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85Y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85Y1
KR200223985Y1 KR2020000033933U KR20000033933U KR200223985Y1 KR 200223985 Y1 KR200223985 Y1 KR 200223985Y1 KR 2020000033933 U KR2020000033933 U KR 2020000033933U KR 20000033933 U KR20000033933 U KR 20000033933U KR 200223985 Y1 KR200223985 Y1 KR 200223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anner
nut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식
Original Assignee
장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갑식 filed Critical 장갑식
Priority to KR2020000033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85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나 가스등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합성수지류의 관을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로, 밸브의 몸체 전체가 스패너 작업이 가능하도록 6각이나 8각의 너트가 구성되도록 한 밸브이다.
종래의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연통을 위한 밸브는 금형을 이용하여 그 모양을 형성할때 밸브의 몸체에 각을 구성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소수의 경우는 각을 구성 하였으나 그 구조상 쓸모가 많지는 않았다.
본 고안의 밸브는 밸브 양측에 합성수지류의 관을 연통시킬수 있는 밸브로 제작하되 몸체부 전체가 스패너로 죌수 있는 수단인 너트부가 될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또한 이상의 너트부는 면적이 넓어 스패너의 작업공간에 여유를 갖게하여 시공자들이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는 시공자들이 손쉽고, 빠르게 밸브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여 동일시간 내에 작업량이 배가 되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고안은 수도나 가스등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합성수지류의 관을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로, 밸브의 몸체 전체가 스패너 작업이 가능하도록 6각이나 8각의 너트가 구성되도록 한 밸브이다.
종래의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연통을 위한 밸브는 금형을 이용하여 그 모양을 형성할때 밸브의 몸체에 각을 구성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소수의 경우는 각을 구성 하였으나 그 구조상 쓸모가 많지는 않았다.
그 이유를 도시된 종래 고안인 도 3과 함께 살펴보자.
6각이나 8각의 너트부(1)를 가진 밸브의 몸체에 합성수지관(5)의 체결을 위한 수지관연결구(2)를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6각이나 8각의 연결구너트부(3)를 구성시킨다.
따라서 스패너를 이용하여 수지관연결구(2)를 밸브몸체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후에 합성수지류의 관(5)을 끼우고 너트(4)로 죄어 단단한 체결을 이룬다.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고안은 그 문제점이 많다.
밸브몸체에 끼워진 수지관연결구(2)의 연결구너트부(3)는 몸체에 구성된 너트부(1)보다 커야만 연결구(2)를 체결하기 쉽다.
따라서 수지류의 관(5)을 연결하고 너트(4)로 죌시 스패너는 밸브몸체에 구성된 너트부(1)에 끼우는 것이 아니라, 좁은 연결구너트부(3)에 끼워 죄게 된다.
따라서 밸브몸체에 구성된 너트부(1)는 그 쓸모가 전혀 없다 할 것이다.
그 면적이 커서 스패너의 삽입공간이 많이 남는다 할 지라도 시공자에게 사용되기는 힘든 너트부(1)였다.
물론 대다수의 밸브몸체에는 각의 형성이 전혀 없어서 시공상의 문제점은 가중되어 언급할 필요가 없다 하겠다.
본 고안의 밸브는 밸브 양측에 합성수지류의 관을 연통시킬수 있는 밸브로 제작하되 몸체부 전체가 스패너로 죌수 있는 수단인 너트부가 될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너트부의 면적이 넓어 스패너의 작업공간에 여유를 갖게해 시공자들이 빠른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에 너트부의 구성이 없어 그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밸브를 도시한 분해도
본 고안은 양측에 합성수지류의 관(5)을 연통시킬수 있는 수지관연결구(11)가 끼워지는 밸브에 관한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밸브몸체 전체가 6각의 너트부(10')가 구성된 밸브몸체(10)와;
그 양측단의 내주면에 수지류연결구(11)가 끼워 조여짐에 스페너의 활용공간을 넓게한 고안이다.
물론 상기의 밸브몸체(10)는 8각의 너트부(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개략적으로 본 고안의 구성들을 나열하였고 하기에는 도시된 도면과 함께 그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6각이나 8각의 각을 가진 몸체(10)에 수지관연결구(11)를 삽입하고, 죄게 된다.
그 방식은 수지관연결구(11)의 내주면중 일부의 단면이 4~8각의 구멍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러한 각이 구성된 봉을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한다.
이 조임구(11)에 도시된 도 1,2에서 처럼 합성수지류의 관(5)을 넣고 너트(12)로 단단히 죄어 관(5)의 연통을 이룬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무엇보다도 그 작업에 용이성을 가진다.
즉, 밸브(20)의 양측에 합성수지관(5)을 끼우고 너트(12)로 죌시 수지류의 관(5)은 지지력이 약하여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잡아주는 작용이 필요한데 그 역활은 대부분 스페너를 이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밸브몸체(10)는 전체가 하나의 너트부(10')이기에 스페너의 작업공간이 넓다.
이 넓은 공간을 이용하여 작업함에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시공자는 손쉽게 체결이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본 고안의 밸브(20)는 미관상 더 수려하고, 수지관연결구(11)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또한 높다.
본 고안은 시공자들이 손쉽고, 빠르게 밸브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여 동일시간 내에 작업량이 배가 되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의 모양이나 견고함도 배가되지만 그 제작성에 있어서도 용이한 고안이다.

Claims (2)

  1. 밸브 양측에 합성수지류의 관(5)을 연통시킬수 있는 수지관연결구(11)가 끼워지는 밸브에 있어서,
    밸브몸체 전체가 6각의 너트부(10')가 구성된 밸브몸체(10)와;
    그 양측단의 내주면에 수지류연결구(11)가 끼워 조여짐에 스페너의 활용공간을 넓게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6각의 너트부(10')는 8각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밸브.
KR2020000033933U 2000-12-04 2000-12-04 밸브 KR200223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33U KR200223985Y1 (ko) 2000-12-04 2000-12-04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33U KR200223985Y1 (ko) 2000-12-04 2000-12-04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85Y1 true KR200223985Y1 (ko) 2001-05-15

Family

ID=7306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933U KR200223985Y1 (ko) 2000-12-04 2000-12-04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555B2 (en) Cardan shaft structure with tightness adjustable functions
EP0976502A2 (en) Retaining device of socket spanner
KR200223985Y1 (ko) 밸브
SE0003470D0 (sv) Lednyckel
JP2004251180A5 (ko)
TW200710336A (en) Structure of universal shaft with adjustable tightness
CA2401814A1 (en) One-way nut fastener
US20040221688A1 (en) Socket for a wrench
JP2002081416A (ja) 取付け固定具
KR100422126B1 (ko) 렌치
KR20070071300A (ko) 이중 육각 나사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200277933Y1 (ko) 각형 파이프 연결구조
JP2006292048A (ja) 物品の締付け装置
KR200396421Y1 (ko)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CN220957281U (zh) 一种油压管路用旋转接头
WO2003031120A8 (en) Adjustable wrench
KR200233603Y1 (ko) 렌치볼트
KR200243241Y1 (ko) 일방향 회전식 스패너
KR19990039586U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09465Y1 (ko) 체결볼트
KR200257844Y1 (ko) 나삽 나해가 용이한 너트
KR200303991Y1 (ko) 수밀용 패킹이 고정된 티-볼트
JPH0755431Y2 (ja) ホース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