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13Y1 - 스노클 - Google Patents

스노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13Y1
KR200226613Y1 KR2020000035514U KR20000035514U KR200226613Y1 KR 200226613 Y1 KR200226613 Y1 KR 200226613Y1 KR 2020000035514 U KR2020000035514 U KR 2020000035514U KR 20000035514 U KR20000035514 U KR 20000035514U KR 200226613 Y1 KR200226613 Y1 KR 20022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snorkel
ai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연
Original Assignee
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연 filed Critical 류기연
Priority to KR2020000035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13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노클에 별도 구비된 호스를 연장하여 좀 더 깊은 수심으로의 잠수와, 그 내부로의 물 유입 방지 및 공기가 원활히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 공기를호흡하기 위한 스노클에 있어서, 상기, 스노클(10)의 파이프(12) 끝단부와 결합되어 깊은 수심에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의 유입방지및 견고한 고정을 위해 조임수단(22)에 의해 그 일단부가 체결되는 호스(20)와; 상기, 호스(20)의 끝단부에 일정 크기의 구(32)가 형성되며, 그 외부면 상부 중심에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호스(20)가, 상기 구(32) 내부 하단에 구비된 무게추(34)에의해 수면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며, 수면 위에 띄워지는 부유구(30)와; 상기, 부유구(30) 상부 중심에 연장된 호스(20)의 끝단부에 부유구(30)보다 작은 구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홈(42)이 다수 형성된 공기 흡입구(4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스노클에 호스를 길게 연장하여 연결함으로서 수심 깊이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제약 및 파도의 출렁임 이로 인한 기울어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입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노클{A Snorkel}
본 고안은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노클에 별도 구비된 호스를 연장하여 좀 더 깊은 수심으로의 잠수와, 그 내부로의 물 유입 방지 및 공기가 원활히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클은 짧은 길이의 파이프와, 주름호스, 마우스피스로 구성되며, 상기 스노클은 물 표면의 아래 즉, 깊지 않게 잠수하면서 호흡을 계속 유지하여 물 속을 관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스노클을 사용하여 좀 더 깊은 수중으로 잠수하여 물 속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우선, 물속에서 헤엄 중 머리가 수시로 깊이 잠기게 되어 물이 파이프로 쉽게 유입되며, 유입된 물을 불어 제거하더라도 자주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한 호흡 곤란의 문제와, 또한, 파이프로 물이 많이 유입이 되면 불어서 밖으로 배출하기가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스노클을 이용하여 좀 더깊은 수중으로의 잠수는 불가능하며, 파이프가 완전히 물에 잠기게 되어 호흡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표면 밖으로 나온 파이프는 파도의 출렁임이나 헤엄시 또는 얼굴을 움직이게 되면 상기 파이프가 기울어져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깊은 잠수를 할 수 있도록 스노클의 일단에 별도의 호스를 구비하여 연장하고, 물표면 밖으로 나온 호스에 부유체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공기 흡입구를 별도로 형성하여 헤엄시또는 파도의 출렁임에도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호스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 스노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역류방지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부유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흡입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스노클 12: 파이프
14: 고정부 16: 역류방지막
18: 공기 배출구 20: 호스
22: 조임수단 30: 부유구
32: 구 34: 무게추
40: 공기 흡입구 42: 홈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공기를 호흡하기 위한 스노클에 있어서, 상기, 스노클의 파이프 끝단부와 결합되어깊은 수심에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의 유입방지 및견고한 고정을 위해 조임수단에 의해 그 일단부가 체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끝단부에 일정 크기의 구가 형성되며, 그 외부면 상부 중심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호스가, 상기 구 내부 하단에 구비된 무게추에 의해 수면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며, 수면 위에 띄워지는 부유구와; 상기, 부유구 상부 중심에 연장된 호수의 끝단부에 부유구보다 작은 구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홈이 다수 형성된 공기 흡입구가 일체로 형성된 스노클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에 관한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통하여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역류방지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부유구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흡입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사용상태를 나탄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노클(10)의 파이프(12) 끝단부에 깊은 수심에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일정 길이를 가지는 호스(20)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또한 결합부위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견고한 고정을 위해 조임수단(22)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20)의 끝단부에 일정 크기의 구(32)가 형성되며, 그 외부면 상부 중심에 소정의 길이로 호스(20)가 연장되고, 상기 구(32) 내부 하단에 구비된 무게추(34)에 의해 수면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며, 수면 위에 띄워지는 부유구(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유구(30) 상부 중심에 연장된 호스(20)의 끝단부에 부유구(30)보다 작은 구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홈(42)이 다수 형성된 공기 흡입구(4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노클의 작용은, 상기 스노클(10)의 파이프(12) 끝단부에 연결되는 호스(20)는 사용자가 깊은 수심에서 행동의 제약을 안 받도록 재질이 유연한 호스(20)를 이용하며, 호스(20)의 길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또는 수심에 맞춰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노클(10) 파이프(12) 끝단부에 결합되는 호스(20)는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위에는 조임수단(22)을 체결한다.
상기, 조임수단(22)의 역할은 수중에서의 헤엄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견고히 고정을 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밴드 형태로 즉, 원형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일단과 끝단을 맞물린 다음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압착되어 조여지는 것으로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꼭 밴드 형태가 아니더라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스노클(10)의 파이프(12) 내부로 물이 유입될 경우 유입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노클(10)의 파이프(12) 내부에 얇은 비닐막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유동되는 역류방지막(16)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방지막(16)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14)가 그 일단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파이프(12) 일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사용자의 공기 흡입시 상기, 역류방지막(16)은 사용자의 입 방향으로 기울져 공기가 이송되어 호흡을 할 수 있으며, 유입된 물의 배출은 사용자가 상기 역류방지막(16)으로 바람을 불면 그 바람은 역류방지막(16)에 부딪히면서 파이프(12) 내부를 막게되고, 상기, 역류방지막(16)이 바람에 의해 파이프(12) 내부를 막게 되면 바람은 다시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그 바람은 상기 파이프(12) 내부 저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8)로 이송되어 배출되면서 유입된 물과 함께 배출된다.
또한, 상기 호스(20)의 끝단부에는 부유구(30)가 형성되는데, 상기 부유구(30)는 구(32)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 상부 중심에는 호스(20)의 길이가 길지 않는 소정의 길이의 갖는 호스(20)가 연장되며, 상기 부유구(30) 내부 하단에는 무게추(34)가 구비된다.
상기, 부유구(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20)의 끝단부에 형성된 부유구(30)와 그 외부 상면에 연장된 호스(20)는, 상기 스노클(10) 파이프(12) 끝단부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연결된 호스(20)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연결부위가 없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조임수단(22)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부유구(30) 내부 저면 중심으로부터 그 외부 상면 중심의 상부로 호스(20)가 일체로 연장되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끝단부에는 부유구(30)보다 작은 구가 형성되며, 그 외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홈(42)이 다수 형성된 공기 흡입구(4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40) 또한 호스(20)와 같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한편, 상기, 부유구(30) 내부 저면에 구비되는 무게추(34)의 역할은, 부유구(30)가 수면에 띄워질 때 그 상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40)가 파도의 심한 출렁임으로 기울어지거나 수면과 수평하게 되어 그 외부면에 다수 형성된 홈(42)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항상 수면과 수직된 방향으로 유지하여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수면에 띄워진 부유구(30)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수중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구(40)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홈(4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그 저면에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된 부유구(30) 그 내부를 통과하여 일체로 연장된 호스(20)로 이송되며, 그 일단에 연결된 스노클(10) 파이프(12) 내부로 공기가 이송되어 깊은 수심에서도 사용자가 원활한 공기를 공급받아 활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은, 기존의 스노클에 호스를 길게 연장하여 연결함으로서 수심 깊이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수면에 띄우는부유구 상면으로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부유구 내부 저면에 무게추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제약 및 파도의 출렁임 이로 인한 기울어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입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물표면 이하의 수중에서 물위의 공기를 호흡하기 위한 스노클에 있어서,
    상기, 스노클(10)의 파이프(12) 끝단부와 결합되어 깊은 수심에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의 유입방지 및 견고한 고정을 위해 조임수단(22)에 의해 그 일단부가 체결되는 호스(20)와;
    상기, 호스(20)의 끝단부에 일정 크기의 구(32)가 형성되며, 그 외부면 상부 중심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호스(20)가, 상기 구(32) 내부 하단에 구비된 무게추(34)에 의해 수면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며, 수면 위에 띄워지는 부유구(30)와;
    상기, 부유구(30) 상부 중심에 연장된 호스(20)의 끝단부에 부유구(30)보다 작은 구의 형상으로 그 외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홈(42)이 다수 형성된 공기 흡입구(4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클.
KR2020000035514U 2000-12-18 2000-12-18 스노클 KR200226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14U KR200226613Y1 (ko) 2000-12-18 2000-12-18 스노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14U KR200226613Y1 (ko) 2000-12-18 2000-12-18 스노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13Y1 true KR200226613Y1 (ko) 2001-06-15

Family

ID=7309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514U KR200226613Y1 (ko) 2000-12-18 2000-12-18 스노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682B1 (ko) * 2020-12-18 2021-05-18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침몰선의 잔존유 포집 및 이송장치
KR102301709B1 (ko) * 2020-09-24 2021-09-14 김진우 잠수 깊이 확장형 수중 호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09B1 (ko) * 2020-09-24 2021-09-14 김진우 잠수 깊이 확장형 수중 호흡장치
KR102253682B1 (ko) * 2020-12-18 2021-05-18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침몰선의 잔존유 포집 및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791A (en) Dry snorkel
US5092324A (en) Snorkel for skin divers
US7165545B1 (en) Splash protection device for snorkel
EP0377919B1 (en) Skin diving snorkel
GB2311227A (en) Floating snorkel with ball-valve for supplying air to a divers mask
KR200226613Y1 (ko) 스노클
US4583536A (en) Breathing apparatus for underwater swimming or diving
KR200240534Y1 (ko) 다이빙 스노클
US5027805A (en) Snorkel assembly
US6408844B1 (en) Breathing apparatus
US7069927B1 (en) Waterproof device for a snorkel
US7909030B2 (en) Elliptical purge valve for snorkels
KR200346397Y1 (ko) 스노클용 물 유입 방지장치
US20050145244A1 (en) Inlet valve apparatus and valve system
KR100501009B1 (ko) 수중호흡장치
CN2460441Y (zh) 自动排水浮潜球装置
KR200446807Y1 (ko) 물놀이 잠수용 호흡기
KR200199702Y1 (ko) 수직위치 복원력이 있는 부유물을 이용한 수영인의 깊은수중 호흡기
KR200203213Y1 (ko) 수중 호흡기
US20090126726A1 (en) Diving Snorkel
KR200230051Y1 (ko) 수중 호흡 장치
KR200280591Y1 (ko) 잠수 수경
KR200356069Y1 (ko) 수중 호흡기
GB2148128A (en) Simple diving device
KR200313572Y1 (ko) 수중 호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