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05Y1 -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05Y1
KR200226905Y1 KR2020000036472U KR20000036472U KR200226905Y1 KR 200226905 Y1 KR200226905 Y1 KR 200226905Y1 KR 2020000036472 U KR2020000036472 U KR 2020000036472U KR 20000036472 U KR20000036472 U KR 20000036472U KR 200226905 Y1 KR200226905 Y1 KR 200226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semiconductor element
water tan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동국
Original Assignee
에이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0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반도체소자(10)의 발열부측에 방열핀(20)과 송풍팬(30)이 부착되고, 상기 열전반도체소자(10)의 흡열부측에 물의 유입구(42)와 유출구(44)가 형성된 물탱크(40)가 밀착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는 유입구(42)로 유입된 물이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유출구(44)로 배출되도록 통공(47)이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도성 격판(48)이 설치되는데, 상기 격판(48)에 형성된 통공(47)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형성되고 인접하는 격판(48)은 그 통공(47)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의 물탱크내 체류시간을 향상시키고, 물의 냉각수단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서, 물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Water cooling unit with thermo electric module}
본 고안은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반도체소자에 물의 유입구/유출구가 형성된 탱크를 밀착설치하되 탱크내에는 물이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을 설치함으로써, 냉각수의 냉각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등 가열된 장치를 냉각시키거나, 음료용 또는 저온을 유지해야하는 물체에 사용되는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컴프레스형과 열전반도체형이 있는데, 컴프레스형은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증발기와 압축기가 필요하므로 부피가 크고 소음이 심해서 최근에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시스템은 주로 물이 공급되는 빈통에 열전반도체시스템의 흡열부를 밀착설치하여 물을 냉각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냉각수 공급 시스템은 물이 물탱크속으로 들어왔다가 그대로 배출되므로 물탱크내 체류시간이 짧고, 물과 물탱크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냉각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전반도체소자에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탱크를 밀착설치하되 탱크내에는 물이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체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도성 격판을 설치함으로써, 탱크로 유입된 물의 냉각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도 1의 탱크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열전반도체소자 20 : 방열핀
30 : 송풍팬 40 : 물탱크
42 : 유입구 44 : 유출구
47 : 통공 48 : 격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탱크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반도체소자(10)와, 상기 열전반도체소자(10)의 발열부측에 설치된 방열핀(20)과 송풍팬(30), 상기 열전반도체소자(10)의 흡열부측에 밀착설치되며 열전반도체소자(10)측 종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2)가 형성되고 타측 종단에는 유출구(44)가 형성되며 외주는 단열재(46)로 커버된 전도성 물탱크(40)와, 상기 열전반도체소자(10)와 송풍팬(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냉각수가 설정된 특정온도로 냉각되도록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물탱크(40)의 내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구(42)로 유입된 물이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유출구(44)로 배출되도록 통공(47)이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도성 격판(48)이 설치되는데, 상기 격판(48)에 형성된 통공(47)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형성되고 인접하는 격판(48)은 그 통공(47)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부호 60은 유출구(44)로 배출된 물이 유입구(42)로 순환되도록 하는 펌프이고, 62는 유입구(42)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이며, 64는 물이 유출구(44)로부터 유입구(42)로 순환될 경우 물탱크(40)내에 물이 부족할 경우 이를 충전하기 위한 밸브로써, 이들은 본 고안의 요지와는 상관없는 부가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열전반도체소자(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물탱크(40)측은 흡열부로 방열핀(20)측은 발열부가 되어, 발열부로 발열되는 열은 송풍팬(30)에 의하여 외기와 지속적으로 접하는 방열핀(20)으로 전달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이루게되고, 흡열부는 물탱크(40)의 열을 흡수하여 물탱크(40)와 격판(48)이 냉각되도록 하는데, 냉각된 물탱크(40)내로 유입된 물은 다숙개의 격판을 지그재그식으로 거치면서 격판(48)및 물탱크(40)와 열교환되어 충분히 냉각된 뒤 유출구(44)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물탱크(40)내에 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물이 냉각된 물탱크(40) 및 격판(48)과 접하므로, 물탱크(40)로 유입된 물의 냉각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물의 물탱크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냉각된 물탱크 및 격판과 접하므로 물의 냉각수단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물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열전반도체소자(10)의 발열부측에 방열핀(20)과 송풍팬(30)이 부착되고, 상기 열전반도체소자(10)의 흡열부측에 물의 유입구(42)와 유출구(44)가 형성된 물탱크(40)가 밀착설치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는 유입구(42)로 유입된 물이 지그재그식으로 흘러서 유출구(44)로 배출되도록 통공(47)이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도성 격판(48)이 설치되는데, 상기 격판(48)에 형성된 통공(47)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형성되고 인접하는 격판(48)은 그 통공(47)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장치.
KR2020000036472U 2000-12-19 2000-12-19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KR200226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72U KR200226905Y1 (ko) 2000-12-19 2000-12-19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72U KR200226905Y1 (ko) 2000-12-19 2000-12-19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905Y1 true KR200226905Y1 (ko) 2001-06-15

Family

ID=7306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72U KR200226905Y1 (ko) 2000-12-19 2000-12-19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4600B2 (ja) 発熱体冷却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駆動装置
KR200487943Y1 (ko) 반도체-기반 공조장치
KR100919525B1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수배전반
JP2011225074A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KR101185567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CN111895521A (zh) 散热器和空调室外机
KR101800374B1 (ko) 열전소자가 결합된 일체형 워터블록을 이용한 냉방장치
JP415608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130085633A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KR20060011811A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 일체형 냉각유닛
KR200226905Y1 (ko)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장치
JP2008106958A (ja) 熱交換器
KR20020019787A (ko)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KR101577054B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온수 공급유닛
KR200261557Y1 (ko) 통신장비용 냉각장치
KR1011726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40000909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기
KR200226906Y1 (ko) 열전반도체소자를 이용한 금형냉각기
KR102451040B1 (ko) 열전소자 열교환 모듈
KR20190093934A (ko) 냉수 공급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235565Y1 (ko) 고효율의 열전도성을 갖는 액체냉각방식의선형전력증폭기 유니트용 알루미늄 방열판 구조
KR200401756Y1 (ko) 열교환 유니트
KR20000010950U (ko) 열전 냉각기
KR100335828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순간 냉/온수기
JPH06201215A (ja) 電子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