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30Y1 -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 Google Patents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30Y1
KR200226630Y1 KR2020000036488U KR20000036488U KR200226630Y1 KR 200226630 Y1 KR200226630 Y1 KR 200226630Y1 KR 2020000036488 U KR2020000036488 U KR 2020000036488U KR 20000036488 U KR20000036488 U KR 20000036488U KR 200226630 Y1 KR200226630 Y1 KR 200226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ottom plate
longitudinal
fl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식
Original Assignee
허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식 filed Critical 허인식
Priority to KR2020000036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30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위쪽에는 양쪽의 상부종대(12)와 상부횡대(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바닥유지대(10)가 결합되어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아래쪽으로는 하부종대(22)와 하부횡대(24)와의 결합으로 하부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고정되면서 그 외부를 포장외장천(40)으로 마감처리하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있어서, 매트리스(50)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10)의 종방향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10)들과의 간격보다 2배 이상으로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높히면서 그 위로는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30)로 내장보강시킴으로서 단프라시트라 불리우는 별도의 상부수지판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매트리스(50)도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A Bottom Plate For Bed Mattress}
본 고안은 침대몸체 위의 매트리스를 받쳐주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의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들과의 간격보다 2배 이상으로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높히면서 그 위로는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로 내장보강시킴으로서 단프라시트라 불리우는 별도의 상부수지판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매트리스도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딱딱한 실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한 침대의 바닥판 위에 스프링탄력의 쿠션을 갖는 매트리스를 안착시켜, 사용자가 매트리스 위에 누워 편안하게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침대몸체 위에 놓여지는 바닥판과 매트리스와의 조립구조로써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침대는 딱딱한 실내바닥에 이브자리를 펼치는 이불문화 대신에 사용자가 언제라도 침대의 부드러운 쿠션의 매트리스에 누워 휴식 및 수면을 편리하게 취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침대몸체 위에 안착되는 매트리스를 받쳐주는 바닥판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횡대가 종대와 결합되어 뗏목형태를 구성하여 그 외부에 발포지를 포함한 외장천으로 포장되었으며, 이때 나무재질의 바닥판 위에는 통상 단프라시트 (Danpla Sheet)라 불리우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PP Coplymer Resin)로 적층 보호되어 매트리스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트리스바닥판의 분리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횡대(114)와 상부종대(112) 및 중간의 바닥유지대(110)와의 결합으로 바닥판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아래쪽에는 하부횡대(122)와 하부종대(124)의 결합으로 하부구조를 형성하여 바닥판을 이루게되는 한편, 이 바닥판 위로는 단프라시트라 불리우는 별도의 상부수지판(140)과 함께 열가소성 섬유인 부직포(130)가 내부보호되면서 천재질의 포장외장천(도면도시 생략)으로 마감처리되었다.
그런데, 바닥판의 상부구조로 양쪽의 상부횡대(114) 사이에 배열되어 매트리스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바닥유지대(110)가 이웃하는 다른 바닥유지대(110)들과의 간격보다 훨씬 작게 형성되는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42)가 형성된 별도의 상부수지판(140)을 추가조립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어 그만큼 구성부품 및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것은 물론 바닥판 자체의 지지강도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매트리스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의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들과의 간격보다 2배 이상으로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높히면서 그 위로는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로 내장보강시킴으로서 단프라시트라 불리우는 별도의 상부수지판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매트리스도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리스바닥판의 상부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리스바닥판의 하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매트리스바닥판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매트리스바닥판이 침대몸체에 장착되는 조립구조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트리스바닥판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유지대 12 : 상부종대
14 : 상부횡대 20 : 바닥판
22 : 하부종대 24 : 하부횡대
26 : 고정수단 30 : 보강시트
40 : 포장외장천 50 : 매트리스
60 : 침대몸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은, 위쪽에는 양쪽의 상부종대와 상부횡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바닥유지대가 결합되어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아래쪽으로는 하부종대와 하부횡대와의 결합으로 하부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고정되면서 그 외부를 포장외장천으로 마감처리하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있어서, 매트리스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의 종방향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들과의 간격보다 2-3배 내외로 확장형성시켜 조밀하게 배열설치하는 한편,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바닥판의 바닥유지대 위로 보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트리스바닥판의 결합상태를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에서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트리스바닥판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4는 본 고안의 바닥판(20)이 보강시트(30)와 함께 포장외장천(40)으로 마감처리되어 침대몸체(60) 위에 설치되면서 그 위로 매트리스(50)가 안착되는 조립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매트리스바닥판은 매트리스(50)를 통한 사용자의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바닥판(20)의 상부쪽 바닥유지대(10) 각각의 종방향 폭이 이웃하는 바닥유지대(10)들과의 간격보다 2-3배 내외로 확장형성되어, 매트리스(50)로부터의 압력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면서 강도유지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배열설치된다.
이와같이 형성배열되는 다수의 바닥유지대(10)를 중심으로 양쪽 외측에 상대적으로 길이연장된 상부횡대(14)가 연장배열되면서 이들 상부횡대(14)의 양측 사이에는 각각 상부종대(12)가 끼움배열되어 상기 바닥판(20)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그 아래쪽에는 상기 위쪽의 상부종대(1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연장된 하부종대(22)가 양측과 중간에 배열설치되면서 이들 하부종대(22) 사이의 양측으로는 상대적으로 길이축소된 하부횡대(24)가 끼움배열되어 상기 바닥판(20)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들 각 구성부품들은 별도의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26)으로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금까지 내부보호재로서 바닥판(20) 위에 내장설치되는 부직포(도 5의 130) 및 단프라시트인 상부수지판(도 5의 140) 대신에 열가소성 합성섬유로 기계적 강도가 대단히 우수한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30)로 대체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부수지판의 추가조립이 필요없이 상기 바닥판(20)과 보강시트(30)로만 내부 구성부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그 외부를 천재질인 통상의 포장외장천(40)으로 마무리 마감처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매트리스바닥판은 매트리스(50)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10)의 종방향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10)들과의 간격보다 2배 내지 3배 정도로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높힐 수 있으며, 더나아가 바닥판(20)의 상부구조 위를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30)로 내부보강시킴으로서 별도의 상부수지판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작업공수가 줄어들면서 매트리스(50)도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바람직한 기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작용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싱글형 은 물론 더블형의 여러가지로 실시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응용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는 더블형의 경우에는 이들 상부종대(12) 및 상부횡대(14)와 하부종대(22) 및 하부횡대(22)에 대한 서로간의 설치구조를 상반되게 배열설치되는데, 이들의 배열구조에 의한 바닥판(20) 2개를 서로 맞대어 하나의 바닥판으로 사용하여 기본 실시예에서와 마참가지로 1개의 보강시트(30)와 포장외장천(40)으로 마감처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의하면, 매트리스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의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들과의 간격보다 2배 이상으로 확장시켜 지지강도를 높히면서 그 위로는 별도의 상부수지판과 부직포 없이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로 내장보강시킬 수 있어, 구성부품 및 전체적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고 매트리스도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고 건강하게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위쪽에는 양쪽의 상부종대(12)와 상부횡대(1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바닥유지대(10)가 결합되어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아래쪽으로는 하부종대(22)와 하부횡대(24)와의 결합으로 하부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고정되면서 그 외부를 포장외장천(40)으로 마감처리하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에 있어서,
    매트리스(50)를 통한 압력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상부쪽 바닥유지대(10)의 종방향 폭을 이웃하는 바닥유지대(10)들과의 간격보다 2-3배 내외로 확장형성시켜 조밀하게 배열설치하는 한편, 부직포 대신에 장섬유재질의 보강시트(30)가 상기 바닥판의 바닥유지대(10) 위로 보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KR2020000036488U 2000-12-26 2000-12-26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KR200226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88U KR200226630Y1 (ko) 2000-12-26 2000-12-26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88U KR200226630Y1 (ko) 2000-12-26 2000-12-26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30Y1 true KR200226630Y1 (ko) 2001-06-15

Family

ID=7306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88U KR200226630Y1 (ko) 2000-12-26 2000-12-26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407B2 (en) Air permeable fabric sheet member
US3209380A (en) Rigid mattress structure
US7080421B1 (en) Bedding article with overlaying portions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US5233709A (en) Bedstead
US6954953B2 (en) Novelty cushion
US7219486B1 (en) Moisture-wicking saddle pad
KR200226630Y1 (ko) 침대용 매트리스바닥판
US6360390B1 (en) Edge support for a mattress
JP2000093262A (ja) 芯 材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US20090158528A1 (en) Mattress
KR200284224Y1 (ko) 매트리스
EP1127521B1 (en) Interior for a mattress
KR200495037Y1 (ko) 길이 조절 저상 침대 프레임
KR102494701B1 (ko)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CN113905636A (zh) 用于一件家具的家具设备
KR102327678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KR102356586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KR200303203Y1 (ko) 침대용 깔개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KR102253541B1 (ko) 침대 매트리스
KR200196913Y1 (ko) 침대용 매트리스 바닥판
WO2017106435A1 (en) Under mattress support
KR200378450Y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통풍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