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67Y1 -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67Y1
KR200224767Y1 KR2020000035292U KR20000035292U KR200224767Y1 KR 200224767 Y1 KR200224767 Y1 KR 200224767Y1 KR 2020000035292 U KR2020000035292 U KR 2020000035292U KR 20000035292 U KR20000035292 U KR 20000035292U KR 200224767 Y1 KR200224767 Y1 KR 200224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ll
locker
main body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6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뒷면에 배터리 장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탈장착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으로 록커 볼이 노출되게 설치되어 배터리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커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록커 수단의 록커 볼이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록홈이 형성됨으로써, 록킹 구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배터리의 탈장착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BATTERY LOCKER FOR A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 타입 방식으로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배터리 록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이동할 때 휴대하기 편리하게 소형으로 만들어져 있고, 휴대하거나 이동 중에도 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20)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20)는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인 바, 휴대폰의 본체(10) 또는 배터리(20)에는 배터리(20)가 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록커 장치(30)가 구비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배터리 록킹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방향의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록커 장치는 본체(10)의 뒷면에 설치되어 록커(31)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배터리(20)의 장착/분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록커 장치(30)는 본체(10)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어 배터리(20)의 록홈(20a)에 걸림 작용을 하는 록커(31)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록커(31)가 배터리(20) 방향으로 이동토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커(31)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배터리(20)의 록홈(20a)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커(31)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2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사용자가 배터리(20)의 분리를 위해 상기 록커(31)를 상측으로 밀게 되면 록커(31)의 돌출부(31a)가 록홈(20a)으로부터 이탈하여 배터리(20)를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는 상하 직선 운동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록커(31)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본체(10)의 내측에 록커(31) 및 스프링(35)을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아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구비된 록커 볼에 의해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배터리의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배터리 록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배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및 상세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배터리 록킹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록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C-C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D 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7의 '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본체 51 : 배터리 장착부
60 : 배터리 61 : 록홈
62 : 손잡이 홈 70 : 록킹 기구
71 : 록커 하우징 71a : 이탈 방지홀
71b : 스프링 시트부 71c : 볼 삽입홀
73 : 록킹 볼 75 : 코일 스프링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는, 뒷면에 배터리 장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탈장착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으로 록커 볼이 노출되게 설치되어 배터리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커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록커 수단의 록커 볼이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록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록커 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록커 하우징과, 상기 록커 하우징에 일부분이 돌출되게 내장되어 배터리의 록홈에 삽입되는 록커 볼과, 상기 록커 하우징 내에 지지되어 상기 록커 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록킹 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D 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7의 '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의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는 뒷면에 삭제된 공간부 모양으로 배터리 장착부(51)가 형성된 본체(50)와, 상기 본체(50)로부터 배터리 장착부(51)의 일측으로 록커 볼(73)이 노출되게 설치되어 배터리(60)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커 기구(70)와, 상기 록커 기구(70)의 록커 볼(73)이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록홈(61)이 형성된 배터리(60)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 기구(70)는 상기 배터리(60)의 록홈(61)에 삽입되는 록커 볼(73)과, 상기 록커 볼(7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75)과, 상기 본체(50) 내에 고정되어 상기 록커 볼(73)과 코일 스프링(75)이 내장된 록커 하우징(71)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 하우징(7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전면에 상기 록커 볼(73)이 배터리(60)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홀(71a)이 형성되고, 뒷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75)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부(71b)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시트부(71b)의 중앙에는 상기 록커 볼(73)을 조립할 때 삽입할 수 있도록 볼 삽입홀(71c)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75)은 상기 록커 볼(73)에 접촉되는 부분으로부터 스프링 시트부(71b) 쪽으로 갈수록 점차 선회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60)에는 상기 본체(50)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손잡이 홈(6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배터리(60)가 본체(5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75)의 작용에 의해 록커 볼(73)이 배터리(60)의 록홈(6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배터리(60)가 본체(5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6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배터리(60)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 홈(62)을 잡고 당기게 되면 록홈(61)이 록커 볼(73)로부터 이탈하면서 배터리(6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록커 볼(73)은 코일 스프링(75)을 압축하면서 내측으로 들어간 후 배터리(60)가 분리되면 다시 록커 하우징(71)의 앞쪽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배터리(60)가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배터리(6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60)의 하단부를 본체(50)의 걸림부(55)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단부를 배터리 장착부(51)에 밀어 넣으면 록홈(61)이 록커 볼(73)에 걸리면서 배터리(60)가 본체(50)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60)가 록커 볼(73)에 위해 본체(5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잘못하여 휴대폰을 떨어뜨리게 되면 낙하 충격에 의해 배터리(60)가 본체(5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본체(50)와 배터리(60)에 가해지는 충격이 어느 정도 분산되어 휴대폰이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는 볼 타입 방식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구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배터리의 탈장착도 편리해지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뒷면에 배터리 장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탈장착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으로 록커 볼이 노출되게 설치되어 배터리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커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록커 수단의 록커 볼이 삽입되도록 일측면에 록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 수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록커 하우징과, 상기 록커 하우징에 일부분이 돌출되게 내장되어 배터리의 록홈에 삽입되는 록커 볼과, 상기 록커 하우징 내에 지지되어 상기 록커 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 하우징은 그 전면에 상기 록커 볼이 배터리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홀이 형성되고, 뒷면에 상기 탄성 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 하우징은 그 뒷면에 상기 록커 볼을 삽입할 수 있도록 볼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록커 볼에 접촉되는 부분으로부터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선회 반경이 커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KR2020000035292U 2000-12-16 2000-12-16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KR200224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92U KR200224767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92U KR200224767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67Y1 true KR200224767Y1 (ko) 2001-05-15

Family

ID=7309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292U KR200224767Y1 (ko) 2000-12-16 2000-12-16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7469T3 (es) Soporte para teléfonos móviles
US6975842B2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224767Y1 (ko)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JP2002218032A (ja) 携帯電話のsimカード取り付け構造
EP1909469A2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486519B1 (ko) 핸즈프리용 휴대폰 거치대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KR2003005668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젝트 장치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100494807B1 (ko) 핸드폰의 배터리 로킹 구조
KR19980011206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199755Y1 (ko) 핸즈 프리 카 키트용 거치대의 인터페이스콘넥터용 로킹장치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60068244A (ko)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5107Y1 (ko)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KR19990019603U (ko) 휴대폰 거치대 겸용 컵홀더
KR200208040Y1 (ko) 휴대폰 휴대용 버클
KR200292164Y1 (ko)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0493530B1 (ko) 핸즈프리 거치대용 착탈장치
KR19980025640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4218279B2 (ja) 小型カード保持筐体
JPH10172527A (ja) 電池パック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