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82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82Y1
KR200226582Y1 KR2020000033580U KR20000033580U KR200226582Y1 KR 200226582 Y1 KR200226582 Y1 KR 200226582Y1 KR 2020000033580 U KR2020000033580 U KR 2020000033580U KR 20000033580 U KR20000033580 U KR 20000033580U KR 200226582 Y1 KR200226582 Y1 KR 200226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ckrest
support member
support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동
Original Assignee
한명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동 filed Critical 한명동
Priority to KR2020000033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82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 등받이부의 중앙 저부면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으로 분리된 등받이부의 배면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등받이부를 좌판과 결속시키되, 상기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분리된 등받이부의 영역에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등받이부의 전,후 압착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절개부를 중심으로 작용하는 비틀림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석시 안정감과 동시에 의자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A 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 등받이의 하부를 절개하여 사용 시 등받이부의 전,후 압착력을 용이하게 수용함과 동시에 절개부를 중심으로 작용하는 비틀림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석시 안정감과 동시에 의자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허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자의 구조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지고 있어 필요에 맞는 형태에 따라 적합한 의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고 있다. 특히 장기간 앉아 있는 경우에도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는 형태의 의자가 개발되어지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듀오 백 및 쓰리 백과 같은 의자 등받이를 분할시킨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의자에 있어서, 그 구조상 주로 척추의 상단부에만 영향을 미치고,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척추의 하측 부위, 예컨데 요추 1번∼5번 위치에 해당하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어 장기간 앉아 있을 경우 척추에 부담이 가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장기간 앉아 있을 경우에도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구조의 합리화로 제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배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
도 5 는 상기 도 4 의 지지부재 결착부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 와 도 6b 는 상기 도 4 에 도시된 지지수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 고안에 따른 의자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9 는 상기 도 8 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
도 10 은 상기 도 9 에 도시된 상부 결착부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등받이부 2,2' : 하부 지지부재(제1 지지부재)
3 : 제2 지지부재 연결부 4,5 : 제1 지지부재 결착부
6,7 : 지지부 8 : 절개공
9 : 절개부 10 : 상부 지지부재(제2 지지부재)
11 : 좌판 12 : 다리
13 : 간극봉 14 : 탄성부재
15,16 : 체결볼트 17 : 너트
18 : 제1 고정부재 19 : 갈고리형 수용부
20 : 제1 결착부재 21 : 걸림턱
23 : 나사홈 24 : 굴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좌판과, 상기 좌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좌판의 후측 단부 부근에 위치하여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판과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인체의 등 전체를 감싸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고, 그 하측 단부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한 등받이부의 후방에 전,후 방향의 작용 힘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틀림운동을 원할히 하도록 지지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좌판의 하부를 거쳐 등받이부 후방의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나온 지지부재로서, 그 상측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결착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하부부위는 접촉하는 상기 등받이부의 해당부위만을 지지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파이프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양측 등받이부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수단은 그 일측은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유동 가능한 접촉이 되도록 할 경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는 두 개의 지지부재가 등받이부의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상에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와 지지부를 구비할 경우 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건조용 옷걸이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배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엉덩이 부위를 받쳐주는 좌판(11)과, 상기 좌판(11)의 후측에 위치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를 상기 좌판(11)에 연결시키는 상부 지지부재(제1 지지부재)(2,2') 및 상기 상부 지지부재(2,2')를 결착시키는 결착부(4,5)로 크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등받이부(1)는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조금씩 증가하는 형태의 일정폭을 가진 판재로서, 그 형상은 인체의 등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구비하도록 하며, 재질은 목재나 기타 일정 자체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는 그 하측 단부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한 절개부(9)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9)의 상측 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절개공(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등받이부(1)를 의자의 하부 좌판(11)과 연결시키는 지지부재(2,2')는 상기 도3과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좌판(11)의 저부로부터 등받이부(1)의 배면부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각각 절곡된 부위를 중심으로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진다. 즉 좌판(11)의 저부면에 위치하는 바닥부위(2c), 상기 바닥부위(2c)에서 등받이부(1)의 저부면으로 굴곡되는 부위에 위치하되, 상부로 갈수록 양측방향으로 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결부위(2b) 및 상기 연결부위(2b)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직선부위(2a)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지지부재(2,2')는 두 개의 지지부재(2,2')가 등받이부(1)의 절개부(9)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2')를 등받이부(1)와 적절하게 결합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4,5)와 지지부(6,7)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4,5)는 상기 지지부재(2,2')의 단부에서 일련의 결착수단(도5의 13,16,17)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2')를 등받이부(1)와 완전 결착시킨다.
도 5 는 상기 결착수단(13,16,17)의 분해도로서, 등받이부(1)와 지지부재(2,2')와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간극봉(13)과, 등받이부(1)의 외측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는 너트(17)와, 지지부재(2,2')의 바깥측에서 상기 너트(17)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결착된 상태는 상기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간극봉(13)으로 인해 지지부재(2,2')와 등받이부(1)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지지대(2,2')의 직선부위(2a)의 하단부에서는 등받이부(1)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9)의 양측면에 위치한 각각의 등받이부(1)를 지지하는 지지부(6,7)가 구비되어 있다.
도 6a 와 도 6b 는 상기 지지부(6,7)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의 절개된 양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부(6,7)는 일측 단부가 지지부재(2,,2')에 결착되고, 그 타측 단부는 등받이부(1)의 전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되, 등받이부(1)의 유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도 6a 의 예에서는 전면에 갈고리형의 수용부(19)가 형성되고, 그 저부면이 등받이부(1)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재(18)와,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고정부(19) 내부로 삽입되어 유동 결착되도록 걸림턱(21)이 형성되고, 타측단은 하부 중심부에 나사 홈(22)이 형성되어 지지부재(2,2')에 고정되는 제1 결착부재(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지부재(2,2')에 일측단이 결착된 제1 결착부재(20)는 등받이부(1)에 그 저부면이 결착된 제1 고정부재(18)의 갈고리형 수용부(19) 내부로 그 단부가 삽입되어 등받이부(1)를 지지함과 아울러 등받이부(1)의 비틀림 현상을 원할히 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6,7)는 마치 시이소의 중심축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체조건에 따라 또는 앉는 자세에 따라 등받이부(1)가 신체의 요추 척추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6,7)의 다른 구조의 예를 도 6b 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저부면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홈(23)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2')의 전면에 고정되고, 그 상부면은 볼록한 굴곡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24)가 등받이부(1)에 접촉되도록 하여 등받이부(1)를 지지함과 아울러 등받이부(1)의 비틀림 운동을 원할히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7 은 상기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의자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부(1)의 형상은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자의 인체의 등 전체를 편안히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그 내측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며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8 과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 은 의자의 배면도이고, 도 9 는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의자의 등받이부(1)를 지지하는 상부 (제1)지지부재(2,2')의 상측 단부에 제2 지지부재(10)가 결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2,2')의 결착을 견고히 함과 아울러, 의자의 비틀림 운동 등에 대해 안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 지지부재(10)는 상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부(1)와는 결착되지 않고 그 사이에 탄성부재(14)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15)로 제1 지지부재(2,2')와 결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재(10)는 제1 지지부재(2,2')와만 결착되므로 지지부재의 결속을 강화하고 등받이부(1)의 전, 후 유동성을 확보한다.
한편,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의자 등받이부(1)에 형성된 절개부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의자의 탄성변형이 원할하고 비틀림 운동에 대해서도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 착석시 척추의 하부부위까지 완전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의자 등받이부의 중앙 저부면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으로 분리된 등받이부의 배면에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등받이부를 의장의 좌판과 결속시키되,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분리된 등받이부의 영역에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등받이부의 전,후 압착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절개부를 중심으로 작용하는 비틀림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석시 안정감과 동시에 의자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의자에 착석 시 척추의 가장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는 요추 1번에서 5번이 위치한 척후 하단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부재를 이용한 의자의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 경비 절감을 기할 수 있다.

Claims (6)

  1. 좌판(11)과, 상기 좌판(1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리(13)와, 상기 좌판(11)의 후측 단부 부근에 위치하여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등받이부(1)와, 상기 좌판(11)과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2,2')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는 인체의 등 전체를 감싸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고, 그 하측 단부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9)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9)의 양측에 위치한 등받이부(1)의 후방에 전,후 방향의 작용 힘을 지지함과 동시에 비틀림운동을 원할히 하도록 지지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좌판의 하부를 거쳐 등받이부 후방의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어 나온 지지부재로서, 그 상측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결착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하부부위는 접촉하는 상기 등받이부의 해당부위만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파이프 형의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양측 등받이부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수단은 그 일측은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유동 가능한 접촉이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두 개의 지지부재가 등받이부의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상에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4,5)와 지지부(6,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형성된 절개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00033580U 2000-11-30 2000-11-30 의자 KR200226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80U KR200226582Y1 (ko) 2000-11-30 2000-11-30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80U KR200226582Y1 (ko) 2000-11-30 2000-11-30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309A Division KR100359651B1 (ko) 2000-11-28 2000-11-28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582Y1 true KR200226582Y1 (ko) 2001-06-15

Family

ID=7309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80U KR200226582Y1 (ko) 2000-11-30 2000-11-30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7521A (en) Chair having a resiliently interconnected seat and back
JP5442792B2 (ja) 腰椎支持座布団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CA2057712C (en) Back support and internal frame
US6755468B1 (en) Folding chair
GB2282755A (en) Single piece chair shell
US3899207A (en) Chairs
US20020043841A1 (en) Ergonomic chair-armchair structure, particularly for office, of the type equipped with adjustable kidneyrest and headrest
KR200256511Y1 (ko) 골반 교정용 의자
CA2316368A1 (en) Chair with a backrest
EP3850990B1 (en) Chairback support structure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0226582Y1 (ko) 의자
KR100359651B1 (ko) 의자
JPH10179313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EP2592971B1 (en) A sitting arrangement
US4699422A (en)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270434Y1 (ko) 의자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JP2004208813A (ja) 椅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260618Y1 (ko) 의자
KR200175127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