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528Y1 - 안전 멀티탭 - Google Patents

안전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528Y1
KR200225528Y1 KR2019970029195U KR19970029195U KR200225528Y1 KR 200225528 Y1 KR200225528 Y1 KR 200225528Y1 KR 2019970029195 U KR2019970029195 U KR 2019970029195U KR 19970029195 U KR19970029195 U KR 19970029195U KR 200225528 Y1 KR200225528 Y1 KR 200225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ity
circuit
socket
supply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61U (ko
Inventor
주석화
Original Assignee
주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화 filed Critical 주석화
Priority to KR2019970029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5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멀티탭(10)에 있어서, 멀티탭을 통하여 상기 기기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이 위험 수준 이상일 때 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수단(24)과;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안전 소켓(14)과;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기공급이 유지되도록 회로차단수단과 회로적으로 분리되는 는 마스터 소켓(28)과; 멀티탭을 통한 상기 기기의 전류 사용량을 검출하여 위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색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수단(20)(26)과; 회로 차단수단(24)이 작동하여 회로가 차단된 경우에 회로 차단수단(24)을 원상태로 회복시켜 다시 전기의 공급을 재개하는 리셋 버튼(18)을 포함하는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멀티탭을 통해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초과 전류가 흐르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자 또는 전기기기의 안전 사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히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소켓을 구비하여 중요한 기기의 사용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류를 검출하여 이상 상태를 빛, 소리 또는 빛과 소리로 경고를 발생하여 사전에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상태를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멀티탭
본 고안은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원을 차단되는 소켓과 함께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소켓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불의의 단전으로부터 전기용품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multi-tap)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소켓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멀티탭은 단순히 2 내지 6개의 소켓만을 구비한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멀티탭에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전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개량형이 보급되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1997. 3. 18. 자로 안전 멀티탭에 관한 고안을 실용신안등록출원하였다(97-5033). 이 고안은 멀티탭을 통하여 기기를 사용할 때 전기의 사용이 안전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위험을 예방함과 동시에 위험 수준을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전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에 의해서 멀티탭을 통하여 전기를 사용할 때 위험 요인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는 멀티탭이 전기를 차단함으로써 오히려 불편함이 발생하거나 위험을 초래할 수가 있다. 예컨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컴퓨터 본체,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외장형 모뎀이나 CD 등에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대개는 멀티탭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본체 이외에 다른 주변기기의 사용상 문제로 인하여 위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멀티탭의 안전 회로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한다면 컴퓨터 본체의 전원도 차단되어 컴퓨터 작업이 중단되게 된다. 만일 컴퓨터를 사용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와 같이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를 상실하게 되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손해를 입을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소켓 중에서 멀티탭의 안전 회로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도 전원이 계속 공급, 유지되는 1 이상의 소켓을 설치하여 전원의 계속적인 공급이 요구되는 기기의 사용상 안정성을 확보하는 안전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위험 수준의 전류를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위험 요인을 제거하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멀티탭 12: 마스터 소켓
14: 안전 소켓 16: 온/오프 스위치
18: 리셋 버튼 20: LED
22: 전류 검출기 24: 회로 차단 스위치
26: 부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하는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을 통하여 상기 기기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이 위험 수준 이상일 때 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수단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안전 소켓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기공급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차단수단과 회로적으로 분리되는 마스터 소켓과; 상기 멀티탭을 통한 상기 기기의 전류 사용량을 검출하여 위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색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수단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이 작동하여 회로가 차단된 경우에 상기 회로 차단수단을 원상태로 회복시켜 다시 전기의 공급을 재개하는 리셋 버튼을 포함하는 안전 멀티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10)의 사시도이다. 안전 멀티탭(10)은 자체에 플러그를 구비하여 전원소스에 연결하여 전기를 받아들인다. 전기를 수용한 멀티탭은 복수개의 소켓에 각각 삽입되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멀티탭은 일반적으로 2 내지 8개 정도의 소켓(14)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 소켓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체,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외장형 CD, 외장형 하드디스크, 외장형 모뎀 기타 주변기기의 사용이 많기 때문에, 소켓의 개수가 더 필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전 멀티탭은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도 전기의 공급이 계속 유지되는 마스터 소켓(12)을 포함한다. 마스터 소켓의 개수는 전체 소켓의 일부로서 수개 이내로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마스터 소켓(12)의 개수는 1 내지 3의 범위로 제한하여도 좋다. 마스터 소켓에는 예컨대 컴퓨터 본체와 같이 불시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데이터의 손실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예견되는 기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마스터 소켓 이외에는 위험 요인이 발생하여 회로가 차단되었을 때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안전 소켓(14)으로 구성된다. 이들 안전 소켓에는 전기의 공급이 불시에 차단되어도 데이터의 손실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기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온/오프 스위치(16)는 통상의 멀티탭에도 제공되는 것으로 멀티탭 전체에 전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작한다.
LED(20)는 위험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에 회로를 차단하기 이전에 빛으로 경고를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리셋 버튼(18)은 위험 수준의 전류가 흘러 회로 차단수단이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였을 때 사용자가 위험 요인을 제거한 후 멀티탭의 회로를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버튼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1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온/오프 스위치(16)는 멀티탭 자체의 플러그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작동함으로써 멀티탭 전체에 대하여 전기를 공급 또는 차단한다. 온/오프 스위치(16)는 멀티탭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설치 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전류 검출기(22)는 멀티탭의 소켓에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기를 사용할 때 전류를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측정된 전류가 안전 수준 이하일 때는 경고를 발생하지 아니하고, 전류 검출기(22)는 계속해서 전류를 측정한다.
만일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검출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요소를 제거하도록 경고 수단이 경고를 발생한다. 경고 수단으로는 빛 또는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를 채용하며 이들 두가지 수단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경고수단은 LED(20) 및 부저(26)를 채용한 것으로, LED는 위험 수준에 상응해서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LED는 점멸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LED는 경고의 수준을 설정하는 기준에 따라 1 내지 수개의 범위에서 설치된다. 예컨대 전류가 10A 이하인 안전 상태에서는 녹색 LED가 점등되고, 10A 초과 13A에서는 1차 경고 신호로 노란색 LED가 점등되고, 13A 초과 15A 이하에서는 2차 경고 신호로 주황색 LED가 점등되고, 15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빨간색 LED가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저(26)를 통해 소리로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소리가 없는 무음 상태, 단속음, 연속음, 파열음 등과 같이 각각의 상태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15A와 같이 위험한 상태가 되면, 경고 수단이 경고를 발함과 동시에 회로 차단수단으로서 스위치(24)가 회로를 차단하여 소켓으로의 전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위험 요소가 제거되지 아니하여도 스스로 전원을 차단하여 과도 전류의 입력으로 인한 기기의 고장이나 멀티탭의 파손 또는 화재의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전류 사용량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은 멀티탭을 통해 전기를 분배, 공급받는 기기의 사용 전력량에 적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24)가 스스로 이상 전류를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할 수도 있고, 상기 전류 검출수단의 검출 신호를 받아 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과도 전류의 검출로 경고를 발생하고 회로 차단 스위치가 작동하여 회로가 차단되었을 때 사용자가 위험 요인을 제거한 후에는 다시 회로를 복구하여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회로 차단 스위치의 원상 회복을 위한 리셋버튼(18)이 제공된다.
그러나, 안전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갑자기 멀티탭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 전류가 차단되면, 전류의 계속적인 공급이 요구되는 기기에 대해서는 오히려 불편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중인 데이터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안전 소켓(14) 이외에, 회로 차단 스위치에 의해서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마스터 소켓(12)이 제공된다.
마스터 소켓(12)은 전체 소켓 중의 일부로 1 또는 수개의 범위에서 설치될 수 있다. 마스터 소켓의 숫자가 너무 많으면, 전기의 안전 사용을 위한 안전 멀티탭의 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1 또는 2개를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멀티탭에 의해서, 멀티탭을 통해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초과 전류가 흐르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자 또는 전기기기의 안전 사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특히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소켓을 구비하여 중요한 기기의 사용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류를 검출하여 이상 상태를 빛, 소리 또는 빛과 소리로 경고를 발생하여 사전에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한 상태를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는 복수의 소켓을 구비하는 멀티탭(10)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을 통하여 상기 기기가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이 위험 수준 이상일 때 소켓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수단(24)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안전 소켓(14)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전기공급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차단수단과 회로적으로 분리되는 마스터 소켓(28)과;
    상기 멀티탭을 통한 상기 기기의 전류 사용량을 검출하여 위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색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수단(20)(26)과;
    상기 회로 차단수단(24)이 작동하여 회로가 차단된 경우에 상기 회로 차단수단(24)을 원상태로 회복시켜 다시 전기의 공급을 재개하는 리셋 버튼(18)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 멀티탭.
KR2019970029195U 1997-10-21 1997-10-21 안전 멀티탭 KR200225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95U KR200225528Y1 (ko) 1997-10-21 1997-10-21 안전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95U KR200225528Y1 (ko) 1997-10-21 1997-10-21 안전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61U KR19990015861U (ko) 1999-05-15
KR200225528Y1 true KR200225528Y1 (ko) 2001-06-01

Family

ID=5389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95U KR200225528Y1 (ko) 1997-10-21 1997-10-21 안전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5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449A1 (en) * 2001-10-10 2003-04-17 Sung-Gyoun Lee Apparatus for detecting load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EP1856543A1 (en) * 2005-03-07 2007-11-21 The Interactive Institute II Aktiebolag Visualisation arrangement
KR200446402Y1 (ko) * 2008-09-01 2009-11-04 김동휘 전력 사용량을 볼 수 있는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449A1 (en) * 2001-10-10 2003-04-17 Sung-Gyoun Lee Apparatus for detecting load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EP1856543A1 (en) * 2005-03-07 2007-11-21 The Interactive Institute II Aktiebolag Visualisation arrangement
EP1856543B1 (en) * 2005-03-07 2020-12-30 Counterflo AB Visualisation arrangement
KR200446402Y1 (ko) * 2008-09-01 2009-11-04 김동휘 전력 사용량을 볼 수 있는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61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0306A (en) Receptacle unit and extension cord
US7561388B2 (en) Fail-open surge protection system
KR20000006660A (ko) 절전기능을 갖는 데이터 보호용 콘센트
KR200225528Y1 (ko) 안전 멀티탭
JPH11178193A (ja) 電源装置
CN210692832U (zh) 一种配电终端插座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KR100709329B1 (ko)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EP1016752A3 (en) Electric apparatus capable of turning off a power supply circuit automatically to inhibit resuming of operation until safety is ensured at the time of restoration from abnormal stop
JP3145521U (ja) 過負荷警告コンセント
CN2170588Y (zh) 安全检测插座
KR200404095Y1 (ko) 전원스위치에 대한 잠금기능이 있는 멀티탭
CN2466819Y (zh) 附电源管理的组合式电源延长插座
KR20220055760A (ko) 합선·누전 방지 및 알림 장치가 장착된 플러그
KR200299117Y1 (ko) 자동차단 및 재투입을 수행하는 누전경보 콘센트
JP2006139929A (ja) コンセントタップまたは埋込み型コンセント
KR200363006Y1 (ko) 과부하 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
JPH11196527A (ja) 直流電源ラインの保護回路
KR100251598B1 (ko) 낙뢰카운터
JPH056514Y2 (ko)
KR20040021132A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자동차단 및 재투입을수행하는 누전경보 콘센트
JP3004702U (ja) 電源タップ
KR20070107446A (ko) 누전 조기경보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기
JPH0714581U (ja) 安全チェックコンセント
KR19980060879U (ko) 안전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