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05Y1 -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05Y1
KR200225105Y1 KR2020000035283U KR20000035283U KR200225105Y1 KR 200225105 Y1 KR200225105 Y1 KR 200225105Y1 KR 2020000035283 U KR2020000035283 U KR 2020000035283U KR 20000035283 U KR20000035283 U KR 20000035283U KR 200225105 Y1 KR200225105 Y1 KR 200225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air
parachute
cylind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병룡
Original Assignee
백병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병룡 filed Critical 백병룡
Priority to KR2020000035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0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비행기의 동체에 설치되도록 한 낙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행기의 추락 시에 비행기 낙하산의 에어 골조에 신속하게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비행기 낙하산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사고에 따른 재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가 수면으로 추락할 경우에, 비행기 동체의 하부에서 팽창하는 에어 보트로 인해,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하도록 한 비행기용 낙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행기 동체 상부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확장되도록 한 낙하 장치에 있어서,
공기에 의해 팽창되도록 한 에어 골조를 형성한 낙하산과;
비행기 동체 상부에 상기 낙하산을 보관하도록 형성하며, 수납부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고정하도록 한 고정구와,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구를 동작시키도록 한 감지 센서를 형성한 수납부와;
액화 가스를 저장하도록 한 봄베와, 신호에 의해 봄베를 개폐하도록 한 개폐 밸브와, 상기 봄베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송하도록 한 이송관을 형성한 주입부와;
비행기 동체의 하측에 형성하며, 상기 봄베에서 분출되는 공기로 순간적으로 팽창되도록 형성한 에어 보트와;
상기 수납부의 감지 센서를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주입부의 개폐 밸브가 개방되도록 형성한 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A FALL PREVENTIVE SYSTEM FOR AN AIRPLANE}
본 고안은 비행기의 동체에 설치되도록 한 낙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행기의 추락 시에 비행기 낙하산의 에어 골조에 신속하게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비행기 낙하산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사고에 따른 재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가 수면으로 추락할 경우에, 비행기 동체의 하부에서 팽창하는 에어 보트로 인해,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하도록 한 비행기용 낙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비행기는 일반인들의 국내, 또는 국외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장거리 교통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신속하고 안전한 교통 수단인 비행기는, 공중에서 운행되는 비행기의 특성으로 인하여, 일단 비행기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 재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이유로, 비행기 사고로 인한 추락 시에, 탑승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행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는 연구와 개발이 시급하고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비행기 동체의 상부에 낙하 장치를 설치하여, 불의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인하여 비행기가 추락할 경우에, 동체 상부의 개폐구가 개방되고, 보조 낙하산이 펼쳐짐으로써, 비행기의 중심을 유지한 후에, 연차적으로 주 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여, 비행기가 보다 안전하게 착륙되어, 기내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비행기의 낙하 장치는, 비행기가 직하방으로 추락할 경우에는 낙하산이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설치되었지만, 실질적으로 비행기의 추락사고 시에는, 비행기의 진행방향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대부분 비행기가 포물선 형태로 추락하기 때문에, 낙하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행기가 심하게 중심을 잃게 되어 추락하는 경우에는, 주 낙하산이 신속하게 펼쳐지지 못하기 때문에, 비행기 동체나 날개 부분에 낙하산 줄이 꼬이거나, 또는 주 낙하산과 보조 낙하산이 상호 엉키거나 꼬이게 되는 심각한 우려를 내포하고 있었다.
더욱이, 추락하는 비행기가 바다나 강, 호수 등의 수면위로 추락할 경우에,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하는 별도의 구명장치가 미흡하였으며, 비행기가 지면이나 수면의 추락 할 경우에, 비행기의 충격을 완화하는 수단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행기 추락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낙하산의 에어 골조에 신속하게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낙하산이 강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비행기의 낙하산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추락사고에 따른 재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가 수면으로 추락할 경우에, 비행기 동체의 하부에서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 보트로 인해,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에어보트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낙하산 11 : 에어 골조
20 : 수납부 21 : 덮개
22 : 고정구 23 : 감지 센서
30 : 주입부 31 : 봄베
32 : 개폐 밸브 33 : 이송관
40 : 에어 보트 50 : 조절부
본 고안은 비행기 동체 상부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확장되도록 한 낙하 장치에 있어서,
공기에 의해 팽창되도록 한 에어 골조를 형성한 낙하산과;
비행기 동체 상부에 상기 낙하산을 보관하도록 형성하며, 수납부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고정하도록 한 고정구와,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구를 동작시키도록 한 감지 센서를 형성한 수납부와;
액화 가스를 저장하도록 한 봄베와, 신호에 의해 봄베를 개폐하도록 한 개폐 밸브와, 상기 봄베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송하도록 한 이송관을 형성한 주입부와;
비행기 동체의 하측에 형성하며, 상기 봄베에서 분출되는 공기로 순간적으로 팽창되도록 형성한 에어 보트와;
상기 수납부의 감지 센서를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주입부의 개폐 밸브가 개방되도록 형성한 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에어보트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행기 추락 시에 확장되도록 한 낙하산(10)과, 상기 낙하산(10)을 비행기 동체 상부에 보관되도록 한 수납부(20)와, 상기 낙하산(10)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한 주입부(30)와, 비행기의 수면 착륙 시에 팽창되는 에어 보트(40)와, 상기 수납부(20)를 개방하고 공기가 분사되도록 조정하는 조절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낙하산(10)은 비행기 추락 시에 펼쳐지도록 형성하며, 외주연부와 내측에 공기에 의해, 팽창되도록 한 에어 골조(11)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부(20)는 비행기 동체 상부에 상기 낙하산(10)을 보관하도록 형성하며, 수납부(20)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한 덮개(21)와, 상기 덮개(21)를 고정하도록 한 고정구(22)와,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구(22)를 동작시키도록 한 감지 센서(23)를 형성한다.
상기 주입부(30)는 상기 낙하산(10)의 에어 골조(11)에 순간적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하며, 액화 가스를 저장하도록 한 봄베(31)와, 신호에 의해 봄베(31)를 개폐하도록 한 개폐 밸브(32)와, 상기 봄베(31)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송하도록 한 이송관(33)을 형성한다.
상기 개폐 밸브(32)는 상기 낙하산(10)의 에어 골조(11) 측으로 통하는 이송관(33)과, 상기 에어 보트(40) 측으로 통하는 이송관(33) 등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 보트(40)는 비행기 날개의 하측에 형성하며, 상기 봄베(31)에서 분출되는 공기로 순간적으로 팽창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조절부(50)는 비상시에 상기 수납부(20)의 감지 센서(23)를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주입부(30)의 개폐 밸브(32)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보조 낙하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기의 추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조종사 등은 상기 조절부(50)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우선, 보조 낙하산(1)이 펼쳐지게 되어, 비행기의 중심을 유지시킨 뒤에, 연차적으로 상기 낙하산(10)이 펼쳐지게 된다.
이때,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50)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수납부(20)의 감지 센서(23)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고정구(22)를 동작하게 되고, 상기 고정구(22)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수납부(20)의 덮개(21)가 개방되어, 절첩, 보관된 낙하산(10)이 비행기 동체 상부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부(5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주입부(30)의 개폐 밸브(32)가 개방되면서, 상기 봄베(31)에 저장된 액화 가스가 분출하게 되며, 분출된 공기는 상기 이송관(33)을 통해, 상기 에어 골조(11)로 급속하게 이동되어, 에어 골조(11)가 순간적으로 팽창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골조(11)가 순간적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상기 낙하산(10)이 비행기의 추락 각도나 공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낙하산(10)이 강제적으로 안정되게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50)에서 상기 에어 보트(40) 측 이송관(33)의 개폐 밸브(32)를 개방하게 되면, 비행기의 하부에서 에어 보트(40)가 순간적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비행기가 수면에 착륙할 경우에,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의 지면 착륙 시에는, 비행기의 낙하 충격이 급격하게 완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행기 추락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에어 골조로 신속하게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낙하산이 강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비상시에 비행기의 낙하산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추락사고에 따른 재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기가 수면으로 추락할 경우에, 비행기 동체의 하부에서 팽창하는 에어 보트로 인해, 비행기의 수중 침몰을 방지하도록 하고, 비행기의 추락 충격을 최대한 완충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비행기 동체 상부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확장되도록 한 낙하 장치에 있어서,
    공기에 의해 팽창되도록 한 에어 골조(11)를 형성한 낙하산(10)과;
    비행기 동체 상부에 상기 낙하산(10)을 보관하도록 형성하며, 수납부(20)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한 덮개(21)와, 상기 덮개(21)를 고정하도록 한 고정구(22)와,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구(22)를 동작시키도록 한 감지 센서(23)를 형성한 수납부(20)와;
    액화 가스를 저장하도록 한 봄베(31)와, 신호에 의해 봄베(31)를 개폐하도록 한 개폐 밸브(32)와, 상기 봄베(31)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이송하도록 한 이송관(33)을 형성한 주입부(30)와;
    비행기 동체의 하측에 형성하며, 상기 봄베(31)에서 분출되는 공기로 순간적으로 팽창되도록 형성한 에어 보트(40)와;
    상기 수납부(20)의 감지 센서(23)를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주입부(30)의 개폐 밸브(32)가 개방되도록 형성한 조절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용 낙하 장치.
KR2020000035283U 2000-12-16 2000-12-16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KR200225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83U KR200225105Y1 (ko) 2000-12-16 2000-12-16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83U KR200225105Y1 (ko) 2000-12-16 2000-12-16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444A Division KR20020048139A (ko) 2000-12-16 2000-12-16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05Y1 true KR200225105Y1 (ko) 2001-05-15

Family

ID=7305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283U KR200225105Y1 (ko) 2000-12-16 2000-12-16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39A (ko) * 2000-12-16 2002-06-22 백병룡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399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小型飛行体
US7490795B2 (en) Aircraft evacuation slide with primary gas relief valve
JP3522371B2 (ja) 安全航空機
US6315245B1 (en) Ejection seat with blast protection system
CA2972697C (en) An aircraft with an emergency floatation system
US4457730A (en) Vacuum packaged inflatable flotation device
CN102481980B (zh) 飞机乘员保护系统
US9169008B2 (en) Method of arranging a buoyancy system on an aircraft, a buoyancy system for an aircraft, and an aircraft
KR20020048139A (ko)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US6308917B1 (en) Ejection seat
EP3157810A1 (en) Longitudinal scoops for rolling stability
KR200225105Y1 (ko) 비행기용 추락방지장치
US11584518B2 (en) Aircraft provided with a buoyancy system, and a buoyancy method
US20210339875A1 (en) Life raft system for an aircraft
KR101249541B1 (ko) 공기 흐름 조절을 이용한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20150118712A (ko)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GB2429681A (en) Inflatable device with reduced compressed inflation gas requirement
JPH0478694A (ja) 船舶の船体保護装置
US3112447A (en) Antenna float with actuating system
PL244467B1 (pl) Adaptacyjne urządzenie awaryjnego lądowania obiektu, zwłaszcza dla bezzałogowego statku powietrznego
KR100856789B1 (ko) 비행기 및 선박용 안전장치
WO2022168793A1 (ja) 安全装置及び飛行体
US5634427A (en) Emergency signalling device
KR20020093874A (ko)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