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98Y1 -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 Google Patents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98Y1
KR200223498Y1 KR2020000034009U KR20000034009U KR200223498Y1 KR 200223498 Y1 KR200223498 Y1 KR 200223498Y1 KR 2020000034009 U KR2020000034009 U KR 2020000034009U KR 20000034009 U KR20000034009 U KR 20000034009U KR 200223498 Y1 KR200223498 Y1 KR 200223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piral tube
permeable layer
pipe
spir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현
Original Assignee
조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복현 filed Critical 조복현
Priority to KR2020000034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98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되는 나선관의 둘레면에 다수형성되는 배수공이 흙이나 기타 돌등에 의해 막히는것을 막을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된 나선관의 골부분에 띠형태의 부직포 로 되는 투수층을 끼워 설치한후 나선관 외면을 메쉬망으로 감아 두름으로써 나선관의 배수공 스크린 작업을 간편히 함과 동시에 나선관의 흙이나 돌의 스크린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한것으로,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A)을 구성함에 있어서, 산부(3)와 골부(2)가 나선형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골부(2)에는 다수의 배수공(21)을 형성한 나선관본체(a)의 골부(2)에는, 상기 골부(2)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투수층(11)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투수층(11)이 설치된 나선관본체(a)의 전외면에는 메쉬망(12)을 감아둘러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이다.

Description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spiral pipe with screen device for through hole}
본고안은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나선관의 둘레면에 다수형성되는 배수공이 흙이나 기타 돌등에 의해 막히는것을 막을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된 나선관의 골부분에 띠형태의 부직포 로 되는 투수층을 끼워 설치한후 나선관 외면을 메쉬망으로 감아 두름으로써 나선관의 배수공 스크린 작업을 간편히 함과 동시에 나선관의 배수공에 대한 흙이나 돌의 스크린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토목용 지중설치 배수관으로 널리 사용되는 나선관의 경우, 지중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나선관 내부로 유입되게하여 자연스럽게 모아 배출되도록 하기위해 나선관둘레면, 특히 골부(谷部)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나선관이 지중에 설치되었을때 흙이나 돌등에 의해 나선관둘레로 형성된 배수공이 막히는 것을 막기위해 다양한 형태의 배수공 스크린 수단이 설치되고 있는것인바, 그 대표적인 경우가 나선관의 전체둘레면을 부직포로 감아둘러 이 부직포가 배수공에 대한 스크린부재역할을 하게함으로써 나선관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배수공이 흙이나 돌등에 의해 막히는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선관의 둘레면 전체를 부직포로 감아돌려 배수공에 대한 스크린역할을 기대하도록 하는 종래의 나선관은, 나선관 전외면에 걸쳐 부직포를 감아두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뿐만아니라 그만큼 부직포의 불필요한 소모가 요구되는 것이어서 비경제적이며, 또한 외면전체에 감아둘러진 부직포가 나선관의 운반과정 또는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손상될 우려가 있어 배수공에 대한 완벽한 스크린역할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와 아울러 외면에 부직포가 감아둘러진 나선관의 미감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는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나선관의 둘레면에 다수형성되는 배수공을 스크린 하기위한 수단으로서 나선관 둘레면 전체에 부직포를 감아둘러서 되는 종래의 나선관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나선관의 골부에 상기 골부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폭과 깊이를 갖는 띠형 부직포로 되는 투수층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나선관 외면에는 메쉬망을 감아둘러 설치함으로써 배수공에 대한 스크린 작업이 훨씬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게되어 배수공에 대한 스크린효과를 높임과동시에 부직포등의 소요자재의 규모도 훨씬줄여 경제적일뿐만아니라 부직포가 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메쉬망이 설치됨으로 인해 스크린부재가 손상을 입게되는것을 막을수 있게되는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나선관의 일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나선관의 부분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나선관 본체
1 : 스크린부재 2 : 골부 3 : 산부 11 : 투수층 12 : 메쉬망
21 : 배수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고안에 의한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A)은, 산부(3)와 골부(2)가 나선형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골부(2)에는 다수의 배수공(21)을 형성한 나선관본체(a)의 골부(2)에는, 상기 골부(2)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부직포로 되는 투수층(11)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투수층(11)이 설치된 나선관 본체(a)의 전외면에는 메쉬망(12)을 감아둘러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나선관본체(a)와, 스크린부재(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나선관본체(a)는 일반적인 나선관성형장치에 의해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중공관체로 성형제조되는것으로, 그 외면에는 골부(2)와 산부(3)가 나선형태로 연속하여 반복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골부(2)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크기의 배수공(21)을 다수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스크린부재(1)는 투수층(11)과 메쉬망(12)으로 되는것으로, 투수층(11)은 부직포로되어 대략 골부(2)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 골부(2)내에 완전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메쉬망(12)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등으로 되어 상기 나선관 본체(a)를 감아 두르도록 설치되어 나선관 본체(a)에 직접적으로 흙이나 돌이 접촉되는것을 막도록 지중에 매설된상태에서 지중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메쉬망의 공간부를 통해 나선관본체(a)측으로 유입되게되고, 이렇게 메쉬망(12)을 통해 유입된 수분(물)은 나선관본체(a)의 골부(2)내에 삽입설치된 부직포로되는 투수층(11)을 거쳐 다수의 배수공(21)을 통해 나선관본체(a) 내부로 유입되게하여 지중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모아 배출시킬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나선관본체(a) 외면을 감싸고 있는 메쉬망(12)의 존재에 의해 나선관본체(a)를 운반, 이송하는 과정이나 또는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나선관본체(a)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것을 막을수 있게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되는 스크린부재(1) 중 띠형태의 부직포로 되는 투수층(11)을 나선관본체(a)의 골부(2)내에 연이어지는 형태로 끼워넣은 다음, 이렇게 골부(2)에 투수층(11)이 끼워넣어진 나선관본체(a)의 외면에 메쉬망(12)을 감아두르는것에 의해 일정길이의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A)을 제조한후, 이를 매설될 장소로 운반하여 지중에 매설하게되면, 지중에 매설된 나선관을 이루는 나선관본체(a)의 골부(2)에 다수형성된 배수공(21)이, 이 배수공(21)을 스크린하도록 설치된 투수층(11)과 메쉬망(12)으로 되는 스크린부재(1)에 의해 흙이나 돌등에 의해 막히지 않고 외부와의 연통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인바, 이와 같이 메쉬망(12) 및 투수층(11)에 의해 배수공(21)이 확실하게 스크린되는 상태에서 지중에서 발생되는 수분들은 일차적으로 스크린부재(1)의 메쉬망(12)의 공간부를 통해 골부(2)에에 삽입된 투수층(11)으로 유입되게되고 이렇게 부직포로 이루어진 투수층(11)으로 유입된 수분은 그대로 골부(2)에 다수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나선관본체(a)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되어 지중으로 스며든 우수나 또는 지중에서 자연발생되는 기타수분을 효과적으로 모아처리할 수 있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나선관본체(a)의 골부(2)내에 끼워져 골부(2)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21)을 스크린하기위한 스크린부재(1)를 이루는 투수층(11)의 재질을 본예에서는 부직포로 한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반드시 특정하는것은 아니며, 메쉬망(12)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골부(2)의 배수공(21)을 통해 나선관본체(a)내로 유입될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메쉬망(12)의 재질에 있어서도 그물망형태의 금속망이나 또는 합성수지망등 나선관본체(a)의 골부(2)에 삽입설치되는 투수층(11) 표면에 대해 흙이나 돌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것을 막고 투수층(11)표면과 흙이나 돌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하여 투수성을 좋게할 수 있는것이면 메쉬망(12)의 재질이나 형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에 의하면, 지중에 매설되어 지중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모아 외부로 배출,처리토록 하기위한 지중매설 나선관의 배수공이 흙이나 돌에 의해 막히는것을 막기위해 일정두께 및 폭의 부직포로 되는 투수층을 나선관본체의 골부에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나선관본체 외면을 메쉬망으로 감아둘러쌈으로써 지중에 매설된상태의 나선관에 대한 투수성을 좋게할뿐만아니라, 스크린부재가 설치되는 나선관의 제작을 용이하게하여 그 제작단가를 낮출수있게 될뿐만아니라 제작완료된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의 운반 및 설치작업시 스크린부재가 손상되는것을 막을 수 있게되며 또한 제조완료된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의 외관을 좋게 유지할수 있게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A)을 구성함에 있어서,
    산부(3)와 골부(2)가 나선형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골부(2)에는 다수의 배수공(21)을 형성한 나선관본체(a)의 골부(2)에는, 상기 골부(2)의 폭과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투수층(11)을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투수층(11)이 설치된 나선관본체(a)의 전외면에는 메쉬망(12)을 감아둘러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11)은 부직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KR2020000034009U 2000-12-05 2000-12-05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KR200223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09U KR200223498Y1 (ko) 2000-12-05 2000-12-05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09U KR200223498Y1 (ko) 2000-12-05 2000-12-05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98Y1 true KR200223498Y1 (ko) 2001-05-15

Family

ID=7306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09U KR200223498Y1 (ko) 2000-12-05 2000-12-05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6578A (en) Protective sleeve for corrugated drainage tubes
US5002427A (en) Hydrophobic material used for drainage of culvert
US20090242492A1 (en) Subsurface wastewater disposal system
KR200223498Y1 (ko) 배수공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나선관
US4180464A (en) Method of covering corrugated drainage tubes
US9273456B1 (en) Leaching tube
KR200392218Y1 (ko) 연약지반 개량용 드레인보드의 코아 구조
KR100390285B1 (ko) 원통형 및 판형 복합드레인에 의한 연약지반의탈수촉진공법 및 그 물건
CN215290211U (zh) 一种园林区域的地下室顶板排水系统
JP2009270319A (ja) 雨水桝の施工構造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100954527B1 (ko)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JP5916302B2 (ja) 地中灌水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給水管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US20160251842A1 (en) Leaching Tube
KR101376239B1 (ko) 식물 재배용 나선 암거배수관
KR200233308Y1 (ko) 연약지반의 탈수촉진용 배수장치
KR19990078935A (ko) 탈수환산 단면적을 크게 한 여과용 주름배수관
JPH0724421Y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A2847436A1 (en) Aggregate replacement
CA1092326A (en) Method of covering corrugated drainage tubes
KR100592335B1 (ko) 경사면 보호 블록의 급배수용 파이프
JP3448480B2 (ja) 可撓性導水パイプ
KR102225978B1 (ko) 맨홀의 수로관연결구조
KR200232434Y1 (ko) 경사면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