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008Y1 - 기능성 신발 안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008Y1
KR200226008Y1 KR2020000033562U KR20000033562U KR200226008Y1 KR 200226008 Y1 KR200226008 Y1 KR 200226008Y1 KR 2020000033562 U KR2020000033562 U KR 2020000033562U KR 20000033562 U KR20000033562 U KR 20000033562U KR 200226008 Y1 KR200226008 Y1 KR 200226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weight
parts
vinyl acetate
wood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석
Original Assignee
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석 filed Critical 박길석
Priority to KR2020000033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008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안창을 구성함에 있어 주 재질의 에틸렌 초산비닐(EVA)에 백탄분말과 목초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에 백탄분말 및 목초액의 혼합 비율을 달리 설정하여 각각 별도로 형성한 후 접착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무좀균을 억제 및 제거하는 항균작용은 물론, 악취제거와 땀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신발안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 안창은 에틸렌 초산비닐을 주재질로 이루어지는 신발 안창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70~88중량부, 백탄분말 24~10중량부, 목초액 6~2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부를 갖는 제 1 안창부와, 에틸렌 초산비닐 80~94중량부, 백탄분말 18~5중량부, 목초액 2~1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져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부를 갖는 제 2 안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를 서로 결합 부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의 상부 표면에 직물지를 도포하고, 상기 직물지가 도포된 제 1 및 제 2 안창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제 1 안창부의 표면에 발가락을 벌려주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안창{A functional insole }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안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안창을 제조함에 있어 주 재질의 에틸렌 초산비닐(EVA)에 백탄분말과 목초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에 백탄분말 및 목초액의 혼합 비율을 달리 설정하여 각각 별도로 형성한 후 접착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무좀균을 억제 및 제거하는 항균작용은 물론, 악취제거 및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안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안창, 중창, 밑창으로 구분 제조되고, 특히 안창의 경우 인체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됨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이러한 안창의 주재질로서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공중합시킨 에틸렌 초산비닐(EVA)을 발포한 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땀의 흡수 및 냄새제거 또는 항균작용 등의 기능성을 갖지고 있지 않음에 따라 최근에 들어 신발에 여러 가지 기능성을 부여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65264호(등록일자: 2000.03.30)에서와 같이 안창에 형성된 요홈부에 숯을 유입시키고, 상기 숯이 유입된 안창을 안창케이스로 씌운 다음 그 위에 통공이 형성된 깔창을 배치시켜 발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안창 및 안창케이스의 제조가 어려우며, 안창에 숯을 넣는 공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밑창이 일반신발보다 높아져서 몰딩비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안창케이스의 쟈크는 신발 착용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78272호(등록일자: 2000 02.01)에서와 같이 중창을 에틸렌 초산비닐, 자연산 옥가루, 부자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써 옥가루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발바닥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도록 한 것이나, 발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및 항균기능이 없어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0-487호(공개일자:2000. 01.15)에서와 같이 신발용 깔창을 숯가루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하부 패널을 형성하고, 숯가루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로는 별도의 상부 패널을 형성한 후, 상기 상하부 패널을 니들펀칭으로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패널을 재단한 다음 패널의 상부에 세라믹 액을 분사하여 열처리를 걸쳐 몰딩 성형한 것이나, 이와 같이 제조되는 깔창은 원단을 가로줄과 세로줄을 엮어 짜는게 아닌 원단을 압축시켜 제조함으로서 신발의 착용시 원단이 밀려 뭉쳐짐으로 인해 발바닥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또한 부직포(원단)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창을 제조함에 있어 비중이 가볍고 내마모성과 탄성이 우수하고 발포성 형성 및 열가소성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여 구두창이나 샌달등에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안창 소재인 에틸렌 초산비닐(EVA)에 냄새를 탈취하고 땀을 흡수하는 백탄분말과, 살균기능 특히 무좀균의 살균작용이 강한 목초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에 백탄분말 및 목초액의 혼합 비율을 달리 설정하여 각각 별도로 형성한 후 서로 접착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무좀균을 억제 및 제거하는 항균작용은 물론, 악취제거 및 땀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 안창은 에틸렌 초산비닐을 주재질로 이루어지는 신발 안창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70~88중량부, 백탄분말 24~10중량부, 목초액 6~2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부를 갖는 제 1 안창부와, 에틸렌 초산비닐 80~94중량부, 백탄분말 18~5중량부, 목초액 2~1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져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부를 갖는 제 2 안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를 서로 결합 부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의 상부 표면에 직물지를 도포하고, 상기 직물지가 도포된 제 1 및 제 2 안창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제 1 안창부의 표면에 발가락을 벌려주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안창의 제조공정도.
도 2a 및 도 2b의 (가) 내지 (마)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안창의제조공정도.
도 3은 도 2b (마)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혼합공정 2a, 2b : 발포공정
3a, 3b : 절단공정 4a, 4b : 재단공정
5 : 접착과정 6 : 부직포 도포과정7 : 프레스 압착과정
11 : 제 1 안창부 12, 15 : 경사부
13 : 돌출부 14 : 제 2 안창부
16 : 신발 안창 17 : 직물지
20, 30 : 제 1, 제 2 안창부 형성과정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백탄(白炭)은 다공질이고 흡착성이 크며, 이러한 흡착성과 목초액의 탈취효과를 병용하여 축산의 악취방제에 널리 사용되며, 토질이 나쁜 곳에 숯가루를 뿌려 녹화용 수목 등 묘목의 잔뿌리를 많게 하고 생장을 촉진시키고, 해송을 새로 심은 해안림에도 숯가루는 뿌리를 발달시켜 생장을 촉진한다. 더욱이 균근균이 빨리 붙어 버섯이 생기며, 더욱이 맹종죽의 대나무숲에 숯·숯가루를 뿌리면 죽순이 빨리 돋는다.(한메디지탈 백과사전 검색어 '숯'중에서 발체함)
또한 목초액(木醋液)은 목재건류나 제탄(製炭)시 발생하는 가스의 냉각으로 생기는 액상물질의 성분으로 아세트산·메틸알코올을 중심으로 하는 50∼100종의 화학물질을 함유하며, 수목종자를 뿌릴 때 토양소독제로 사용하면 잡초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퇴비에 첨가하면 방충과 살충작용으로 발효를 촉진시키고, 또 탈취제와 매염제, 특히 햄 등의 식품가공시에 처리제로서도 사용된다.(한메디지탈 백과사전 검색어 '목초(木醋)'중에서 발체함)
그리고 목초액은 살균력이 강하고 또한 피부에 침투하는 작용이 뛰어나므로 그 유효 성분이 각막층의 케라틴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각막층에 서식하고 있는 무좀균을 완전히 퇴치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성하출판 '목초액이 사람을 살린다' 100쪽, 지은이:가정의학 전문의 최영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착성과 탈취효과가 높은 백탄과, 항균 및 살균력이 강한 목초액을 에틸렌 초산비닐(EVA)에 첨가하여 신발 안창을 제조하여 무좀균의 제거는 물론, 악취제거와 땀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안창의 제조공정 순서도이며, 도 2a 및 도 2b의 (가) 내지 (마)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안창의 공정도이고, 도 3은 도 2b (마)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에틸렌 75~86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25~14중량부를 공중합시켜 비중이 가볍고 내마모성과 탄성이 우수하고 발포성 형성 및 열가소성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여 구두창이나 샌달등에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안창 소재인 에틸렌 초산비닐 (EVA)을 제조하고, 이 에틸렌 초산비닐에 백탄분말과 목초액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발가락 부분의 제 1 안창부(11)와, 발바닥 부분의 제 2 안창부(14)를 각각 제조한다.
즉, 발가락 부분의 제 1 안창부(11) 형성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에틸렌 초산비닐 70~88중량부, 백탄분말 24~10중량부, 목초액 6~2중량부를 교반롤러에 투입하여 70~90℃에서 약 1~2시간 동안 고르게 혼합한 다음 상기 초산비닐, 백탄분말,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약 1~2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혼합공정(1a)을 수행한다.
상기 혼합공정(1a)이 완료되면 초산비닐, 백탄분말,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된 적정량의 혼합물을 프레스 몰드(MOLD)에 투입하여 150℃에서 발포하는 발포공정 (2a)을 수행함으로써 두께가 약 25~50mm 정도인 제 1 안창의 원판을 형성하게 되며, 이 원판을 스카이빙 기계를 사용하여 안창으로서 가장 적합한 4~8mm의 두께로 켜내는 절단공정(3a)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절단공정(3a)에서 4~8mm의 두께로 켜내어진 원판을 재단기에서 재단 및 스카이빙작업을 통해 도 2a의 (가)에서와 같이 일측 종단부에 45~70°각도의 내측으로 경사부(12)를 가지며, 발가락이 안치되는 제 1 안창부(11)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제 1 안창부 형성과정(20)을 수행한다.
상기 혼합공정(1a)에서 백탄분말이 24중량부 이상 투입될 경우 에틸렌 초산비닐의 발포가 원활하게 되지 않으며, 백탄분말이 10중량부 이하로 투입될 경우 탈취 및 수분의 흡수력이 저하됨으로써 백탄분말의 투입량은 24~1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공정(1a)에서 목초액이 6중량부 이상 투입될 경우에는 무좀균의 제거효율은 더 이상 상승되지 않으면서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목초액이 2중량부 이하로 투입될 경우 무좀균의 제거효율이 저하됨으로써 목초액의 투입량은 6~2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은 발바닥 부분의 제 2 안창부(14) 형성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에틸렌 초산비닐 80~94중량부, 백탄분말 18~5중량부, 목초액 2~1중량부를 교반롤러에 투입하여 70~90℃에서 약 1~2시간 동안 고르게 혼합한 다음 상기 초산비닐, 백탄분말,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약 1~2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혼합공정(1b)을 수행한다.
상기 혼합공정(1a)이 완료되면 초산비닐, 백탄분말,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된 적정량의 혼합물을 프레스 몰드(MOLD)에 투입하여 150℃에서 발포하는 발포공정 (2b)을 수행함으로써 두께가 약 25~50mm 정도인 제 2 안창의 원판을 형성하게 되며, 이 원판을 스카이빙 기계를 사용하여 안창으로서 가장 적합한 4~8mm의 두께로 켜내는 절단공정(3b)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절단공정(3a)에서 4~8mm의 두께로 켜내어진 원판을 재단 및 스카이빙작업을 통해 도 2a의 (나)에서와 같이 일측 종단부에 45~70°각도의 외측으로 경사부(15)를 가지는 제 2 안창부(14)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제 2 안창부 형성과정(30)을 수행한다.
즉, 발가락 부분의 제 1 안창부(11)에 투입되는 백탄과 목초액의 투입량은 발바닥 부분의 제 2 안창부(14) 제조시 투입되는 백탄과 목초액의 투입량은 약 2:1의 비율로 설정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서 발생되는 무좀균과 냄새 및 수분을 집중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발바닥 부분의 제 2 안창부(11)(14)는 신축성을 높여 보행시 제 1 안창부(11) 보다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상기의 제 1 및 제 2 안창부 형성과정(20)(30)을 통해 제조되는 제 1 및 제 2 안창부(11)(14)에 형성된 경사부(12)(15)에 도 2a의 (다)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하는 접착과정(5)을 수행한 다음 도 2b의 (라)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11)(14)의 표면 위에 직물지(17)를 부착하는 부직포 도포과정(6)을 실행하게 된다.이 후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11)(14)의 표면 위에 직물지(17)를 부착하는 부직포 도포과정(6)을 실행한 다음 도 2b의 (마)도와 같이 프레스 압착과정(7)을 실시하여 제 1 안창부(11)의 소정부분에 부분에 발가락을 벌려주는 돌출부(13)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신발안창(16)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상기 프레스 압착과정(7)에서 프레스 몰드의 종류에 따라 평자 또는 컵형상의 안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안창의 종류나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상기의 과정으로 제조되는 신발안창(16) 중에서 발가락 부분의 제 1 안창부(11) 제조시 에틸렌 초산비닐 76중량부, 백탄분말 20중량부, 목초액 4중량부의 혼합비율로 서 제조한 후 국가공인시험.검사기관인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세균에 대한 항균력과 침지흡수율, 탈취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균에 대한 항균력측정에 사용된 시험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이며, 표면적 60㎠의 시료에서 25℃로 24시간 진탕 배양(진탕회수 150회/분)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접촉직후에는 세균수가 5.9×103/㎖ 였으나, 24시간후에는 제 1 안창부(11)의 세균수는 1.3×105/㎖ 기존제품에 비해 51.9%의 균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 볼 때 본 고안에서 제조되는 제 1 안창부(11)의 항균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1)
접촉직후(세균수/㎖) 24시간후(세균수/㎖) 균감소율(%)
EVA 100% 5.9 ×103 2.7 ×105 0
제 1 안창 5. 9×103 1.3 ×105 51.9
또한, 아래의 표 2는 가스검지관법에 의한 탈취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100㎠ 크기의 시료에 대한 암모니아가스의 탈취시험에서 탈취율(%)은 (Cb-Cs)/Cb ×100으로 나타내지며, Cb는 EVA가 100%인 기존제품에 있어 각 시간 경과후 측정 농도(ppm)을 나타내고, Cs는 본원고안인 제 1 안창부(11)인 시료의 각 시간 경과후 측정 농도(ppm)를 나타낸다.
그 측정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기존제품에 비해 샘플의 탈취효과가 현저하게 좋아짐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제 1 안창부(11)가 가지는 악취제거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5분 15분 30분 60분
EVA 100%(ppm) 450 430 410 390
제 1 안창부(ppm) 290 250 215 160
탈 취 율(%) 35.6 41.9 47.6 59.0
한편, 상기의 과정으로 제조되는 신발안창(16) 중에서 발바닥 부분의 제 2 안창부(14) 제조시 에틸렌 초산비닐 88중량부, 백탄분말 10중량부, 목초액 2중량부의 혼합비율로서 제조한 후 세균에 대한 항균력과 탈취율을 측정한 결과 제 1 안창부(11)의 시료보다는 다소 떨어지나, EVA 100%를 사용한 것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신발 안창은 비중이 가볍고 내마모성과 탄성이 우수하고 발포성 형성 및 열가소성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여 구두창이나 샌달등에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안창 소재인 에틸렌 초산비닐(EVA)에 백탄분말과 목초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발가락 부분과 발바닥 부분에 백탄분말 및 목초액의 혼합 비율을 달리 설정하여 각각 별도로 형성한 후 서로 접착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무좀균을 억제 및 제거하는 항균작용은 물론, 악취제거 및 땀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초산비닐(EVA)에 백탄 및 목초액을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함으로써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도 백탄 및 목초액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안창을 사용하는한 그 효과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Claims (1)

  1. 에틸렌 초산비닐을 주재질로 이루어지는 신발 안창에 있어서,
    에틸렌 초산비닐 70~88중량부, 백탄분말 24~10중량부, 목초액 6~2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부(12)를 갖는 제 1 안창부(11)와,
    에틸렌 초산비닐 80~94중량부, 백탄분말 18~5중량부, 목초액 2~1중량부의 조성물로 이루어져고 일측 종단부에 45~70°로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부(15)를 갖는 제 2 안창부(14)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12)(15)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11) (14)를 서로 결합 부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창부(11)(14)의 상부 표면에 직물지(17)를 도포하고,
    상기 직물지(17)가 도포된 제 1 및 제 2 안창부(11)(14)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제 1 안창부(11)의 표면에 발가락을 벌려주는 돌출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안창.
KR2020000033562U 2000-11-30 2000-11-30 기능성 신발 안창 KR200226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62U KR200226008Y1 (ko) 2000-11-30 2000-11-30 기능성 신발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62U KR200226008Y1 (ko) 2000-11-30 2000-11-30 기능성 신발 안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885A Division KR20010016284A (ko) 2000-11-30 2000-11-30 기능성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008Y1 true KR200226008Y1 (ko) 2001-06-01

Family

ID=7306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62U KR200226008Y1 (ko) 2000-11-30 2000-11-30 기능성 신발 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264B1 (ko) 2010-07-13 2012-10-17 대한민국 목탄 분말을 포함하는 신발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264B1 (ko) 2010-07-13 2012-10-17 대한민국 목탄 분말을 포함하는 신발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6008Y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100853306B1 (ko) 무좀방지 및 동상을 예방하기 위한 발가락 삽입물
KR20010016284A (ko) 기능성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CN106386108B (zh) 降低甘蔗病虫害的环保种植方法
KR20050103002A (ko) 항균, 방취, 탈취 및 원적외선 방사 능력이 우수한 기능성신발안창
CN212520978U (zh) 一种乌拉草防臭鞋
KR100310940B1 (ko) 깔창
KR100569215B1 (ko)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코팅되어 저장성을 높인 기능성 쌀의제조방법
CN201223027Y (zh) 用无纺布在药液中浸泡制成的双层具除臭功能的鞋
CN112679942A (zh) 一种防臭休闲鞋及其制备工艺
KR20110003597U (ko) 신발 깔창
CN207084285U (zh) 一种组合式鞋垫
KR100785835B1 (ko) 마 인솔용 부직포 및 이로부터 제작된 기능성 인솔
KR200218942Y1 (ko) 탈취 및 항균용 발가락 패드
CN110250651A (zh) 一种舒适性高的防霉防潮皮鞋及其制备方法
KR100550647B1 (ko) 숯이 수용성 함침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86445B (zh) 一种真皮制作方法
KR101299326B1 (ko) 발 보호 면이 있는 패드
KR200342176Y1 (ko) 신발깔창
JPH0242164Y2 (ko)
CN219762599U (zh) 一种高透气防臭休闲鞋
KR200373984Y1 (ko) 순은사가 함유된 신발용안창
CN107006947A (zh) 一种组合式鞋垫
KR20040009537A (ko) 건강 기능을 갖는 구두의 구조 및 제조 방법
KR20110123298A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