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730Y1 - 원터치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730Y1
KR200225730Y1 KR2020010000973U KR20010000973U KR200225730Y1 KR 200225730 Y1 KR200225730 Y1 KR 200225730Y1 KR 2020010000973 U KR2020010000973 U KR 2020010000973U KR 20010000973 U KR20010000973 U KR 20010000973U KR 200225730 Y1 KR200225730 Y1 KR 200225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pport
lifting
fixed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자
Original Assignee
최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자 filed Critical 최미자
Priority to KR202001000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730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관체로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공을 갖고 양측단에 고정간이 형성된 고리몸체와, 하단부가 고리몸체의 승강공에 끼워져 승강되고 일측에 탄발걸림볼이 형성된 걸고리와, 내측에 걸고리의 하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상단부에 탄발걸림볼이 끼움고정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되어 고리몸체 상단에 걸림고정되는 탄발걸쇠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지지대가 형성된 승강걸림대와, 일단이 고리몸체의 고정간 선단에 회동핀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하단부에 지지브라켓이 형성된 걸림대와, 일단은 승강걸림대 하단의 지지대 일측 선단에 축핀에 의해 축결합되고 타단은 걸림대의 지지브라켓에 지지핀에 의해 축결합되는 지지간 및 승강걸림대의 탄발걸쇠와 지지대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탄발스프링를 구비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옷걸이를 접고 펼칠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첩구조로 보관시 그 부피를 극소화하고 특히,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가 없는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용이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식 옷걸이{ONE TOUCH-TYPE HANGER}
본 고안은 원터치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동작으로 옷걸이를 접고 펼칠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첩구조로 보관시 그 부피를 극소화하고 특히,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가 없는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용이한 원터치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상단에 걸고리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부걸대가 형성되며 상부걸대 양끝단에는 하부받침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걸대에는 양복 등의 옷옷을 걸어 고정시키고, 하부받침대에는 하의를 걸어 고정시킨다.
이런 옷걸이는 상의나 하의를 걸어 장롱에 보관하는 것이 보통이나 한정된 공간내에 많은 옷들을 보관하기에는 옷걸이의 부피가 많이 차지하여 장롱내부에 많은 옷을 보관할 수 없었고, 옷걸이의 부피를 적게 차지하기 위해서 철사에 비닐류를입힌 옷걸이를 세탁소 등의 옷수선 업소에서 많이 사용하기는 하지만 이런 철사류의 옷걸이는 습기에 약해 쉽게 녹슬게 되어 옷감을 상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런 옷걸이도 그 모양이 정형화되어 옷걸이의 보관시 그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부위가 없이 일체화된 상의를 걸어 보관하기 위해서는 하단 내측으로 옷걸이를 넣은 후 상의의 어깨부위로 이동시켜 옷걸이사 상의의 어깨부의를 잘 잡아주는 위치로 정돈한 후 장롱 등에 넣어 보관하여야 되기 때문에 일체화된 상의의 옷걸이 작업이 몹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동작으로 옷걸이를 접고 펼칠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첩구조로 보관시 그 부피를 극소화하고 특히,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가 없는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용이한 원터치식 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옷걸이에 있어서;
관체로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공을 갖고 양측단에 고정간이 형성된 고리몸체와;
하단부가 고리몸체의 승강공에 끼워져 승강되고 일측에 탄발걸림볼이 형성된 걸고리와;
내측에 걸고리의 하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상단부에 탄발걸림볼이 끼움고정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되어 고리몸체 상단에 걸림고정되는 탄발걸쇠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지지대가 형성된 승강걸림대와;
일단이 고리몸체의 고정간 선단에 회동핀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하단부에 지지브라켓이 형성된 걸림대와;
일단은 승강걸림대 하단의 지지대 일측 선단에 축핀에 의해 축결합되고 타단은 걸림대의 지지브라켓에 지지핀에 의해 축결합되는 지지간 및
승강걸림대의 탄발걸쇠와 지지대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탄발스프링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로 보관시 절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로 사용시의 펼친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로 옷보관시 걸고리의 길이를 단축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리몸체 12 : 고정간
14 : 승강공 20 : 걸고리
22 : 탄발걸림볼 30 : 승강걸림대
32 : 지지대 34 : 탄발걸쇠
36 : 걸림공 38 : 멈치
40, 40a : 걸림대 42, 42a : 지지브라켓
44, 44a : 회동핀 50, 50a : 지지간
52, 52a : 지지핀 54, 54a : 축핀
60 : 탄발스프링 70, 70a : 하부받침대
72 : 버팀편 74, 74a : 고정핀
76, 76a : 체결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로 보관시 절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로 사용시의 펼친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로 옷보관시 걸고리의 길이를 단축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고리몸체(10)는 걸고리(20)와 승강걸림대(30) 및 걸림대(40)(40a)를 지지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승강공(14)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간(12)이 형성된다.
걸고리(20)는 옷걸이(1) 전체를 지탱하는 정도의 강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걸고리(10)의 중간측에는 내측에서 스프링과 같은 탄발부재(도시않음)에 의해 일측면이 외부로 돌출되는 탄발걸림볼(22)이 형성되고, 고리몸체(10)의 승강공(14) 내측에 끼워져 승강된다.
걸고리(20)의 하단은 승강걸림대(30)의 상단 내주연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데, 승강걸림대(30) 상단 일측에는 걸고리(20)의 탄발걸림볼(22)에 끼움고정되는 걸림공(36)이 형성되고, 몸체 일측에는 내측의 탄발부재(도시않음)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탄발걸쇠(34)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지지대(32)가 형성된다.
승강걸림대(30)의 하부 일측에는 지지간(50)(50a)의 수평시 승강걸림대(30) 하부에 멈치(38)를 형성시켜 승강공(14)내에서 승강걸림대(30)의 승강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탄발스프링(60)은 승강걸림대(30)의 탄발걸쇠(34)와 지지대(32) 사이의 몸체에 위치시킨다.
걸림대(40)(40a)는 옷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고리몸체(10)의 고정간(12)에 회동핀(44)(44a)에 위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하단 일측에는 지지브라켓(42)(42a)이 형성되어 승강걸림대(30)의 지지대(32)에 축핀(54)(54a)에 의해 축결합된 지지간(50)(50a)의 타측이 지지핀(52)(52a)에 의해 축결합된다.
걸림대(40)(40a) 양측 선단부에는 외측 양단이 걸림대(40)(40a)에 체결핀(76)(76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측 양단이 고정핀(74)(74a)에 의해 상측으로만 회동가능하게 버팀편(72)에 축결합되는 하부받침대(70)(70a)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하부받침대(70)(70a)의 걸림편(72)은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페되어 하측으로는 더 이상 하강되지 않아 완강히 옷들을 지지하게 되고 다만 보관시에만 상측으로 상승되어 절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용자가 옷걸이(1)의 고리몸체(1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걸고리(20)를 상측방향으로 잡아 올리면, 걸고리(20)의 하단과 승강걸림대(30)는 고리몸체(10)의 승강공(14)을 통과하고, 이어 탄발걸쇠(34)도 승강공(14)을 통과하면서 멈치(38)에 의해 승강걸림대(30)는 승강이 정지된다.
이때, 승강걸림대(30)의 탄발걸쇠(34)는 고리몸체(10)의 승강공(14) 상단에 걸림고정되어 탄발스프링(60)에 의한 승강걸림대(30)의 하강을 저지하게 되고, 승강걸림대(30)의 지지대(32)는 상승되어 축핀(54)(54a)을 축으로 지지간(50)(50a)을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대(40)(40a)는 지지대(32)가 하단에서 미는 힘에 의해 고리몸체(10) 고정간(12)의 회동핀(44)(44a)을 축으로 회동되고, 지지간(50)(50a)이 평행선을 이룰 때까지 지지브라켓(42)(42a)의 지지핀(52)(52a)을 밀게 되어 결국, 걸림대(40)(40a)는 활짝 펼쳐진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의의 목부분 상부에서 상의 내측으로 절첩된 옷걸이(1)를 밀어 넣고 걸고리(20)를 잡아당기는 한 동작에 의해, 절첩된 걸림대(40)(40a)가 상의의 좌우 어깨부위로 활짝 펼쳐짐으로써 상의 특히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가 없는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이때, 걸림대(40)(40a)의 양단에 체결핀(76)(76a)으로 축결합된 하부받침대(70)(70a)의 중심측은 고정핀(74)(74a)에 의해 축결합된 버팀편(72)을 하강시키면서 결국, 하부받침대(70)(70a)를 평평하게 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고리(20)를 승강걸림대(30) 방향으로 밀어 걸고리(20) 하부를 승강걸림대(30) 내주연에서 슬라이딩 하강시키면, 걸고리(20)의 탄발걸림볼(22)은 승강걸림대(30)의 걸림공(36)에 끼워져 걸림고정되어 걸고리(20)의 길이를 보다 단축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는 걸고리(20)를 들어 올리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절첩되어 부피가 극소화된 옷걸이(1)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로 펼쳐 걸림대(40)(40a)나 하부받침대(70(70a)에 상의나 하의를 위치시켜 사용하면된다.
이렇게 사용후 옷걸이(1)만을 보관시킬 때는 사용자가 고리몸체의(10) 승강공(14) 상단에 걸림고정된 승강걸림대(30)의 탄발걸쇠(34)를 누른 상태에서 하강시키면, 승강걸림대(30)와 걸고리(20) 하부는 탄발스프링(60)의 탄발력으로 하강되고 지지간(50)(50a)과 걸림대(40)(40a)는 축핀(54)(54a)과 지지핀(52)(52a) 및 회동핀(44)(44a)과 체결핀(76)(76a), 고정핀(74)(74a)에 의해서 승강걸림대(30) 방향으로 절첩되어 그 부피가 극소화된다.
이때, 걸림대(40)(40a) 하부의 하부받침대(70)(70a)는 사용자가 그 중간부인 버팀편(72)을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살짝 밀면, 하부받침대(70)(70a)의 양단은 체결핀(76)(76a)과 고정핀(74)(74a)에 의해 절첩되고 버팀편(72)은 상측으로 상승되어 절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한번의 동작으로 옷걸이를 접고 펼칠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첩구조로 보관시 그 부피를 극소화하고 특히, 상의 중 목티나 티셔츠와 같이 자크나 단추가 없는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상의 옷걸이에 있어서;
    관체로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공(14)을 갖고 양측단에 고정간(12)이 형성된 고리몸체(10)와;
    하단부가 고리몸체(10)의 승강공(14)에 끼워져 승강되고 일측에 탄발걸림볼(22)이 형성된 걸고리(20)와;
    내측에 걸고리(20)의 하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상단부에 탄발걸림볼(22)이 끼움고정되는 걸림공(36)이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되어 고리몸체(10) 상단에 걸림고정되는 탄발걸쇠(3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지지대(32)가 형성된 승강걸림대(30)와;
    일단이 고리몸체(10)의 고정간(12) 선단에 회동핀(44)(44a)에 의해 축결합되고 일측하단부에 지지브라켓(42)(42a)이 형성된 걸림대(40)(40a)와;
    일단은 승강걸림대(30) 하단의 지지대(32) 일측 선단에 축핀(54)(54a)에 의해 축결합되고 타단은 걸림대(40)(40a)의 지지브라켓(42)(42a)에 지지핀(52)(52a)에 의해 축결합되는 지지간(50)(50a) 및
    승강걸림대(30)의 탄발걸쇠(34)와 지지대(32)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탄발스프링(6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40)(40a) 양측 선단부에는 외측 양단이 걸림대(40)(40a)에 체결핀(76)(76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고 내측 양단이 고정핀(74)(74a)에 의해 상측으로만 회동가능하게 버팀편(72)에 핀결합되는 하부받침대(70)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옷걸이.
KR2020010000973U 2001-01-13 2001-01-13 원터치식 옷걸이 KR200225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73U KR200225730Y1 (ko) 2001-01-13 2001-01-13 원터치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73U KR200225730Y1 (ko) 2001-01-13 2001-01-13 원터치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730Y1 true KR200225730Y1 (ko) 2001-06-01

Family

ID=7309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973U KR200225730Y1 (ko) 2001-01-13 2001-01-13 원터치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7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85216U (zh) 一种便携式衣架
US7172102B2 (en) Collapsible clothes hanger
KR100732607B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225730Y1 (ko) 원터치식 옷걸이
JP6993033B1 (ja) 表返しハンガー
JP4523986B1 (ja) 衣類用の多機能ハンガー
KR20150061961A (ko) 접이식 옷걸이
JPH079288U (ja) ハンガー型物干し器
JP3128173U (ja) 物干し具
KR200448546Y1 (ko) 다기능 옷걸이
JP2001009199A (ja) 物干し具
KR200196101Y1 (ko) 옷걸이
KR102070550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CN211408519U (zh) 多功能折叠式晾衣架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200438210Y1 (ko) 빨래 건조대
GB2434974A (en) Collapsible laundry stand
KR200466358Y1 (ko) 접이식 옷걸이
KR20060104067A (ko) 다림질 받침대
CN213488242U (zh) 一种直立式多叉头撑衣杆
KR20010001878U (ko) 절첩식 옷걸이
KR102047062B1 (ko) 스팀다리미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오토메틱행거
CN210870945U (zh) 通用折叠式晾衣架
JP2001129299A (ja) 携帯用物干し具
CN116732757A (zh) 带撑开架和锁定装置的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