as shown in FIG. 2 , two fishing hooks 3 are connected to the bongdol 4 by a leash 5 to feed each fishing hook 3 . In the process of catching crucian carp with one food by hanging (7), the food that was hung on the other hook is designed to serve as a base meal, so it is very advantageous for fishing. have

그러나 이러한 쌍바늘 채비는 낚시바늘(3)에 매달려 있는 먹이를 먹기 위해 입질을 하더라도, 수중에 떠있는 봉돌(4)을 기준으로 하여 낚시바늘(3)을 연결하고 있는 목줄(5)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사각 지대(A)에서는 붕어의 어신이 매우 둔감(어신이 매우 작음)한 영역이 존재하게 되므로 수면밖에 있는 조사가 찌(6)를 통해 전달되는 어신을 포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is double hook rig, even if you bite to eat food hanging from the hook (3), the length of the line (5) connecting the hook (3) is based on the rod (4) floating in the water. In the blind spot (A) of the circle with a radius, there is a region where the fish head of the crucian carp is very insensitive (the fish head is very small). .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낚시바늘과 봉돌 사이에 보조봉돌을 달아 어신에 둔감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므로써 어신의 포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낚시용 보조 관통봉돌이 개발된 바 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 auxiliary penetrating rod for fishing has been developed by attaching an auxiliary rod between the hook and the rod to minimize the blind spot insensitive to the fishing rod, thereby facilitating the capture of the fishing rod.

상기 낚시용 보조 관통봉돌(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길이가 1∼2㎜이고, 세로방향의 길이는 2∼10㎜인 원통체 금속의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직경 06∼10㎜의 관통공(9)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관통공과 연이어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봉돌(4)과 낚시바늘(3)을 연결하는 주 목줄(10)의 중간지점에 상, 하 두 개의 매듭(11)을 사이에 두고 어신의 유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로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원통체 금속은 스테인레스, 동, 황동, 알루미늄 및 철로 이루어진 일군의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through-bar stone 8 for fishing has a length of 1 to 2 m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ength of 2 to 1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cylindrical metal having a diameter of 06 to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9 of mm is formed, and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tapered shap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reduce the resistance of water consecutively with the through holes at both ends. ), the upper and lower two knots 11 are sandwiched between the two knots 11 and are auxiliary to reduce the clearance of the fishing rod. It is manufactured using any one selectively.

따라서 입질시 발생되는 사각지대(B)가 보조 관통봉돌(8)을 기준으로 하여 존재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사각지대의 반경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blind spot (B) generated during the bite is based on the auxiliary penetrating bar (8), the radius of the blind spot can be greatly reduced or eliminated compared to the prior ar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쌍 바늘채비 또한 종래에 비하여 발생되는 사각지대의 반경을 줄이지만, 사각지대를 없앨 수는 없으므로 낚시 경력이 짧은 초보자들은 챔질 타이밍을 맞추는데 한계가 있어 집어가 이루어지면 쌍 바늘 중 하나의 바늘을 제거하여 외 바늘낚시를 하게 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밑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집어되어 있던 붕어가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win needle rig also reduces the radius of the blind spot that occu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ut since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the blind spot, beginners with a short fishing experience have a limit in aligning the timing of the chamfering. As time goes by, the effect of the bottom rice cannot be expected because the needle is removed and the fisherman is fishing.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출원인에 의해 새로운 타입의 쌍 바늘채비가 개발되어 10-2002-0068428호(2002.11.06.)로 출원되어 2004.01.10. 등록 결정된 바 있습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 new type of twin needle rig was developed by the applicant, and it was applied for as 10-2002-0068428 (2002.11.06.) and filed on 2004.01.10. Registration has been decided.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쌍 바늘채비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c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주 봉돌(4)에 상기 주 봉돌보다 무게가 가벼운 보조봉돌(4a)이 주 목줄(1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봉돌(4a)에는 주 바늘(3a)이 목줄(5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conventional twin needle rigging cut out, and Figures 6a and 6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use state, the main bongdol (4)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main bongdol (4a) auxiliary bongdol (4a) It is connected by the main leash 10, and the main needle 3a is fixed to the auxiliary rod 4a by the leash 5a.

그리고 주 목줄(10) 상에 부구(12)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부구에는 보조바늘(3b)이 묶인 목줄(5b)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부구(12)의 내부에는 주 목줄(10)이 통과되는 가이드관(13)이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uoy 12 is fitted on the main collar 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collar 5b to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tied is fixed. The guide pipe 13 through which this passes is fixed.

또한, 부구(12)에 도래(14)가 고정되어 상기 도래에 보조바늘(3b)이 묶여진 목줄(5b)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ger 14 is fixed to the buoy 12 to fix the collar 5b to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tied.

따라서 주 바늘(3a)에 주 먹이(7a)를, 그리고 보조바늘(3b)에는 집어제역할을 하는 먹이(7b)를 각각 매단 다음 이를 투척하면 주 봉돌(4)과 보조봉돌(4a) 그리고 먹이(7a)(7b)의 무게에 의해 낚시바늘이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된다.Therefore, if the main food 7a is hung on the main needle 3a, and the food 7b that acts as an insect repellent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3b, respectively, and then thrown, the main rod 4, the auxiliary rod 4a, and the food The fishing hook sinks to the bottom by the weight of (7a)(7b).

이와 같이 낚시바늘이 바닥면으로 가라앉고 나면 주 먹이(7a)가 매달린 주 바늘(3a)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반면, 집어제역할을 하는 먹이(7b)는 주 목줄(10)을 따라 부구(12)의 부력만큼 상승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the fishing hook sinks to the bottom surface, the main needle (3a) on which the main food (7a) is hung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whereas the food (7b), which acts as a fishing net, follows the main leash (10) to the buoy ( 12) will rise as much as the buoyancy.

즉, 먹이(7b)가 매달린 보조바늘(3b)은 부구(12)에 고정된 도래(14)에 매달려 있으므로 부구(12)가 부력에 의해 주 목줄(10)을 따라 도 6a와 같이 상승함에 따라 주 먹이(7a)로부터 이격된다.That is, since the auxiliary needle 3b on which the food 7b is hung is suspended from the auger 14 fixed to the buoy 12, as the buoy 12 ascends along the main leash 10 by buoyancy as shown in FIG. 6a It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food 7a.

따라서 먹이를 투척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교적 부슬부슬하게 개진 먹이(7b)가 풀어지면서 집어제역할을 하게 되는데, 보조바늘(3b)에 매달린 먹이(7b)가 전부 풀어지고 나면 부구(12)는 도 6b와 같이 상사점까지 상승하여 주 봉돌(4)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Therefore, as time elapses after throwing the food, the relatively loose food 7b is released and serves as a pick-me-up agent. After all the food 7b hanging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is released, the As shown in Fig. 6b, it rises to top dead center and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rod (4).

이와 같이 낚시바늘에 매달린 먹이를 투척하여 낚시를 즐기는 과정에서 붕어가 주 바늘(3a)에 매달린 주 먹이(7a)를 흡입하면 보조바늘(3b)이 주 목줄(10)에 끼워진 부구(12)에 매달려 있어 보조바늘(3b)에 먹이(7b)가 매달려 있고 없음에 관계없이 부구(12)는 보조봉돌(4a)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므로 도 6c와 같이 붕어가 주 먹이(7a)를 흡입함에 따라 변화되는 주 바늘(3a)의 위치만큼 찌(6)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 바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입질을 볼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enjoying fishing by throwing the prey hanging from the hook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ucian carp inhales the main feed (7a) hung on the main needle (3a), the auxiliary needle (3b) is attached to the buoy (12) fitted to the main leash (10). Because the buoy 12 does not affect the auxiliary rod 4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food 7b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3b as it is suspended, the crucian carp sucks the main food 7a as shown in FIG. 6c. The jji 6 rises as much as the position of the main needle 3a, which is changed accordingly, and thus it is possible to see a bite like using an external need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0490(2001.12.28.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260490 (Registered on Dec. 28, 2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40098(2004.05.12.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40098 (published on December 12, 2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1634(2004.09.01.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361634 (2004.09.01.Registe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9860(2015.06.24.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9860 (published on June 24, 2015)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쌍 바늘채비는 붕어가 주 바늘에 매달린 먹이를 입질할 때 주 목줄에 끼워진 부구의 부력과는 별도로 외 바늘채비와 같이 찌솟음이 일어나도록 하므로써 낚시경력이 짧은 초보자들도 쌍 바늘채비를 이용하면서도 외 바늘채비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였으나, 원기둥형태의 부구에 보조바늘이 목줄에 의해 부구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어 있어 보조바늘에 매달린 먹이가 풀어지더라도 보조바늘의 무게 중심에 따라 부구가 일 측(보조바늘이 매달린 방향)으로 기울어져 주 목줄에 걸려 주 목줄을 타고 상승하지 못하게 되므로 원하는 외바늘 채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win-hook rig makes a sting like an external stinger separate from the buoyancy of the buoy fitted on the main leash when the crucian carp bites the prey hung on the main leash, so even beginners with a short fishing experience can use it. I expected the same effect as the external needle rigging, but the auxiliary needle is eccentrically fixed to the side of the buoy by a leash on the cylindrical buoy. The desired effect of single-needle preparation could not be expected because the needle was tilted to one s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xiliary needle was hung) and was caught on the main leash, preventing it from ascending on the main leash.

또한, 낚시바늘을 투척하여 가라앉을 때 보조바늘이 매달린 목줄인 합사가 주 바늘이 매달린 합사에 꼬이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when the fishing hook was thrown and sunk, the plied yarn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was hung was twisted with the plied yarn on which the main needle was hung.

따라서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선행특허가 2004.08.31. 적법한 심사를 거쳐 등록 결정되었으나, 특허등록을 포기한 바 있다.Therefore, the prior patent filed earlier by the applicant was on 2004.08.31. It was decided to register after legal examination, but the patent registration was abandoned.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보조바늘이 부구에 편심되게 매달리게 설치되더라도 보조바늘에서 먹이가 풀어졌을 때 부구가 주 목줄을 타고 원활하게 상승하여 외바늘 채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even if the auxiliary needle is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hung on the buoy, when the food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the buoy smoothly rises on the main leash, so that the effect of preparing a single needle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exp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바늘이 매달리는 목줄을 필라멘트로 적용하여 목줄이 주 바늘이 매달린 목줄과 꼬이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leash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is hung as a filament so that the leash is not twisted with the leash on which the main needle is hu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주 바늘이 묶여진 주 목줄에 부구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부구에 보조바늘이 묶인 목줄을 고정하여서 된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에 있어서, 상기 부구를 가이드관이 설치되는 소경부는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고 가이드관의 타측에 위치하는 대경부는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며, 상기 대경부의 저면에는 보조바늘이 매달리는 목줄을 도래로 고정하여 보조바늘에서 먹이가 풀어지면 부구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win needle rig for freshwater fishing, the buoy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on the main leash to which the main needle is ti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ash to which the auxiliary needle is tied is fixed, The small-diameter portion where the guide tube is installed has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form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When released, a pair of needle rigging for freshwater fishing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 is kept horizontal.

본 발명은 주 바늘에 주 먹이를 매달고 보조바늘에는 집어제를 매달아 투척하면 집어제의 무게에 따라 보조바늘이 매달린 부구가 보조봉돌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여 주 바늘에 매달린 주 먹이 측으로 집어제를 흩뿌리다가 보조바늘에서 집어제가 전부 풀어지고 나면 부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부구가 부드럽게 주 목줄을 타고 주 봉돌 측으로 부드럽게 상승하게 되므로 고기(붕어 등)가 주 먹이를 흡입할 때 찌가 외 바늘채비와 같이 찌솟음이 일어나게 되므로 초보자들도 손쉽게 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food is hung on the main needle and the fishing agent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and thrown, the buoy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is hung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ishing agent descends until it touches the auxiliary rod, and the fishing agent is dispersed to the main food side hanging from the main needle. After the lida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the buoy is structured so that the buoy remains in a horizontal state, so the buoy gently ascends to the main bongdol along the main leash. As it rises like an external needle rig, even beginners can catch fish easily.

또한, 보조바늘을 필라멘트재질의 목줄로 부구의 저면에 매달을 경우에는 보조바늘이 매달린 목줄이 주 바늘이 매달린 목줄에 감기지 않게 되므로 부구가 주 목즐을 타고 상승하지 못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needle is hung from the bottom of the buoy with a leash made of filament material, the leash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is hung is not wound around the leash on which the main needle is hung. can also be expected.

도 1은 종래의 쌍 바늘이 묶여진 낚시대를 수중에 드리운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쌍 바늘 채비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쌍 바늘 채비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사각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모식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쌍 바늘채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쌍 바늘채비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c는 종래의 또 다른 쌍 바늘채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도 6a는 주 바늘이 바닥 면에 닿고, 보조바늘이 부구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도
도 6b는 주 바늘이 바닥 면에 닿고, 보조바늘이 부구에 의해 상사점까지 상승한 상태도
도 6c는 붕어의 입질로 인해 주 바늘이 상승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도 9a는 주 바늘이 바닥 면에 닿고, 보조바늘이 부구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도
도 9b는 주 바늘이 바닥 면에 닿고, 보조바늘이 부구에 의해 상사점까지 상승한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conventional twin needle is tied to a fishing rod in water;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win needle rigging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blind spot that occurs as a result of using a conventional twin needle rigging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pair of needle rigging in the prior ar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pair of needle chaebi cut out in part;
Figures 6a and 6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nother conventional pair of needle rigging,
Figure 6a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needl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auxiliary needle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buoy;
Figure 6b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main needle touches the floor and the auxiliary needle rises to top dead center by the buoy;
Figure 6c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main needle is raised due to the bite of the crucian carp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needle touches the floor and the auxiliary needle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buoy;
Figure 9b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main needle touches the floor and the auxiliary needle rises to top dead center by the buo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features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부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oyanc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m.

본 발명은 주 바늘(3a)이 묶여진 주 목줄(10)에 부구(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부구(20)에서 가이드관(13)이 설치되는 소경부(20a)는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관(13)의 타측에 위치하는 대경부(20b)는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20b)의 저면에는 보조바늘(3b)이 매달리는 목줄(5b)이 도래(21)로 고정되어 보조바늘(3b)에서 먹이가 풀어지면 부구(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gut 20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on the main leash 10 to which the main needle 3a is tied. The large-diameter portion 20b, which is formed small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13, ha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on the bottom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20b, a collar 5b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hangs is arrived ( 21) so that when the food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the buoy 20 is maintained horizontally.

상기 부구(20)의 재질은 내구성을 갖으면서 부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마름모꼴 형상이나, 오뚜기 형상 등 당해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The material of the buoy 20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buoyancy, and its shape is a rhombic shape or a shape of Ottogi. you don't have to

또한, 주 바늘(3a)이 매달리는 목줄(3a)은 합사를 적용하고, 보조바늘(3b)이 매달리는 목줄(5b)은 필라멘트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a braided yarn to the neckline 3a on which the main needle 3a is hung, and to apply a filament to the neckline 5b from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hung.

이는, 낚시줄을 투척하는 과정에서 보조바늘(3b)이 매달린 목줄(5b)이 주 바늘(3a)이 매달린 합사(5a)에 꼬임에 따라 보조바늘(3b)에서 집어제가 풀어진 상태에서 부구(20)가 주 목줄(10)을 따라 상승하지 못하는 폐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throwing the fishing line, the fishing line 5b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hung is twisted with the braid 5a on which the main needle 3a is hung, and the fishing agent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ascend along the main leash (10).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주 바늘(3a)에 주 먹이(7a)를, 그리고 보조바늘(3b)에는 집어제역할을 하는 먹이(7b)를 각각 매단 다음 이를 투척하면 주 봉돌(4)과 보조봉돌(4a) 그리고 먹이(7a)(7b)의 무게에 의해 낚시바늘이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된다.First, the main food (7a) is hung on the main needle (3a), and the food (7b) that acts as an insecticide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3b), respectively, and then thrown, the main rod (4) and the auxiliary rod (4a) and The fishing hook sinks to the bottom by the weight of the food (7a) (7b).

이와 같이 낚시바늘이 바닥면으로 가라앉고 나면 주 먹이(7a)가 매달린 주 바늘(3a)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반면, 집어제역할을 하는 먹이(7b)가 보조바늘(3b)에 매달린 부구(20)는 보조바늘(3b) 및 먹이(7b)의 무게에 따라 부구(20)에 편하중이 걸려 부구(20)가 일 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부구(20)는 보조바늘(7b) 및 먹이(7b)의 무게에 의해 주 목줄(10)을 따라 하강하여 도 9a와 같이 보조봉돌(4a)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After the fishing hook sinks to the bottom surface in this way, the main needle (3a) on which the main food (7a) is hung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whereas the buoy ( 20), the auxiliary needle 7b and the food 7b are loaded even if the float 20 is tilted to one side due to an unbalanced load applied to the float 20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auxiliary needle 3b and the food 7b. ) descends along the main leash 10 by the weight of the weight and descends until it reaches the auxiliary bar 4a as shown in FIG. 9a.

이와 같이 부구(20)가 일 측으로 기울어져 보조봉돌(4a)에 닿은 상태에서 보조바늘(3b)에 매달리게 비교적 부슬부슬하게 개진 먹이(7b)인 집어제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보조바늘(3b)에서 전부 풀어지고 나면 부구(20)는 도 9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 목줄(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실선과 같이 상사점까지 상승하여 주 봉돌(4)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buoy 20 is tilted to one side and touches the auxiliary rod 4a, the fishing agent, which is a relatively softly spread food 7b,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3b as time elapses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After being completely released, the buoy 20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9B, so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in collar 10 and rises to top dead center as shown in the solid line on the bottom of the main rod 4 will be located

이러한 상태에서 붕어가 주 바늘(3a)에 매달린 주 먹이(7a)를 흡입하면 보조바늘(3b)에 먹이(7b)가 매달려 있고 없음에 관계없이 부구(20)는 보조봉돌(4a)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므로 주 먹이(7a)를 흡입한 만큼 찌(6)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외 바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입질을 맛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crucian carp inhales the main food 7a suspended on the main needle 3a, the buoy 20 affects the auxiliary rod 4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food 7b is hung on the auxiliary needle 3b. Since it does not affect the main food (7a) as much as it is inhaled, the jji (6) is rais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aste the same bite as using an external need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meaning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its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a : 주 바늘 3b : 보조바늘
5a, 5b : 목줄 10 : 주 목줄
13 : 가이드관 20 : 부구
20a : 소경부 20b : 대경부
21 : 도래
3a: main needle 3b: auxiliary needle
5a, 5b: Collar 10: Main Collar
13: guide building 20: bugu
20a: small diameter part 20b: large diameter part
21 : coming

Claims (1)

주 바늘(3a)이 묶여진 주 목줄(10)에 부구(20)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부구(20)에 보조바늘(3b)이 묶인 목줄(5b)을 고정하여서 된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에 있어서, 상기 부구(20)를 가이드관(13)이 설치되는 소경부(20a)는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고 가이드관(13)의 타측에 위치하는 대경부(20b)는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며, 상기 대경부(20b)의 저면에는 보조바늘(3b)이 매달리는 목줄(5b)을 도래(21)로 고정하여 보조바늘(3b)에서 먹이가 풀어지면 부구(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A pair for freshwater fishing made by installing the buoy 20 on the main leash 10 to which the main needle 3a is tied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leash 5b to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tied to the buoy 20 In the needle rigging, the small-diameter portion 20a where the guide tube 13 is installed has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20b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13 ha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on the bottom of the large diameter part 20b, the collar 5b on which the auxiliary needle 3b is hung is fixed by the auger 21 so that when the food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needle 3b, the buoy 20 is maintained horizontally. A pair of needle rigs for freshwater fishing,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00037913A 2020-03-25 2020-03-25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KR102371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13A KR102371322B1 (en) 2020-03-25 2020-03-25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13A KR102371322B1 (en) 2020-03-25 2020-03-25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58A KR20210120758A (en) 2021-10-07
KR102371322B1 true KR102371322B1 (en) 2022-03-07

Family

ID=7811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13A KR102371322B1 (en) 2020-03-25 2020-03-25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32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8Y1 (en) 2002-11-06 2003-01-29 임재경 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KR200327146Y1 (en) 2003-06-23 2003-09-19 김승일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274U (en) * 1986-10-13 1988-04-23
KR200260490Y1 (en) 2001-09-28 2002-01-10 조재성 An auxiliary piercing sinker for fishing
KR20040040098A (en) 2002-11-06 2004-05-12 임재경 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KR200361634Y1 (en) 2004-06-08 2004-09-14 유한근 Weight means of fish hook float and fish hook float therewith
KR20140001954U (en) * 2012-09-26 2014-04-03 정좌용 Fishing tackle with a loach type buoyancy tool
KR20150069860A (en) 2013-12-16 2015-06-24 송석록 A magnet sinker
KR20160044946A (en)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류하 Fishing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8Y1 (en) 2002-11-06 2003-01-29 임재경 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KR200327146Y1 (en) 2003-06-23 2003-09-19 김승일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58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22Y1 (en) Fishing tackle with a multi-divisional weight
KR102371322B1 (en) The pair needle preparation for the fresh water fishing
KR102584278B1 (en) Artificial bait for fishing cephalopod
US20100293836A1 (en) Magnetic slip bobber
KR20120000894U (en) Fishing apparatus for webfoot octopus
KR20100109147A (en) Float with hole for fishing
KR102370025B1 (en) Freshwater floats with delayed ascent speed
KR100920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bobber
KR200462600Y1 (en)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KR101076546B1 (en) Fishing tackle
KR200302108Y1 (en) 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KR20210000977U (en) An fishing gear for capturing cephalopod
KR101042547B1 (en) Float with break float for hooking
KR200227106Y1 (en) Apparatus for catching of fish
KR20200006419A (en) Fishing tackle
KR100310161B1 (en) A crab-hook for crab angle
KR200260490Y1 (en) An auxiliary piercing sinker for fishing
KR20230001923U (en) The fishing tackle for a cuttlefish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101457307B1 (en) Multi-function float
KR102317753B1 (en) A fish trap for an eel
KR200327146Y1 (en) Suspend float tied to leader for fresh-water fishing
JP2022111002A (en) New head for cutlassfish tenya (hook and sinker integrated tool)
KR200354251Y1 (en) A float for rolling inhibit fishline
KR20120048831A (en) Fishing tool using floating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