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18Y1 -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 Google Patents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18Y1
KR200226318Y1 KR2020000036705U KR20000036705U KR200226318Y1 KR 200226318 Y1 KR200226318 Y1 KR 200226318Y1 KR 2020000036705 U KR2020000036705 U KR 2020000036705U KR 20000036705 U KR20000036705 U KR 20000036705U KR 200226318 Y1 KR200226318 Y1 KR 200226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es
stacked
convex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2020000036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18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자의 마주 보는 측면 부위에 요홈부 및 철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부위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자의 적층 및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는 각 측면(4면)의 상단 부위부터 하단 부위까지 형성되어 상자의 적층과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요홈부와 철부, 역시 요홈부와 철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와 바닥부, 테두리부와 바닥부 사이에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 상자의 밑면 부위에 형성되어 상자를 서로 적층 시 상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착할 수 있는 걸림 턱(결착부)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 a box which can pile and overlap }
본 고안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측면 부위의 상단 부위에서부터 하단 부위까지 요홈부 및 철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부에서 바닥부로 내려갈수록 즉, 상자의 하단 부위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상자의 적층(쌓음)과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과일, 곡류 등), 부품, 공구 및 기타의 물건(과자, 서류 등)을 보관, 이동 및 운반하기 위해 사각형 구조의 상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내용물이 상자 내부에 있을 경우에는 적층(상자와 상자를 바닥과 테두리를 결착하여 쌓음)만을 할 수 있고, 빈 상자일 경우에는 상자의 포개짐(종이 컵과 같이 포개어 쌓음)이 되지 않아 빈 상자의 운반이 어렵고, 그에 따른 물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구조 즉, 상자의 하단부위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끔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조일 경우에,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은 거의 불가능하고, 별도로 덮개를 덮어 상자를 적층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자의 적층 및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어,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 및 빈 상자의 포개짐을 용이하게 하고,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 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의 구조(A 측면부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A 측면부
A-1 : A 측면부의 상단 요(凹)홈부 A-2 : A 측면부의 상단 철(凸)부
A-3 : A 측면부의 하단 요홈부 A-4 : A 측면부의 하단 철부
B : B 측면부
B-1 : B 측면부의 상단 요(凹)홈부 B-2 : B 측면부의 상단 철(凸)부
B-3 : B 측면부의 하단 요홈부 B-4 : B 측면부의 하단 철부
C : C 측면부
C-1 : C 측면부의 상단 요(凹)홈부 C-2 : C 측면부의 상단 철(凸)부
C-3 : C 측면부의 하단 요홈부 C-4 : C 측면부의 하단 철부
D : D 측면부
D-1 : D 측면부의 상단 요(凹)홈부 D-2 : D 측면부의 상단 철(凸)부
D-3 : D 측면부의 하단 요홈부 D-4 : A측면부의 하단 철부
10 : 테두리부 20 : 경사면
30 : 바닥부
40 : 걸림 턱(결착부)
40-a : A면 결착부 40-b : B면 결착부
40-c : C면 결착부 40-d : D면 결착부
이와 같은 목적은 각 측면부(4면)의 상단 부위부터 하단 부위까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과 빈 상자의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요홈부와 철부, 역시 요홈부와 철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와 바닥부,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테두리부와 바닥부 사이 즉, 상자의 하단 부위로 내려 가는 측면 부위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 상자의 밑면 부위에 형성되어 상자를 서로 적층 시 상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착할 수 있는 걸림 턱(결착부)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 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의 구조(A 측면부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는 플라스틱, 나무 등의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 상자에 있어서, 각 측면부(A, B, C, D)의 상단 부위부터 하단 부위까지 형성되어 있는 요(凹)홈부(A-1, A-3, B-1, B-3, C-1, C-3, D-1, D-3)와 철(凸)부(A-2, A-4, B-2, B-4, C-2, C-4, D-2, D-4)를 갖고 있다.
상기 요홈부(A-1, A-3, B-1, B-3, C-1, C-3, D-1, D-3)와 철부(A-2, A-4, B-2, B-4, C-2, C-4, D-2, D-4)는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 및 빈 상자의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부는 상단 부위(A-1)에서 하단 부위(A-3)로 내려갈록 점점 넓어지고, 철부는 상단 부위(A-2)에서 하단 부위(A-4)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는 각 측면부(A, B, C, D)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동일한 형태의 빈 상자를 서로 포개려고 할 경우에는 요홈부와 철부를 정확히 맞추어 상자 위에 올려 놓기만 하면 되고, 내용물이 있는 상자를 적층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개려고 하였던 위치에서 위에 있는 상자를 180도 회전(들어서 이동)하여 아래의 상자에 내려 놓으면 된다.
즉, 적층 시에는 A 측면부의 하단 철부(A-4)는 C 측면부의 상단 요홈부(C-1)에, 동일한 방식으로 B-4는 D-1에, C-4는 A-1에, D-4는 B-1에 각각 결착되어 내용물이 있는 상자를 계속해서 적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테두리부(10)와 바닥부(30)는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각 측면부(A, B, C, D) 측면부에 형성된 요홈부와 철부가 연결되며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다.
상기 경사면(20)은 상자의 테두리부(10)와 바닥부(30) 사이의 측면부(A, B, C, D)로, 테두리부(10)에서 바닥부(30)로 내려갈수록 즉, 상자의 하단 부위로 내려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동일한 빈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걸림 턱(40, 결착부)은 상자의 바닥부(30) 밑면에 형성되어(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 시 상자가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착할 수 있는 바, 위에 있는 상자를 180도 회전하여 아래의 상자 위에 적층하면 A면 결착부(40-a)가 C 측면부의 상단 요홈부(C-1)의 내면부에 결착되고, 동시에 40-b는 D-1, 40-c는 A-1, 40-d는 B-1의 내면부에 각각 결착되어 상자를 적층 시 상자가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는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 및 빈 상자의 포개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어 상자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스틱, 나무 등의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 상자에 있어서, 각 측면부(A, B, C, D)의 상단 부위부터 하단 부위까지 요(凹)홈부(A-1, A-3, B-1, B-3, C-1, C-3, D-1, D-3)와 철(凸)부(A-2, A-4, B-2, B-4, C-2, C-4, D-2, D-4)로 형성되어 있고, 요홈부는 각 측면부의 상단 요홈부(A-1, B-1, C-1, D-1)에서 하단 요홈부(A-3, B-3, C-3, D-3)로 내려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고, 철부는 각 측면부의 상단 철부(A-2, B-2, C-2, D-2)에서 하단 철부(A-4, B-4, C-4, D-4)로 내려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동일한 형태의 빈 상자를 서로 포개려고 할 경우에는 요홈부와 철부를 정확히 맞추어 상자 위에 올려 놓고, 내용물이 있는 상자를 적층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개려고 하였던 위치에서 위에 있는 상자를 180도 회전(들어서 이동)하여 아래의 상자에 내려 놓으면 되고, 상자를 적층 시에는 A 측면부의 하단 철부(A-4)는 C 측면부의 상단 요홈부(C-1)에, 동시에 B-4는 D-1에, C-4는 A-1에, D-4는 B-1에 각각 결착되고, 테두리부(10)와 바닥부(30)는 상자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각 측면부(A, B, C, D) 측면부에 형성된 요홈부 및 철부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자의 테두리부(10)와 바닥부(30) 사이의 측면부(A, B, C, D)에 테두리부(10)에서 바닥부(30)로 내려갈수록 즉, 상자의 하단 부위로 내려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 턱(40, 결착부)이 상자의 바닥부(30) 밑면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있는 상자의 적층 시 위에 있는 상자를 180도 회전하여 아래의 상자 위에 적층하면 A면 결착부(40-a)가 C 측면부의 상단 요홈부(C-1)의 내면부에 결착되고, 동시에 40-b는 D-1, 40-c는 A-1, 40-d는 B-1의 내면부에 각각 결착되어 상자가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KR2020000036705U 2000-12-27 2000-12-27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KR200226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05U KR200226318Y1 (ko) 2000-12-27 2000-12-27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05U KR200226318Y1 (ko) 2000-12-27 2000-12-27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18Y1 true KR200226318Y1 (ko) 2001-06-15

Family

ID=7309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05U KR200226318Y1 (ko) 2000-12-27 2000-12-27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85B1 (ko) 2007-08-09 2009-09-17 강갑선 적재 상자 적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85B1 (ko) 2007-08-09 2009-09-17 강갑선 적재 상자 적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618B2 (en)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US7434777B2 (en) Interlocking roll support and spacing structure
US20100224528A1 (en) Stackable Boxes and a Storage Device
US20060237341A1 (en) Stacking container
US4756420A (en) Multi size nesting containers with anti jamming
US9340349B2 (en) Standard footprint egg carton for holding up to jumbo size eggs
AU2004274301A1 (en) Article storage case
US20120152799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US9090379B2 (en) Pallet device with support ribs
EP3356241A1 (en) Packaging box blank and packaging box
CA2655462A1 (en) Stackable crate
KR200226318Y1 (ko) 적층과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
KR20200002012U (ko)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배출구를 갖는 톤백
US6793085B1 (en) High-stability composable case
CN217865433U (zh) 易堆叠的餐盒
CN210133481U (zh) 一种多功能瓦楞纸箱
EP0767103A1 (en) Stackable and nestable tray
JP3105722U (ja) テーパースタッキングボックス
JP2005053578A (ja) 包装および輸送のための容器
EP1272394A1 (en) Collapsible carton box, method and blank for making same
WO1993011048A1 (en) Nestable container
KR20120049652A (ko) 독립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상자
IL102750A (en) A container made of plastic
JP3819338B2 (ja) 運搬用容器
JPH03393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