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33Y1 -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 Google Patents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33Y1
KR200223433Y1 KR2020000032026U KR20000032026U KR200223433Y1 KR 200223433 Y1 KR200223433 Y1 KR 200223433Y1 KR 2020000032026 U KR2020000032026 U KR 2020000032026U KR 20000032026 U KR20000032026 U KR 20000032026U KR 200223433 Y1 KR200223433 Y1 KR 200223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nar
time
tidal
mo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수
Original Assignee
천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기수 filed Critical 천기수
Priority to KR2020000032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33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일시간이 표시되는 시계에 달의 공전으로 인한 해수면의 조석시각과 조차의 정도를 식별이 용이하게 표시하고 시침과 분침이 작동되는 시간판상으로 기재되는 임의의 지도 또는 문자 테이블에 주요 해양도시별 조석발생 오차시간을 표시함으로서 해안의 수심과 위도 및 주위의 지리적 형태에 관계없이 표시된 지도에 대한 조석시각을 손쉽게 알 수 있는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주상을 12시간으로 구획한 시간 표시선과 내부에 조석 오차시간이 표시된 임의의 지도 또는 문자 테이블을 형성시킨 시간판과; 이에 동축상으로 편심시켜 편심량으로 조차의 정도를 표시하고 내주에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달의 형상을 구획 및 기재한 태음력 표시판과; 상기 시간판과 태음력 표시판의 사이에 회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로 되는 표면으로 간ㆍ만조 표시부와 태음력 지시침을 형성시킨 회전 원판을 조합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조석시각과 조차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주요 도시별 조석시각을 표준화 하는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Multifunctional watch for display tide table}
본 고안은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일시간이 표시되는 시계에 달의 공전으로 인한 해수면의 조석시각과 조차의 정도를 식별이 용이하게 표시하고 시침과 분침이 작동되는 시간판상으로 기재되는 임의의 지도 또는 문자 테이블에 주요 해양도시별 조석발생 오차시간을 표시함으로서 해안의 수심과 위도 및 주위의 지리적 형태에 관계없이 표시된 지도에 대한 조석시각을 손쉽게 알 수 있는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면은 태양과 지구와 달의 위치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작용인력으로 해수면의 높이가 변화되는 조석간만의 차이는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달의 공전주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염전이나 어패류 채취 또는 선박의 입출항과 같은 바다와 관련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태음력과 같이 달의 공전주기에 따라 생업의 주기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는 달의 공전으로 인한 지구의 해수면에 작용되는 인력이 매일 변화됨에 따라 종래에는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조석시간을 일일이 기억에 의존하거나 별도로 메모를 하여 생업주기를 결정함에 따라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동일 위도상에 위치하는 주요 도시에 대한 해안의 수심과 주위의 지리적 형태에 따라 간만조시각이 각각 다름에 따라 표준화 된 조석시각을 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젊은층과 같이 태음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날짜변화에 따른 일일 조석시간을 정확히 알지 못함으로서 작업시기를 놓쳐버리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원주상을 12시간으로 구획한 시간 표시선과 내부에 조석 오차시간이 표시된 임의의 지도 또는 문자 테이블을 형성시킨 시간판과; 이에 동축상으로 편심시켜 편심량으로 조차의 정도를 표시하고 내주에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달의 형상을 구획 및 기재한 태음력 표시판과; 상기 시간판과 태음력 표시판의 사이에 회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로 되는 표면으로 간ㆍ조 표시부와 태음력 지시침을 형성시킨 회전 원판을 조합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조석시각과 조차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주요 도시별 조석시각을 표준화 하는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시간판 나 : 태음력 표시판
다 : 회전 원판 1 : 시침
1' : 분침 2 : 작동 타이머
3 : 시간 표시선 4,4' : 오차시간
5 : 임의의 지도 5' : 문자 테이블
6 : 편심량 7,7' : 달 형상
8,8' : 간,만조 표시부 9 : 태음력 지시침
10 : 태음력 날짜 11 : 태음력 표시창
시침(1)과 분침(1')의 작동 타이머(2)가 배면에 부착된 통상의 시계에 있어서, 원주상을 12시간으로 구획한 시간 표시선(3)의 내부에 주요 해양도시별 조석의 오차시간(4)(4')이 표시되는 임의의 지도(5) 또는 문자 테이블(5')을 기재한 시간판 (가)과; 상기 시간판(가)과 동축상으로 편심되어 부착되는 내주에는 사리와 조금과 같은 조차의 정도가 경사선()으로 표시되는 편심량(6)과 달의 공전 반주기를 가시 (可視)되는 여러모양의 달 형상(7)(7')으로 기재 및 구획한 태음력 표시판 (나)과; 상기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작동 타이머(2)와 연동되어 달의 공전주기로 회전되는 회전 원판(다)를 장착하되, 회전 원판(다)의 표면에는 시간 표시선(3)을 따라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간ㆍ만조 표시부(8)(8')와 달 형상(7)(7')을 따라 현재의 음력날짜가 표시되는 태음력 지시침(9)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로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구획 및 기재된 달 형상(7)(7')의 내부에 태음력 날짜(10)(10')를 기재하여도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 원판(다)은 상기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에 기재 및 구획된 달 형상(7)(7')을 차폐하는 구조로 형성하되, 달의 공전주기로 회전되는 회전 원판(다)의 외주 일측에 태음력 날짜에 맞는 달 형상(7)(7')이 표시되는 태음력 표시창 (1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원주상의 시간 표시선(3)을 12시간으로 구획하고 배면에 부착된 작동 타이머(2)로 시침(1)과 분침(1')을 회전시켜 일일시간을 알기 쉽게 한 시간판(가)과,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변화되는 달 형상(7)(7')을 내주에 구획 기재한 태음력 표시판(나)을 상기 시간판(가)과 동축상으로 편심되게 부착하여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나타나는 편심량(6)으로 달의 공전 반주기와 일치하는 사리와 조금의 시기를 나타냄에 따라 경사선()이 표시된 편심량(6)으로 한달중 조차의 발생 정도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알 수 있게 되고,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에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구획 기재된 달의 형상(7)(7')과 경사선 ()이 표시된 편심량(6)을 보고 달의 모양변화에 따른 월중 해수면의 변화를 나타내는 조차의 정도를 한눈에 알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와 동일한 회전원판(다)을 상기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장착하여 간ㆍ만조 표시부(8)(8')와 태음력 지시침 (9)을 표면으로 형성시킨 회전원판(다)이 달의 공전주기로 회전할 때 간ㆍ만조 표시부(8)(8')가 가리키는 시간판(가)의 시간 표시선(3)을 보고 일일중 발생되는 최소 또는 최대 조석시각인 간ㆍ만조시각을 알수 있게 되고, 태음력 지시침(9) 또는 태음력 표시창(11)이 가리키는 태음력 표시판(나)의 달의 형상(7)(7') 또는 달의 형상 (7)(7')의 내부에 기재된 태음력 날짜(10)(10')를 보고 현재의 태음력의 날짜와 이에 따른 변화되는 달의 형상(7)(7')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시간판(가)의 내부로 기재된 임의의 지도(5) 또는 문자 테이블(5')에 주요 해양도시별 조석의 오차시간(4)(4')이 표시되어 해당 도시별 해안의 수심과 위도 및 주위의 지리적 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는 조석시각에 대한 오차를 보정함으로서 시간판(가)에 기재된 임의의 지도(5) 또는 문자 테이블(5')상에 나타나는 주요 해양도시의 정확한 조석시각을 알게되어 간만조시각에 맞게 작업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시간판(가)의 시간 표시선(3)을 사람들의 인식에 편리한 12시간으로 구획하고 내부에 임의의 지도(5) 또는 문자 테이블(5')을 기재하여 주요 해양도시별로 차이가 나는 조석에 대한 오차시간(4)(4')을 표시함으로서 주요 도시별 표준화 된 조석시각을 제공할 수 있고 사리와 조금의 주기와 일치하는 달의 공전 반주기를 달의 형상(7)(7')으로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에 구획 및 기재하고 시간판(가)과 동축상으로 편심되게 태음력 표시판(나)을 장착하여 편심량(6)으로 조차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서 천체운동에 따른 달의 변화와 지구의 해수면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냄으로서 바다와 관련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나 지구과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매우 큰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침(1)과 분침(1')의 작동 타이머(2)가 배면에 부착된 통상의 시계에 있어서, 원주상을 12시간으로 구획한 시간 표시선(3)의 내부에 주요 해양도시별 조석의 오차시간(4)(4')이 표시되는 임의의 지도(5) 또는 문자 테이블(5')을 기재한 시간판 (가)과; 상기 시간판(가)과 동축상으로 편심되어 부착되는 내주에는 사리와 조금과 같은 조차의 정도가 경사선()으로 표시되는 편심량(6)과, 달의 공전 반주기를 가시(可視)되는 여러모양의 달 형상(7)(7')으로 기재 및 구획한 태음력 표시판(나)과; 상기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작동 타이머(2)와 연동되어 달의 공전주기로 회전되는 회전 원판(다)를 장착하되, 회전 원판(다)의 표면에는 시간 표시선(3)을 따라 조석시각이 표시되는 간ㆍ만조 표시부(8)(8')와 달 형상(7) (7')을 따라 현재의 음력날짜가 표시되는 태음력 지시침(9)이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로 달의 공전 반주기에 맞게 구획 및 기재된 달 형상(7)(7')의 내부에 태음력 날짜(10)(10')를 기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판(가)과 태음력 표시판(나)의 사이에 장착되는 회전 원판(다)은 상기 태음력 표시판(나)의 내주에 기재 및 구획된 달 형상(7)(7')을 차폐하는 구조로 형성하되, 달의 공전주기로 회전되는 회전 원판(다)의 외주 일측에 태음력 날짜에 맞는 달 형상(7)(7')이 표시되는 태음력 표시창 (1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KR2020000032026U 2000-11-16 2000-11-16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KR200223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26U KR200223433Y1 (ko) 2000-11-16 2000-11-16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26U KR200223433Y1 (ko) 2000-11-16 2000-11-16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33Y1 true KR200223433Y1 (ko) 2001-05-15

Family

ID=7309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26U KR200223433Y1 (ko) 2000-11-16 2000-11-16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KR20220085159A (ko) 2020-12-15 2022-06-22 설혜리 물 때 시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KR20220085159A (ko) 2020-12-15 2022-06-22 설혜리 물 때 시계
KR102466624B1 (ko) * 2020-12-15 2022-11-14 설혜리 물 때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1671C (zh) 计时装置
JP5127279B2 (ja) 世界タイムゾーン表示を具備する時計アセンブリー
US20050180265A1 (en) Clockwork and watch provided with such a clockwork
CN202217134U (zh) 双制式同步显示世界区时或各区时查对钟表
CH673747B5 (ko)
US4623259A (en) Tide timer
EP0461181B1 (en) Tide calculating and display device
KR200223433Y1 (ko)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US5086417A (en) Nautical moon and tide clock apparatus
KR200223409Y1 (ko) 조석(潮汐)시각이 표시되는 다용도 시계
KR102466624B1 (ko) 물 때 시계
US6788622B1 (en) Global time indicator
US5731573A (en) Tide calculator
KR100301768B1 (ko) 음력날짜를 나타내는 시계
US20020163858A1 (en) Seven-day clock
KR100301767B1 (ko) 경도 측정가능한 만국 시계
JPS6157591B2 (ko)
KR100333768B1 (ko)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
KR19990068432A (ko) 만국시계
KR19990083709A (ko) 음력날짜표시시계
JP3218585U (ja) 日時計
CN100541355C (zh) 具世界时区显示的计时器
JPS60250286A (ja) 電子潮汐計
KR890002282Y1 (ko) 주야 및 일력표시가 되는 탁상용 시계
JPH04169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