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56Y1 - 정글짐 - Google Patents

정글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56Y1
KR200225156Y1 KR2019990006795U KR19990006795U KR200225156Y1 KR 200225156 Y1 KR200225156 Y1 KR 200225156Y1 KR 2019990006795 U KR2019990006795 U KR 2019990006795U KR 19990006795 U KR19990006795 U KR 19990006795U KR 200225156 Y1 KR200225156 Y1 KR 200225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jungle gym
unit
jungle
constr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939U (ko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이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구 filed Critical 이은구
Priority to KR201999000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5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56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만으로 시공가능한 정글짐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용접이 아닌 단순 조립에 의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규격으로 된 단위봉을 상호 연결하여 정글짐을 시공하되, 단위봉의 양단에 평탄부를 구성하고, 평탄부의 중앙에 장공을 형성하며, 이들 단위봉 평탄부 중심의 장공이 상호 일치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서 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정글짐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체결 상태를 제공하여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글짐 {Jungle Gym}
본 고안은 정글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조립작업만으로 시공이 가능한 정글짐(Jungle Gy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글짐은 철봉을 종횡으로 용접하여 어린이들이 오르고, 내리고, 건너고, 기고, 걸터앉아 놀기도 하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글짐은 어린아이들이 나무타기나 높은 곳을 건너 뛰고져 하는 자연적인 욕구를 안전한 방법으로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각종 놀이터에 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글짐을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많은 철봉을 종횡으로 무수히 용접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작업능률이 매우 저조하며,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므로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많은 용접부위가 균일하게 되기는 어려운 것이며, 용접불량 개소가 있는 경우 놀이 중 부상을 입게 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정글짐은 전체의 중량이 대단히 무거운 것이므로 운반의 부담을 덜기 위하여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우천시나 동절기 등에는 시공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이 아닌 단순 조립에 의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정글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정글짐의 시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a, 도 2b 는 본 고안에 의한 정글짐의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정글짐을 구성하기 위한 단위봉의 조립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조립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봉 2 : 평탄면
3 : 장공 4 : 볼트
5 : 너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일한 규격으로 된 단위봉을 상호 연결하여 정글짐을 시공하되, 단위봉의 양단에 평탄부를 구성하고 평단부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며, 이들 단위봉의 평탄부 중심의 통공이 상호 일치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서 된 정글짐을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정글짐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체결 상태를 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봉(1)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하되, 단위봉(1)의 양단을 압압하여서 된 평탄면(2)과, 평탄면(2)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3)과, 복수개의 단위봉(1)의 각 장공(3)을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한 볼트(4)와 너트(5)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6은 와셔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시공예를 도 1,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돔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많은 삼각구조로 반구형(半球形)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으며, 단위봉(1)의 사용 갯수가 최소화되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위봉(1)이 볼트(4) 및 너트(5), 와셔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단위봉(1)은 용접한 경우에 비하여 균일하고 견고한 체결상태를 확보하여 안정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각 1개 씩의 단위봉(1)을 배치하고 그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1개의 단위봉(1)을 추가 결합하여 줌으로써 가장 보편적인 사각형상으로된 정글짐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기타 각종의 다양한 형태로 시공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필요시 단위봉(1)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4) 및 너트(5)를 해체하고 새로운 구조로된 정글짐을 재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아동들이 단조로움에 흥미를 잃지 않고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와셔(6)를 사용하여 볼트(4)와 너트(5)를 체결함으로써 이들의 체결상태가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단위봉(1)을 착색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수요량 예측에 기초하여 적정 수의 단위봉(1)만을 미리 생산하여 두었다가 정글짐의 주문이 있는 경우 즉시 제작, 납품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며 계획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단위봉(1) 양단에 장공(6)이 형성되어 있어서 규격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단순조립이 가능한 사람이면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에 관련된 인건비 역시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고, 시공품질이 균일하게 확보되며 필요시 다른 형태로 재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단위봉(1)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하되, 단위봉(1)의 양단을 압압하여서 된 평탄면(2)과, 평탄면(2)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3)과, 복수개의 단위봉(1)의 각 장공(3)을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한 볼트(4)와 너트(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KR2019990006795U 1999-04-23 1999-04-23 정글짐 KR200225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795U KR200225156Y1 (ko) 1999-04-23 1999-04-23 정글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795U KR200225156Y1 (ko) 1999-04-23 1999-04-23 정글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39U KR20000019939U (ko) 2000-11-25
KR200225156Y1 true KR200225156Y1 (ko) 2001-05-15

Family

ID=5476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795U KR200225156Y1 (ko) 1999-04-23 1999-04-23 정글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3B1 (ko) 2015-04-16 2016-03-28 이승왕 정글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3B1 (ko) 2015-04-16 2016-03-28 이승왕 정글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39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70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US7275555B2 (en) Canopy truss
KR200225156Y1 (ko) 정글짐
US6302801B1 (en) Swing set bracket
US889395A (en) Tower.
WO2001014655A1 (en) Subsidiary materials for truss structure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200206153Y1 (ko) 반구형 정글짐
EP3296000B1 (de) Spielgerät mit raumelement
CN219225762U (zh) 一种户外小卖部
CN2541558Y (zh) 快速组合式围栏
DE20106372U1 (de) Palette
KR200292504Y1 (ko) 조립식 의자
JPH0127799Y2 (ko)
KR200219845Y1 (ko) 휴대형 조립식 네트
CN220202963U (zh) 一种斜交平面桁架与外圈网架组合的空间网格结构
JPH0635032Y2 (ja) 建物屋外の手摺構造
JPH0614782Y2 (ja) 遊戯具
JPH0852279A (ja) 半球形状のシステム遊戯具
JPH0591750U (ja) 球技用フレーム構造物
JPH01135963U (ko)
RU1795024C (ru) Уз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ржней открытого профил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крыти
JP3128754B2 (ja) 栽培用支持枠
CN117449653A (zh) 一种游乐塔楼及施工方法
JPH11125036A (ja) 野外構築物用の支柱と、この支柱を用いた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