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368Y1 -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 Google Patents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368Y1
KR200225368Y1 KR2020000029219U KR20000029219U KR200225368Y1 KR 200225368 Y1 KR200225368 Y1 KR 200225368Y1 KR 2020000029219 U KR2020000029219 U KR 2020000029219U KR 20000029219 U KR20000029219 U KR 20000029219U KR 200225368 Y1 KR200225368 Y1 KR 200225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ximate
click
screw
adjustm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368Y1/ko

Links

Landscapes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총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조준경에 있어서, 클릭조정구에 근사치클릭조정을 할 수 있도록 근사치조정핸들, 근사치분할판, 스프링, 핀, 근사치조정나사 및 연동나사를 부가하고 조정핸들에는 눈금 및 숫자를 표기한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는 근사치클릭조정핸들로 근사치를 조정한 후 미세조정나사로 미세한 조정을 하며, 사격거리가 바뀌어도 바뀐 거리에 맞게 쉽게 클릭조정을 할 수 있어 0점 사격이 불가능한 실전에서 명중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Telescopic Sight Having Approximate Click Adjuster and Precise Click Adjuster}
본 고안은 총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조준경에 있어서, 클릭조정구에 근사치클릭조정을 할 수 있도록 근사치조정핸들, 근사치분할판, 스프링, 핀, 근사치조정나사 및 연동나사를 부가하고 조정핸들에는 눈금 및 숫자를 표기한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는 근사치클릭조정핸들로 근사치를 조정한 후 미세조정나사로 미세한 조정을 하며, 사격거리가 바뀌어도 바뀐 거리에 맞게 쉽게 클릭조정을 할 수 있어 0점 사격이 불가능한 실전에서 명중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클릭조정구는 사격자가 정조준 사격을 했을 경우 탄알이 조준한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도록 조준선을 이동하는 조정구로써, 수평클릭조정구와 수직클릭조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클릭조정구는 조준선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릭조정구이고, 수직클릭조정구는 조준선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릭조정구이며 모두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지고 있다. 사격자는 총기의 수평클릭조정구 및 수직클릭조정구를 적절하게 이동하여 조정함으로써 필요시 정확하게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도록 조준선을 조정하여 보관하고 점검한다. 총기의 클릭조정구는 그 특성상 사격자가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다룰 수 있는 조건을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a에서와 같이 조준렌즈케이스(1)에 다수의 분할홈(2)을 가진 고정축(3)이 나착되고, 고정축(3)의 내부에 조정홈(4) 및 관통공(5)을 가진 조정나사(6)가 나삽되어 있으며, 보호캡(7)이 고정축(3)의 외륜에 나합되어 조정나사(6)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조정나사(6)의 관통공(5)에는 테이퍼핀(8)이 내삽된 후 스프링(9)이 내삽되고 그 후미를 육각홈나사(10)를 나합하여 마감한 것으로 테이퍼핀(8)은 스프링(9)에 의해 탄성을 갖게된다. 또한, 분할홈(2)은 고정축(3)의 내륜의 원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하게 분할하여 홈을 형성해 놓은 것으로 스프링(9)에 의해 탄성이 주어진 테이퍼핀(8)이 분할홈(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릭조정구는 조정홈(4)에 동전이나 드라이버 등으로 끼워 돌리면 조정나사(6)가 회전하고, 조정나사(6)가 회전하면 조정나사(6)의 나선에 따라 조정나사(6)가 조여들거나 풀리게 된다. 조정나사(6)가 조여들거나 풀림에 따라 조정나사(6)는 조준렌즈(c)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조준렌즈(c)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d)은 조정나사(6)를 풀 경우 조준렌즈(c)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정나사(6)를 회전함에 있어 분할홈(2)에 밀착된 테이퍼핀(8)은 조정나사(6)를 일정한 각도 만큼씩 회전시켜 조정자가 회전을 단속하여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1클릭이라고 함은 한 개의 분할홈(2)을 회전하여 얻은 회전각에 따른 조정나사(6)의 조임거리 또는 풀림거리이며, 조정나사(6)의 조임거리 또는 풀림거리에 따라 조준렌즈(c)의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즉, 한 개의 분할홈(2)을 회전하여 얻은 회전각에 따른 조준렌즈(c)의 이동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릭조정구는 지금까지의 조준선을 정렬하는 표준으로 자리잡아 왔으나, 사격거리에 따른 융통성이 없어 그 한계를 지니게된다.
예를 들자면, 종래에는 50m거리의 사격에서 0점 사격을 하여 클릭을 조정한 후에 800m거리의 사격을 할 경우, 또 다시 0점 사격을 하거나 통용되는 설정치 만큼의 클릭을 조정해 주어야 하는데, 실전에서는 0점 사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용되는 설정치의 클릭만큼을 조정하자면 조정나사(6)를 여러 번 회전해야만 조준선의 위치를 맞출 수 있어 클릭조정자가 조정나사(6)를 여러 번 회전하는 동안에 혼동될 우려가 있었다. 더군다나, 조정나사에는 눈금만 표시되어 있을 뿐 숫자가 표기되지 않아서, 현재 조정된 클릭이 어느 거리에 맞게 클릭이 조정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릭조정구에 근사치클릭조정을 할 수 있도록 근사치조정핸들, 근사치분할판, 스프링, 핀, 근사치조정나사 및 연동나사를 부가하고 조정핸들에는 눈금 및 숫자를 표기하며 또한 미세클릭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에 각 사격거리마다 0점 사격을 하고 각 사격거리마다의 근사치클릭조정핸들 및 미세조정나사에 표기된 숫자를 기록해두었다가 실전에서는 기록된 숫자중에 해당되는 거리에 맞는 숫자를 맞추기만 하면 클릭조정이 완료되어 재빠른 클릭조정으로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는 편리한 클릭조정구를 가지는 조준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는 종래의 클릭조정구의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A-A'선 분해 단면도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B-B'선 단면도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준렌즈케이스 2,2',2': 분할홈
3,3' : 고정축 4,4' : 조정홈
5,5' : 관통공 6 : 조정나사
6' : 미세조정나사 7,7': 보호캡
8,8',8': 테이퍼핀 9,9',9': 스프링
10,10' : 육각홈나사 11 : 스프링공
12,12' : 나선공 13 : 근사치분할판
14 : 요홈 15 : 근사치조정핸들
16 : 조임홈 17 : 연동홈
18 : 근사치조정나사 19 : 연동나사
21,21' : 눈금, 숫자
a : 수평클릭조정구 b : 수직클릭조정구
c : 조준렌즈 d : 판스프링
e : 근사치조정나선피치 f : 미세조정나선피치
g : 근사치분할각 h : 미세분할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의 구조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A-A'선 분해 단면도이며,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B-B'선 단면도이고,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C-C'선 단면도로서, 먼저 도 2a는, 본 고안의 클릭조정구가 수평클릭조정구(a)와 수직클릭조정구(b)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평클릭조정구(a) 및 수직클릭조정구(b)는 구조 및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
도 2b의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보면, 각 구성품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수평클릭조정구(a) 및 수직클릭조정구(b)를 모두 분해해 도시하였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스프링공(11)과 나선공(12)을 가진 조준렌즈케이스(1'), 스프링(9'), 테이퍼핀(8'), 다수의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홈(2')을 가진 근사치분할판(13), 요홈(14)과 나선공(12') 및 눈금과 숫자(21)가 표기된 근사치조정핸들(15), 연동나사(19), 조임홈(16)을 가진 고정축(3'), 연동홈(17) 및 다수의 미세한 등간격 분할홈(2'')을 가진 근사치조정나사(18), 눈금과 숫자가 표기(21')되고 관통공(5')과 조정홈(4')을 가진 미세조정나사(6'), 테이퍼핀(8''), 스프링(9''), 육각홈나사 (10'), 보호캡(7')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2c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로서, 분해된 모습과 조립된 모습의 참조가 쉽도록 수직클릭조정구(b)는 분해하지 않고 수평클릭조정구만(a)을 분해해 놓은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주요부를 이루고 있는 근사치클릭조정구를 설명하자면, 조준렌즈케이스(1')의 스프링공(11)에 스프링(9')이 내삽된후 테이퍼핀(8')이 내삽되고, 근사치분할판(13)이 근사치조정핸들(15)의 요홈(14)에 압삽되고, 근사치조정핸들 (15)의 내륜으로 고정축(3')이 내삽되어 조준렌즈케이스(1')의 나선공(12)에 조임홈(16)을 조여 나합되고, 근사치조정나사(18)가 고정축(3')의 내륜으로 나삽되고, 연동나사(19)가 근사치조정핸들(15)의 나선공(12')에 나착되어 근사치조정나사 (18)의 연동홈(17)에 삽착된다. 이 같이 조립되면, 근사치 분할판(13)과 테이퍼핀(8')이 밀착되어 테이퍼핀(8')이 스프링(9')을 밀어 스프링(9')에 의해 테이퍼핀(8')이 탄성을 갖게 되고, 근사치조정핸들(15)은 고정축(3')을 축으로 습동회전운동을 할 수 있고, 근사치분할판(13)의 분할홈(2')과 분할홈(2')에 밀착된 테이퍼핀(8')의 작용으로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홈(2')에 의해 일정한 각도씩 분할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동나사(19)가 나선공(12')에 나착되어 연동홈(17)에 삽착됨으로써 근사치조정핸들(15)을 회전시킬 경우 근사치조정나사(18)가 함께 연동되어 근사치조정나사(18)의 나선에 의해 근사치조정나사(18)가 조여들거나 풀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세조정나사(6')의 관통공(5')에는 테이퍼핀(8')이 내삽되고, 그 후미에 스프링(9')이 내삽되고, 그 후미에 육각홈나사(10')가 나삽되어 테이퍼핀(8')에 탄성이 주어지도록 설치된 미세조정나사(6')가 근사치조정나사(18)의 내륜에 나삽된다. 이때, 미세조정나사(6')의 작용을 살펴보면, 근사치조정나사(18)에 등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분할홈(2')을 탄성이 주어진 스프링(9')이 밀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조정홈(4')을 돌려 미세조정나사(6')를 회전시킬 경우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홈(2')과 탄성이 주어진 스프링(9')의 작용으로 일정한 각도씩 분할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세조정나사(6')의 조정홈(4')에 도구를 끼워 돌리면, 근사치조정나사(18)는 회전하지 않고 미세조정나사(6')만이 회전하여 미세조정나사(6')의 나선에 의해 조준렌즈(c)를 밀거나 당겨서 미세한 클릭조정이 된다.
보호캡(7')은 근사치조정핸들(15)에 나삽하여 미세조정나사(6')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B-B'선 단면도로서, 근사치분할판(13)의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홈(2')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도(g)는 분할홈(2')의 한 개의 등각을 표시하고 있다.
도 2e는 본 고안에 따른 C-C'선 단면도로서, 미세하게 분할된 분할홈(2')과 테이퍼핀(8'), 스프링(9'), 육각홈나사(10') 및 연동나사(19)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각도(h)는 분할홈(2')의 한 개의 등각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의 조립방법 및 작동상태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준렌즈케이스(1')의 스프링공(11)에 스프링(9')을 내삽한 후, 스프링(9')이 내삽된 스프링공(11)에 테이퍼핀(8')을 내삽하고, 근사치분할판(13)을 근사치조정핸들(15)의 요홈(14)에 압삽하여 근사치조정핸들(15)에 근사치분할판(13)을 고정시키고, 근사치분할판(13)이 고정된 근사치조정핸들(15)을 근사치분할판(13)의 분할홈(2')에 테이퍼핀(8')이 밀착되도록 접근시킨 후, 근사치조정핸들(15)의 내륜에 고정축(3')을 내삽하여 조준렌즈케이스(1')의 나선공(12)에 고정축(3')을 나합시켜 근사치조정핸들(15)이 고정축(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근사치조정나사(18)를 고정축(3')의 내륜에 나삽하고, 근사치조정핸들(15)의 나선공(12')의 위치와 근사치조정나사(18)의 연동홈(17)의 위치를 서로 맞춘 후 나선공(12')에 연동나사(19)를 나착시켜 근사치조정핸들(15)을 회전시키면 연동나사(19)에 의해 근사치조정나사(18)도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또, 미세조정나사(6')의 관통공(5')에 테이퍼핀(8')을 내삽하고, 테이퍼핀(8')가 내삽된 관통공(5')에 스프링(9')을 내삽하고, 테이퍼핀(5')와 스프링(9')가 내삽된 관통공(5')에 육각홈나사(10')을 나착시켜 테이퍼핀(8')과 스프링(9')이 빠지지 않도록 한 미세조정나사(6')를 근사치조정나사 (18)의 내륜에 나삽한다. 그후, 보호캡(7')을 근사치조정핸들(15)에 나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는 근사치조정을 위하여 근사치조정핸들 (15)을 회전시키면 근사치조정나사(18)는 연동나사(19)에 의해 근사치조정핸들(15)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고, 근사치조정나사(18)가 회전하면 근사치조정나사(18)의 나선에 따라 근사치조정나사(18)가 조여지고, 근사치조정나사(18)의 내륜에 나삽된 미세조정나사(6')가 조준랜즈(c)를 밀고, 조준랜즈(c)가 밀려 이동함으로써 근사치클릭조정을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9')은 스프링(9')의 탄성력으로 테이퍼핀(8')을 밀고, 테이퍼핀(8')은 근사치분할판(13)의 분할홈(2')을 밀어 근사치조정핸들(15)에 고정된 근사치분할판(13)이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고, 사격자가 클릭을 조정하기 위해 근사치조정핸들(15)을 회전시킬 경우에만 분할홈(2')이 형성된 각도만큼씩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정을 위하여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미세조정나사(6')의 조정홈(4')에 끼워 미세조정나사(6')를 회전시키면, 근사치조정나사(18)는 회전하지 않고 미세조정나사(6')만 회전하여 조준랜즈(c)를 밀고 조준랜즈(c)가 밀려 이동함으로써 미세클릭조정이 된다. 이때, 스프링(9")은 테이퍼핀(8')을 밀고, 테이퍼핀(8')은 근사치조정나사의 분할홈(2')을 밀어 미세조정나사(6')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사격자가 미세조정을 하기 위해 미세조정나사(6')를 돌릴 경우에만 분할홈(2')이 형성된 각도만큼씩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에 있어서, 근사치클릭조정과 미세클릭조정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스프링(9')의 탄성보다 스프링(9')의 탄성이 큰 것으로 미세조정을 하기 위해 미세조정나사(6')를 회전시켜도 근사치조정핸들(15)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며, 둘째, 근사치조정나사(18)의 나선은 미세조정나사(6')의 나선에 비해 피치(Pitch)가 큰 것으로써, 예를 들어 미세조정나사(6')의 피치를 0.3mm로 하고, 근사치조정나사(18)의 피치를 0.9mm로 한다면, 미세조정나사(6')를 3회전하는 것과 근사치조정핸들(15)을 1회전하는 것이 같게된다. 즉, 미세조정나사(6')를 3회전하여야 할 때, 근사치조정핸들(15)은 1회전함으로써 미세조정나사(6')를 3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장치는 근사치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사격거리가 최소의 25m인 경우와 사격거리가 최대의 800m인 경우 모두 근사치조정핸들(15) 및 미세조정나사(6')를 1회전 이내에 클릭조정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조정나사(6)만 존재하여 25m를 사격한 후 800m를 사격할 경우에 조정나사(6)를 여러 회전하여야 가능하게 되어 현재 조정된 클릭이 몇 m에 맞게 조정된 것인지 알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사격거리 25m에서 사격 후에 사격거리800m에서 사격할 경우에도 근사치조정핸들(15) 및 미세조정나사(6')를 1회전 이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재 조정된 클릭이 몇 m의 사격거리에 맞게 조정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근사치조정핸들(15) 및 미세조정나사(6')에는 눈금 및 숫자(21,21')가 표기되어 사격거리마다의 클릭이 조정된 숫자(21,21')를 알 수 있어서 초기에 사격거리마다의 클릭조정된 숫자(21,21')를 기록하거나 암기하여 차후에는 간단히 사격거리에 맞는 숫자(21,21')를 맞추고 사격하면 0점 사격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숫자(21,21')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은 근사치조정핸들(15) 및 미세조정나사(6')를 1회전 이내에 최소사격거리로부터 최대사격거리에 이르기까지의 클릭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준경의 클릭조정구는 근사치조정핸들(15)로 근사치클릭을 조정하고 미세조정나사(6')로 정밀한 클릭조정을 함으로써 손쉽게 클릭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근사치조정핸들(15) 및 근사치조정나사(18)에는 눈금과 숫자(21,21')가 표기되어 있어 초기에 각거리마다의 클릭조정을 한 후 각거리마다의 근사치조정핸들(15)에 표기된 숫자(21)와 미세조정나사(6')에 표기된 숫자(21')를 기록하였다가 필요시 각거리에 맞는 숫자(21,21')를 맞추어 조정하면 0점 사격을 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특히, 조준선정렬을 할 수 없는 실전에서 높은 명중률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조준렌즈케이스(1')의 스프링공(11)에 스프링(9')이 내삽되고, 스프링(9')이 내삽된 스프링공(11)에 테이퍼핀(8')이 내삽되고, 근사치분할판(13)이 눈금과 숫자(21)가 표기된 근사치조정핸들(15)의 요홈(14)에 압삽되어 근사치조정핸들(15)에 근사치분할판(13)이 고정되고, 근사치분할판(13)이 고정된 근사치조정핸들(15)이 근사치분할판(13)의 분할홈(2')에 테이퍼핀(8')이 밀착되도록 접근된 후, 근사치조정핸들(15)의 내륜에 조임홈(16)을 가진 고정축(3')이 내삽되어 조준렌즈케이스(1')의 나선공(12)에 고정축(3')이 나합되어 근사치조정핸들(15)이 고정축(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다수의 미세한 등간격 분할홈(2')을 가진 근사치조정나사(18)가 고정축(3')의 내륜에 나삽되고, 근사치조정핸들(15)의 나선공(12')의 위치와 근사치조정나사(18)의 연동홈(17)의 위치가 서로 맞춰지고 나선공(12')에 연동나사(19)가 나착되어 근사치조정핸들(15)이 회전되면 연동나사(19)에 의해 근사치조정나사(18)도 함께 회전되며, 눈금과 숫자(21')가 표기되고 조정홈(4')을 가진 미세조정나사(6')의 관통공(5')에 테이퍼핀(8')이 내삽되고, 테이퍼핀(8')이 내삽된 관통공(5')에 스프링(9')이 내삽되고, 테이퍼핀(5')과 스프링(9')이 내삽된 관통공(5')에 육각홈나사(10')가 나착되어 테이퍼핀(8')과 스프링(9')이 빠지지 않도록 된 미세조정나사(6')가 근사치조정나사 (18)의 내륜에 나삽되고, 보호캡(7')이 근사치조정핸들(15)에 나합되어 이루어지는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KR2020000029219U 2000-10-20 2000-10-20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KR200225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19U KR200225368Y1 (ko) 2000-10-20 2000-10-20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19U KR200225368Y1 (ko) 2000-10-20 2000-10-20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368Y1 true KR200225368Y1 (ko) 2001-06-01

Family

ID=7309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19U KR200225368Y1 (ko) 2000-10-20 2000-10-20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3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09B1 (ko) 2012-02-27 2012-10-11 주식회사 시소아이티 원격 포커스 조절 조준경
KR101523534B1 (ko) * 2015-02-12 2015-05-28 정민호 선박 충돌 예측 기구
KR101968735B1 (ko) * 2018-06-25 2019-04-12 국방과학연구소 평행광 집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09B1 (ko) 2012-02-27 2012-10-11 주식회사 시소아이티 원격 포커스 조절 조준경
KR101523534B1 (ko) * 2015-02-12 2015-05-28 정민호 선박 충돌 예측 기구
KR101968735B1 (ko) * 2018-06-25 2019-04-12 국방과학연구소 평행광 집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791B2 (en) Rifle scope with adjustment knob having multiple detent forces
US8397420B2 (en) Rifle scope with adjustment stop
US6772550B1 (en) Rifle scope adjustment invention
US7543405B1 (en) Adjustable scope mounting system
US7140143B1 (en) Adjustable rifle scope mount
US6643970B2 (en) Zero stop adjustable rifle scope
US6862833B1 (en) Scope-to-firearm alignment assembly
US6519890B1 (en) Radial detents for rifle scope adjustment
JPH0547995Y2 (ko)
US5887352A (en) Gun sight system
TWI729204B (zh) 具有可變旋轉阻力的光學設備旋鈕
US8893424B2 (en) Telescopic sight mount with adjustable forward tilt
US9453709B2 (en) Gun sight mounting system
TWI830689B (zh) 包含具有可變旋轉阻力的旋鈕的光學設備
CN112739973B (zh) 可调节的反射式瞄准器
US10254080B2 (en)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US11105579B2 (en) Arrow rest assembly
US11486676B2 (en) Rear sight assembly
US11519694B1 (en) Sight with rotatable aiming ring
KR200225368Y1 (ko) 근사치클릭조정구와 미세클릭조정구를 가진 조준경
US20210389553A1 (en) Turret with a zero stop
US4662347A (en) On-bow/off-bow archery sight
US20230099212A1 (en) Scope turret
US11162761B2 (en) Adjustable rifle laser sight
US20050115089A1 (en) Optical ai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