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48Y1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48Y1
KR200223648Y1 KR2020000031421U KR20000031421U KR200223648Y1 KR 200223648 Y1 KR200223648 Y1 KR 200223648Y1 KR 2020000031421 U KR2020000031421 U KR 2020000031421U KR 20000031421 U KR20000031421 U KR 20000031421U KR 200223648 Y1 KR200223648 Y1 KR 200223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einforcing bar
fixing
fixing material
materia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한
이봉순
Original Assignee
양영한
이봉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한, 이봉순 filed Critical 양영한
Priority to KR2020000031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48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규정된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구조 성능을 만족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철근 연결용 슬리브는 간벽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일측 철근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한편 고착재 주입공과 공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고착재 주입 공간을 형성하는 고착 이음부와, 상기 타측 철근의 선단부에 미리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되는 태핑 홈을 중심에 형성한 너트를 타측의 외주에 형성하는 나사 이음부로 이루어진 슬리브타측에는 외주에 너트를 형성하고 중심에 상기 원추형 나사산에 대응되는 원추형 나사홈을 형성하는 나사 이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용 슬리브{Apparatus for connectiong Reinforcing bar}
본 고안은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두 철근의 상호간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 캐스팅 콘크리트(pre casting concrete)나 건축물에는 다양한 직경의 철근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대직경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철근 상호간을 연결시키도록 규정함으로써 구조물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193343호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철근 스토퍼(2)의 양측으로 철근을 삽입할 수 있고, 외측면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위한 모르타르 주입공(4)이 2개 형성된다.
내측면에는 소정 각도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철근 연결용 슬리브는 철근 스토퍼(2)의 양측에 철근을 삽입한 후 모르타르 주입공(4)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두 철근을 연결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연결용 슬리브는 양단에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 길이만큼의 슬리브의 길이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슬리브의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주입용 모르타르가 사용되어야 한다.
아울러, 슬리브에 삽입할 수 있도록 여분 길이의 철근이 필요하여 공사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규정된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구조 성능을 만족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두 철근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B1,RB2...철근
20...슬리브 22...간벽
40...고착 이음부 42...고착재(모르타르)
44...고착재 주입 공간 46...환상돌기
48...삽입공 50...고착재 주입공
52...공기 배출공 54...홈
60...나사 이음부 62...육각너트
64...원추형 나사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근 연결용 슬리브는 일측 철근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한편 고착재 주입공과 공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고착재 주입 공간이 간벽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고착 이음부와; 상기 간벽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고, 타측 철근의 선단부에 미리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너트가 형성되는 나사 이음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두 철근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철근 연결용 슬리브(20)는 간벽(22)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고착 이음부(40)가 타측에는 나사 이음부(60)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다.
이러한 철근 연결용 슬리브(20)의 재질은 구상 흑연 주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착 이음부(40)의 중심부에는 고착재(42)를 채워 넣을 수 있는 고착재 주입 공간(44)이 형성되고, 그 고착재 주입 공간(44)의 내측면에는 환상돌기(46)가 형성되어 고착재(44)의 부착 표면적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고착 이음부(40)의 일단에는 일측 철근(RB1)의 끝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48)이 상기 고착재 주입 공간(44)과 연통 형성된다.
또한 고착 이음부(40)의 외측면에는 고착재(42)를 주입하기 위한 고착재 주입공(50)과, 고착재(44)의 주입시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고착재(44)의 주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 배출공(5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해서 언급되는 고착재(42)로는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기술한 간벽(22)은 일측 철근(RB1)의 삽입시 일측 철근(RB1)이 항상 맞닿게 되는 벽으로 일측 철근(RB1)의 삽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간벽(22)에는 철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간벽공(2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나사홈 가공 및 철근 접속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착 이음부(40)의 외측면에는 종방향으로 직선형의 홈(54)이 다수개 형성되어 철근 연결용 슬리브(20)의 외측면적을 증가시키며, 이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20)와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나사 이음부(60)는 간벽(22)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철근 연결시 체결 공구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외주에 육각너트(62)를 형성한다.
상기 육각너트(62)의 중심부에는 태핑에 의해 원추형 나사홈(6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타측 철근(RB2)의 선단부와 결합된다.
이러한 타측 철근(RB2)의 선단부에는 상기 원추형 나사홈(64)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철근(RB1)의 끝단부를 고착 이음부(40)의 삽입공(48)을 통해 고착재 주입 공간(44)으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시킨다.
그리고 고착재 주입공(50)을 통하여 모르타르(42)를 주입하며, 이 모르타르 (42)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된다.
고착재 주입 공간(44)에 있던 공기는 모르타르(42)가 주입되면서 공기 배출공(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미리 타측 철근(RB2)의 선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나사산을 나사 이음부(60)의 나사홈(64)에 체결한다.
이때 타측 철근(RB2)과 철근 연결용 슬리브(2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 공구를 이용해서 육각너트(62)를 회전시켜 체결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고착 이음부로 연결되는 일측 철근은 모르타르를 이용해 연결하고, 타측 철근은 나사산 연결을 통해 연결되어 종래의 양방향 모르타르 주입 방식의 슬리브와 비교하여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길이가 작아짐으로서 슬리브 제작비를 낮출 수 있으며, 주입 모르타르 양의 감소 및 연결 철근의 길이 축소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리브 표면과 내부에는 환상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함으로서 슬리브와 충전 모르타르간 및 슬리브와 콘크리트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 철근의 끝단부와 타측 철근의 선단부를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일측 철근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한편 고착재 주입공과 공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고착재 주입 공간이 간벽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고착 이음부와;
    상기 간벽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 철근의 선단부에 미리 형성된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의 외측에 너트가 형성되는 나사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는 모두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착 이음부의 외측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재 주입 공간의 내측면에 환상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
KR2020000031421U 2000-11-10 2000-11-10 철근 연결용 슬리브 KR200223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21U KR200223648Y1 (ko) 2000-11-10 2000-11-10 철근 연결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21U KR200223648Y1 (ko) 2000-11-10 2000-11-10 철근 연결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48Y1 true KR200223648Y1 (ko) 2001-05-15

Family

ID=7309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21U KR200223648Y1 (ko) 2000-11-10 2000-11-10 철근 연결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8524A (en) Reinforcing bar splice and system for forming precast concrete members and structures
KR100914049B1 (ko) 철근 연결용 굴절식 커플러
CN109339345B (zh) 一种用于预制钢筋混凝土挂件钢筋连接的非灌浆套筒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0439305B1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404425B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223648Y1 (ko) 철근 연결용 슬리브
CN210152071U (zh) 一种免加工即插式钢筋锚固板装置
CN111173200A (zh)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灌浆套筒及其安装方法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CN209817215U (zh) 叠合楼板与墙体的连接组件
KR1999007984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
KR20220121142A (ko) 철근 커플러
KR20030032149A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265991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KR200265990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364379Y1 (ko) 나사형 철근과 이형 철근의 이음장치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CN112392202A (zh) 预应力钢筋与非预应力钢筋的机械连接结构及连接方法
CN215330963U (zh) 一种预制构件间钢筋连接用组合式灌浆套筒结构
KR200203628Y1 (ko) 철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