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032Y1 - 신축이음관 - Google Patents

신축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032Y1
KR200224032Y1 KR2020000035033U KR20000035033U KR200224032Y1 KR 200224032 Y1 KR200224032 Y1 KR 200224032Y1 KR 2020000035033 U KR2020000035033 U KR 2020000035033U KR 20000035033 U KR20000035033 U KR 20000035033U KR 200224032 Y1 KR200224032 Y1 KR 200224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inner cylinder
hole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호
Original Assignee
김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호 filed Critical 김은호
Priority to KR2020000035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032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해 부드럽게 신축 작동되며, 그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성의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내향 연장된 측벽(5)이 형성되며 이 측벽(5)의 중앙에는 통공(7)이 형성된 외통체(10)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체(10)의 적어도 일측 통공(7)에 결합된 내통체(20)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과 외통체(10)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25)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에 결합되어 외통체(10)의 측벽(5)이 내통체(20)의 외주면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링형상의 윤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신축이음관{expansion joint pipe}
본 고안은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해 부드럽게 신축 작동되며, 그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성의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름이나 물 등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는 통상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며,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화 또는 외기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어, 이때의 응력에 의해 균열이나 파손 등이 초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른 파이프의 길이 변화를 흡수하도록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이음관이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신축이음관의 일례로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내향 연장된 측벽(5)이 형성되며 이 측벽(5)의 중앙에는 통공(7)이 형성된 외통체(10)와, 이 외통체(10)의 통공(7)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된 내통체(20)와, 이 내통체(20)와 외통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 등을 방지하도록 된 자바라형 신축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통체(20)의 외측 단부에는 다른 파이프(2)와 연결되도록 플랜지(12)가 형성되고, 그 내측 단부에는 외통체(10)의 내벽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링(16)이 고정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신축이음관은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금속 파이프가 신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상기 내통체(20)가 외통체(10)를 중심으로 위치 이동되어 전체 관로의 신축에 따른 길이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관로의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신축이음관은 그 외통체(10)의 통공(7)에 내통체(20)가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내통체(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외통체(10)의 양단부 측벽(5)이 내통체(20)의 외주면과 마찰되면서 원활한 신축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갑작스런 파이프의 길이 팽창 및 수축이 발생되어, 이때의 충격력에 의해 파이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때의 마찰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신축이음관은 외통체(10)의 양단부 측벽(5)이 내통체(2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그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온도변화에 의해 부드럽게 신축 작동되며, 그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성의 신축이음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신축이음관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관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통체 20. 내통체
25. 신축부재 30. 윤활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내향 연장된 측벽(5)이 형성되며 이 측벽(5)의 중앙에는 통공(7)이 형성된 외통체(10)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체(10)의 적어도 일측 통공(7)에 결합된 내통체(20)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과 외통체(10)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25)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에 결합되어 외통체(10)의 측벽(5)이 내통체(20)의 외주면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링형상의 윤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윤활부재(30)는 테프론 수지 등의 내마모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신축이음관은 그 양단부 측벽(5)의 중간부에 통공(7)이 형성된 통형상의 외통체(10)와,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된 내통체(20)와, 이 내통체(20)의 외주면과 외통체(10)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된 신축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 내측에는 내통체(20)의 외주면에 접해지는 윤활부재(30)가 설치되어 신축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윤활부재(3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 둘레부에는 오목홈(22)이 형성되어, 이 오목홈(22)에 의해 상기 외통체(10) 측벽(5)의 통공(7)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윤활부재(30)는 테프론 수지와 같은 내마모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신축 작동시 외통체(10)의 측벽(5)과 내통체(20)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어, 파이프의 길이 방향 신축을 원활하게 보상해 줄 수 있도록 하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이음관은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유체 등의 온도 변화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가 신장 또는 축소되더라도, 내통체(20)가 외통체(10)를 중심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파이프의 길이 변화를 보상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 내벽면에는 윤활부재(30)가 끼워져 있으므로, 외통체(10)의 양단 측벽(5)과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부드럽게 슬라이드되어, 파이프의 길이 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관은 종래와 같이 마찰력에 의해 파이프가 갑작스럽게 신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상기 파이프에 충격력 등의 발생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윤활부재(30)가 마모되더라도, 이를 교체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신축이음관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신축이음관은 상기 내통체(20)가 하나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통공(7) 중 하나의 통공(7)에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내통체(20)가 외통체(10)의 통공(7)에 각각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관은 플랜지(12)로 파이프(2)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용접에 의해서 파이프(2)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신축이음관은 그 외통체의 양단부 측벽이 내통체의 외주면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므로 마찰에 의한 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신축 작동시 마모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내향 연장된 측벽(5)이 형성되며 이 측벽(5)의 중앙에는 통공(7)이 형성된 외통체(10)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체(10)의 적어도 일측 통공(7)에 결합된 내통체(20)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과 외통체(10)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25)와,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외통체(10)의 통공(7)에 결합되어 외통체(10)의 측벽(5)이 내통체(20)의 외주면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링형상의 윤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재(30)는 테프론 수지 등의 내마모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관.
KR2020000035033U 2000-12-14 2000-12-14 신축이음관 KR200224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033U KR200224032Y1 (ko) 2000-12-14 2000-12-14 신축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033U KR200224032Y1 (ko) 2000-12-14 2000-12-14 신축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032Y1 true KR200224032Y1 (ko) 2001-05-15

Family

ID=7306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033U KR200224032Y1 (ko) 2000-12-14 2000-12-14 신축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38B1 (ko) * 2007-10-18 2008-11-1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38B1 (ko) * 2007-10-18 2008-11-1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6812B2 (ja) 液圧的に制振するゴム軸受
US2839218A (en) Pressure vessel closure
KR100261327B1 (ko)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체 누설방지용 연결구
KR200224032Y1 (ko) 신축이음관
CA2398589A1 (en) Pad plunger assembly with concave pad subassembly
KR860002683A (ko)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JP2008286389A (ja) 密封装置
JPH0648059B2 (ja) 定容積保護ブーツ
JP2017194087A (ja) 耐圧機器及び流体圧シリンダ
JP6858930B2 (ja) シールリング及び密封構造
JPH0794870B2 (ja) 密封配置
JP6800157B2 (ja) アキュムレータ
KR920009367A (ko)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KR970070688A (ko) 소직경 파이프 접속용 연결구
JP2006505408A (ja) 油膜軸受の流体静力学的な設備の液圧供給導管のための接続ブロック
KR100446185B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KR200232253Y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TWI606201B (zh) Sealing member
JPH074462A (ja) シリンダ装置
JP3965785B2 (ja) 密封装置
KR102175215B1 (ko) 패킹 교체가 가능한 신축관 이음장치
JP2023074663A (ja) シリンダ装置
JP6950937B2 (ja) 流体シリンダ
KR200456822Y1 (ko)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유체압 실린더의 보스
JP2017227224A (ja) 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