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170Y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170Y1
KR200226170Y1 KR2020000036779U KR20000036779U KR200226170Y1 KR 200226170 Y1 KR200226170 Y1 KR 200226170Y1 KR 2020000036779 U KR2020000036779 U KR 2020000036779U KR 20000036779 U KR20000036779 U KR 20000036779U KR 200226170 Y1 KR200226170 Y1 KR 200226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witch
terminal body
conducto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170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걸려온 경우 안테나를 신장시키는 것만으로도 통화가 성립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위치와 안테나, 제 1 도전체, 제 2 도전체,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는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단말기 본체의 안테나 인출구 주위에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안테나는 안테나 인출구를 통해 단말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단말기 본체 외부로 신장된다. 제 1 도전체는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에 결합된다. 제 2 도전체는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타단에 결합된다. 중앙처리장치는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 외부로 최대로 신장되어 제 2 도전체에 의해 스위치가 턴 온 됨으로써 발생하는 제 1 전기 신호와,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최대로 삽입되어 제 1 도전체에 의해 스위치가 턴 온 되어 발생하는 제 2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온 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라고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양호한 수신 감도를 얻기 위하여 안테나(antenna)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104)와 문자 및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106),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108), 수신 신호가 가청 신호로 출력되는 스피커(110), 수신 감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안테나(1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구성 요소 가운데, 안테나(1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수신부에서 최적의 감도(sensitivity)를 얻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2) 본체 내에 삽입되어 있는 안테나(112)를 외부로 소정 길이 만큼 신장시키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내부에서 안테나의 변위가 일어나고, 이 때문에 수신부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변화하여 감도를 변화시킨다.
이때 현실적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외부로 신장된 안테나의 길이에 따른 감도 변화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안테나를 최대한 길게 뽑아 통화한다. 또, 종종 발생하는 불안정한 통신 상태를 경험한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안테나를 최대로 신장시켜서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통화에 필요한 조작 행위 이외에 안테나를 추가적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에 필요한 조작 량이 증가한다. 즉, 전화를 걸때에는 먼저 안테나(112)를 최대로 신장시키고, 키패드(106)를 조작하여 목적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 다음, 통화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번호로 호가 성립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걸려온 전화를 받는 경우에도 벨이 울리면 먼저 안테나(112)를 최대로 신장시킨 다음 키패드(106)의 임의의 버튼을 눌러 통화한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는 아무 버튼을 누르더라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안테나를 신장시키는 습관을 가진 경우, 전화가 결려온 경우나 전화를 거는 경우 모두 안테나를 신장시킨 다음 필요한 조작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테나 조작에 따른 추가 동작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걸려온 경우 안테나를 신장시키는 것만으로도 통화가 성립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위치와 안테나, 제 1 도전체, 제 2 도전체,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는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단말기 본체의 안테나 인출구 주위에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안테나는 안테나 인출구를 통해 단말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단말기 본체 외부로 신장된다. 제 1 도전체는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에 결합된다. 제 2 도전체는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타단에 결합된다. 중앙처리장치는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 외부로 최대로 신장되어 제 2 도전체에 의해 스위치가 턴 온 됨으로써 발생하는 제 1 전기 신호와,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최대로 삽입되어 제 1 도전체에 의해 스위치가 턴 온 되어 발생하는 제 2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온 상태로 전환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210)와 스위치(204)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a)는 후크 온 상태, (b)는 후크 오프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202 : 이동통신 단말기
104 : LCD
106 : 키패드
108 : 마이크
110 : 스피커
112, 210 : 안테나
204 : 스위치
206 : 제 1 도전체
208 : 제 2 도전체
212 : 중앙처리장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2)의 안테나(210)의 양단에는 제 1 도전체(206)와 제 2 도전체(208)가 장착되어 있으며, 안테나(210)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안테나 인출구 주위에는 역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스위치(204)가 부착된다. 이 스위치(204)는 서로 떨어져 있는 두 접점(204a)(204b)으로 구성된다.
제 1 도전체(206)와 제 2 도전체(208)는 원형이나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안테나(210) 구조에 맞추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제 1 접점(204a)과 제 2 접점(204b)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한다. 즉, 제 1 도전체(206)의 하부 면과 스위치(204)의 상부 면이 충분한 접촉면을 발생시키고, 또 제 2 도전체(208)의 상부 면과 스위치(204)의 하부면 역시 충분한 접촉면을 발생시키도록 각 구성요소의 크기를 결정한다.
제 1 접점(204a)과 제 2 접점(204b)은 각각 별도의 신호 선을 통해 중앙처리장치(CPU)(212)에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212)는 스위치(204)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202)의 후크 온/오프 상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210)와 스위치(204)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204)를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물질을 적층하여 만든다. 또 제 1 도전체(206)를 스위치(204)의 상층 물질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고, 제 2 도전체(208) 역시 스위치(204)가 하층 물질과 동일한 재질로 만든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중앙처리장치(212)는 안테나(210)가 신장되었을 때와 단말기 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를 전기적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특성을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a)는 후크 온 상태, (b)는 후크 오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210)를 최대로 신장시키면 제 2 도전체(208)가 스위치(204)의 하부 면에 접촉되어 스위치를 턴 온 시키고, 중앙처리장치(212)는 이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2)를 후크 오프 시킴으로써 통화가 성립되도록 한다.
통화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2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2) 내로 삽입하여 제 1 도전체(206)가 스위치(204)의 상부 면에 접촉되어 스위치를 다시 한번 턴 온 시키고, 중앙처리장치(212)는 이때 발생하는 또 한번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2)를 후크 온 시킴으로써 통화가 완료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치를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물질을 적층시키는 경우 이외에도, 스위치(204)를 단일 재질의 물질로 만든 다음, 제 2 도전체(208)가 스위치(204)를 턴 온 시킬 때와 제 1 도전체(206)가 스위치(204)를 턴 온 시킬 때의 토글 모드를 인식하여 단말기를 후크 온/오프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가 최대로 신장될 때와 다시 단말기 내부로 삽입될 때의 스위치 온 상태를 통해 중앙처리장치가 단말기를 자동으로 후크 온/오프 시키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신장만으로도 통화가 성립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단말기 본체의 안테나 인출구 주위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스위치와;
    상기 안테나 인출구를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단말기 본체 외부로 신장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상기 단말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는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도전체와;
    상기 안테나의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도전체와;
    상기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 외부로 최대로 신장되어 상기 제 2 도전체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됨으로써 발생하는 제 1 전기 신호와, 상기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에 최대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도전체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어 발생하는 제 2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2 전기 신호에 따라 후크 온 상태로 전환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두 물질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단일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스위치의 연속적인 턴 온 상태를 차례로 인식하여 후크 오프 상태와 후크 온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00036779U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6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79U KR200226170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79U KR200226170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170Y1 true KR200226170Y1 (ko) 2001-06-01

Family

ID=7309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79U KR200226170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1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4621B1 (en) Mobile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KR0149949B1 (ko) 무선 전화기 헤드 세트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EP1199867A1 (en) Mobile terminal and headset
JP3347093B2 (ja) 携帯無線機及びその終端整合切替方法
KR2002261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896708B2 (ja) 無線通信装置
US605530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WO2001093556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US4700385A (en) Remote telephone control apparatus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450139B1 (ko) 다수의 수발신 버튼이 부착된 이어마이크와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241670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신음 차단장치
KR20030010213A (ko)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볼륨 제어방법
KR100551698B1 (ko) 스피커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JP2005217695A (ja) 耳掛け式通話装置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185020Y1 (ko)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겸한 컴퓨터의 사운드카드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KR20010016666A (ko) 사용자 접촉 감지에 의한 착신 표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693923B2 (ja) 携帯電話機
KR200167068Y1 (ko) 보조 송·수화기용 단자를 가진 유선 전화기
KR200287146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196204Y1 (ko) 컴퓨터용 마우스를 이용한 무선 핸즈프리
JP2001197180A (ja) 巻き取りコード式イヤホンを有する可搬型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