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384Y1 - 타격용 공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타격용 공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384Y1
KR200223384Y1 KR2019990001251U KR19990001251U KR200223384Y1 KR 200223384 Y1 KR200223384 Y1 KR 200223384Y1 KR 2019990001251 U KR2019990001251 U KR 2019990001251U KR 19990001251 U KR19990001251 U KR 19990001251U KR 200223384 Y1 KR200223384 Y1 KR 200223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le
extension bar
tool assembly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324U (ko
Inventor
박근찬
Original Assignee
박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찬 filed Critical 박근찬
Priority to KR2019990001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384Y1/ko
Priority to PCT/KR1999/000598 priority patent/WO2000020177A1/en
Publication of KR20000016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8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타격부와 자루부간의 결합력을 보강하고, 자루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가 개시되었다. 상기 공구 조립체는 관통홀이 형성된 타격부, 그 상부가 상기 타격부의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자루부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루부의 상부를 상기 타격부의 타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자루부와 상기 타격부와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자루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조절장치와 상기 자루부의 내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자루부의 내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공구 조립체는 상기 자루부와 타격부 사이의 결합력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중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완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며, 소음 또한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격용 공구 조립체 {TOOL ASSEMBLY}
본 고안은 물체를 타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격부와 자루부간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자루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춘 타격용 공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격 공구, 특히 망치에 있어서는, 망치쇠와 자루와의 결합 상태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망치쇠의 구멍에 자루를 끼워 맞춘 후 선단측으로부터 쐐기를 박아 넣어서 망치쇠의 구멍과 자루 사이에 틈이 없도록 강압적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망치쇠와 자루를 결합한다 하여도 일정 기간 사용하다 보면 이들 결합 부위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 부위가 헐거워져서 망치질하기가 불편해지거나 혹은 망치쇠가 이탈하는 경우가 생겨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은 망치쇠는 금속인데 반하여 자루는 대개의 경우 나무로 되어 있어서, 못을 박거나 또는 못을 빼낼 때 받게될 외력에 의한 충격이 자루, 특히 망치쇠의 구멍 속에 끼워진 선단 부분과 망치쇠의 자루측 구멍 주위에 위치한 목부분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부분들이 찌그러들거나 혹은 갈라지는 현상이 생기고, 따라서 쐐기를 박아 넣을 당시의 결합력은 불안정해지는 것이다.
도 1a 및 1b에는 한국 실용 공고 제 91-7026호에 개시된 망치 자루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망치 자루는 망치 자루 본체(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2) 중간에 절개부(3)를 형성하여 그 속에 금속 보강쇠(4)를 개입시킨 후 리벳(5)을 사용하여 망치 자루와 결합시킨 구조이다. 상기 고안에서는, 삽입부(2)를 망치쇠(6)의 자루 삽입공(7)에 끼워 넣으면 상기 금속 보강쇠(4)가 보강 작용을 하므로 삽입부가 부러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망치 자루에서는 고정된 보강쇠가 삽입되므로 망치쇠와의 결합부가 갈라져 그 지지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망치 자루를 망치쇠로부터 분리하여 망치 자루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타격부와 자루부 간의 상호 결합력을 보강한 타격용 공구 조립체를 발명하여 특허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출원은 현재 출원번호 제98-41444호로서 심사 계류 중에 있다.
도2 및 도3에는 상기 출원인의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가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는 소정 형상의 관통홀(112)이 형성된 타격부(110), 그 상부가 상기 타격부(110)의 관통홀(112)과 상응하는 단면을 갖고 그 내부에 그 연장 방향(200)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52)가 형성된 자루부(157), 및 상기 자루부(157)의 중공부(152)에 삽입되어 이동시 상기 자루부(157)의 상부를 상기 타격부(110)의 타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자루부(157)와 상기 타격부(11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헤드(162) 및 상기 헤드부(162)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바(160)를 구비한다.
연장바(160) 하단에는 상기 연장바(160)의 위치를 잡아주고 또한, 연장바(160)를 중공부(152) 내에서 연장 방향(200)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너트(172)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자루부(157)는 나무로 제작되며, 타격부(110)의 관통홀(112)에 그 상부가 결합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자루부(157)의 상부에는 타격부(110)의 타격 방향(300)과 평행하게 하방향으로 좁아지는 Y형 절개부(156)가 형성된다. 또한, Y형 절개부(156)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자루부(157)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관통홀(159)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자루부(157)의 중공부(152)를 이룬다.
상기 연장바(160)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헤드(162)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연장바(160)가 상기 자루부(157)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Y형 절개부(156)를 통해 상기 자루부(157)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연장바(160)는 상기 관통홀(159) 내로 안내되고 상기 헤드(162)는 상기 Y형 절개부(156) 내에 안착하게 된다.
한편, 연장바(160) 하단부에는 숫나사부(164)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172)와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루부(157)의 하단부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포켓(155)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바(160) 몸체 하단의 숫나사부(164)가 상기 포켓(155) 내에 위치할 때 상기 포켓(155)을 통해 상기 숫나사부(164)에 너트(172) 및 그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한 와셔(174)가 조립된다. 헤드(162)는 그 상단이 타격부(110)의 관통홀(112) 전후벽을 지지하여 작업시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헤드(162)를 타공구를 이용하여 하방향으로 가격하면 상기 헤드(162)는 상기 Y형 절개부(156)의 양벽을 밀게 되어 결국 자루부(157) 선단의 두께를 확대시킨다. 이때는 자루부 선단(154) 및 타격부(110) 간의 결합 강도가 커진다. 한편, 너트(172)를 충분히 풀어준 후 연장바(160) 하단을 타공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가격하면 자루부(157) 내부의 연장바(160)는 상부로 이동하므로 그 헤드(162)가 상기 Y형 절개부(156) 외측으로 이탈되어 결국 자루부 선단(154)의 두께를 축소시킨다. 이때는 자루부 선단(154) 및 타격부(110) 간의 결합 강도가 약해져 자루부(157)를 타격부(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연장바(160) 하단은 테이퍼링되어 타공구로 가격될 때 그 변형이 최소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연장바(160) 하단이 변형되어 그 형상이 찌그러들면 자루부(157)와의 분리 및 재조립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는 상기 연장바(160)의 헤드(162)에 덧씌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편(도시 안됨)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금속편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160)를 따라 외삽되어 상기 헤드(162)의 하단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헤드(162)에 씌워짐으로써 상기 헤드(162)의 사이즈를 확대시키게 된다. 이는 자루부(157)의 결합부(154)가 많이 헐거워졌을 경우 상기 헤드(162)의 두께를 확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국 자루부(15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편들은 각기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하여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자루부(157)의 선단이 타격부(110)의 관통홀(112) 내로 끼워진다. 그 후, 타공구로 헤드(162)를 가격하여 연장바(160)가 자루부(157) 내에 형성된 중공부(152)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연장바(160) 하단의 숫나사부(164)가 자루부(157) 하단의 포켓(155) 내에 위치하게 되고 와셔(174) 및 너트(172)가 차례로 결합된다.
타격부(110)와 자루부(157)를 더욱 강하게 결합시켜야 하는 경우, 너트(172)를 회전시켜 연장바(160)를 더욱 자루부(157) 내로 삽입시킨다. 결국, 자루부의 결합부(154)가 확대되어 타격부(110)에 견고히 결합된다.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자루부의 선단(154)이 헐거워졌을 때는 연장바(160)를 자루부(150) 내로 삽입하기 전에 금속편을 연장바(160)의 헤드(162)에 덧씌움으로써, 헤드(162)의 두께를 확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150)는 상기 타격부(110)와 자루부(157) 간의 결합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음에 불구하고, 상기 결합 강도를 조절시키는 너트(172)가 포켓(155)내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너트(172)를 조이거나 풀 때 일반 스패너가 아닌 특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연장 바아(160)의 말단에 형성된 숫나사부(164)와 관통홀(159)의 내측벽 사이에 진동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홀(159)의 내측벽에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마모는 자루부(157)의 강도를 취약하게 하며, 심한 경우 상기 자루부(157)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타격부와 자루부간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자루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춘 타격용 공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망치 자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망치 자루가 망치쇠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공구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공구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타격부250: 공구 조립체
257: 자루부260: 연장바
262: 헤드310: 보강 부재
320: 와셔330: 세장형 너트
340: 캡344: 스크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관통홀이 형성된 타격부; 그 상부가 상기 타격부의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자루부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루부의 상부를 상기 타격부의 타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자루부와 상기 타격부와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수단; 및 상기 자루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제1 수단과 상기 자루부의 내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자루부의 내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는 Y형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Y형 절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자루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된 리세스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수단은 상기 Y형 절개부에 장착되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헤드;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리세스 내의 소정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하단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바;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바의 숫나사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바를 하향 이동시키는 세장형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단은 방진 금속으로 제작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저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조립시, 상기 연장바의 선단과 상기 보강 부재의 선단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연장바의 숫나사부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격용 공구 조립체(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4는 상기 타격용 공구 조립체(25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5는 상기 타격용 공구 조립체(25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조립체(250)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공구 조립체(150)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조립체(250)는 소정 형상의 관통홀(212)이 형성된 타격부(210) 및 그 상부가 상기 타격부(210)의 관통홀(212)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그 연장 방향(300)으로 관통하는 중공부(252)가 형성된 자루부(257)를 구비한다. 상기 자루부(257)의 중공부(252)에는 상기 자루부(257)의 상부를 상기 타격부(210)의 타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자루부(257)와 상기 타격부(210)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는 헤드(262) 및 상기 헤드(262)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바(260)가 삽입된다. 상기 연장바(260)의 하단부에는 숫나사부(2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212)은 원형, 사각형 혹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루부(257)는 나무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소정의 굴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자루부(257)는 상기 타격부(210)의 관통홀(212)에 그 상부가 결합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중공부(252)는 자루부(257)의 상부에 타격부(210)의 타격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Y형 절개부(256)와 Y형 절개부(256)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자루부(257)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관통홀(25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262)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바(260)가 상기 자루부(257)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Y형 절개부(256)를 통해 상기 자루부(257)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연장바(260)는 상기 관통홀(259) 내로 안내되고, 상기 헤드(262)는 상기 Y형 절개부(256) 내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헤드(262)는 그 상단이 타격부(210)의 관통홀(212) 전후벽을 지지하여 작업시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자루부(257)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259)과 연통된 원형 리세스(255)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255)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숫나사부(264)가 형성된 상기 연장바(260)의 말단 소정부분이 상기 관통홀(259)을 통해 상기 리세스(255) 내로 연장하며, 상기 연장된 부분은 상기 리세스(255) 내에서 세장형 너트(330)와 나사 결합된다. 결합부의 마모를 방지하고,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와셔(320)를 개재시켜 상기 세장형 너트(33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장형 너트(330)는 상기 숫나사부(264)와 나사 결합되므로써 상기 연장바(260)의 위치를 잡아주고 또한, 연장바(260)를 중공부(252) 내에서 연장 방향(30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장형 너트(330)의 길이는 상기 리세스(255)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따라서, 세장형 너트(330)의 소정 부분이 상기 리세스(255)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세장형 너트(330)를 스패너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세스(255)의 외부로 돌출되는 세장형 너트(255)의 소정 부분은 캡(340)에 결합되므로써 공구 조립체(250)의 전체적인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캡(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34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타원형 볼록부(3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340)의 내측에는 상기 세장형 너트(330)의 돌출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3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346)의 중심에는 스크류(344)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류(344)는 상기 세장형 너트(33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캡(340)을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캡(340)은 공구 조립체(25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공구 조립체(250)의 사용도중 타격부(210)와 자루(257)의 선단부(254) 사이의 결합력이 미세하게 약화될 경우 상기 결합력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260)를 미세하게 하향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타격부(210)와 자루(257)의 선단부(254) 사이의 결합력이 미세하게 약화될 경우, 상기 캡(340)을 회전시키면 캡(340)의 스크류(344)에 결합된 세장형 너트(330)가 상기 캡(340) 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연장바(260)도 하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260)가 Y형 절개부(256)를 타고 하향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254)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키므로 상기 타격부(210)와 자루(257)의 선단부(254)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력의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스패너를 사용하여 세장형 너트(33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결합력을 대폭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340)을 풀고 상기 세장형 너트(330)를 회전시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홀(259)의 내면 하부에는 작업시 상기 연장바(16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관통홀(259)의 내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310)가 장착된다. 상기 보강 부재(310)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방진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철 등과 같은 일반 철재 금속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 부재(310)는 그 내부에 삽입홀(316)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314) 및 상기 샤프트(314)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255)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원형 지지부(3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14)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259)의 내경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316)의 내경은 상기 연장바(26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시, 상기 연장바(260)는 상기 삽입홀(316)을 관통하여 연장하는데, 이때, 상기 연장바(260)의 선단과 상기 보강 부재(310)의 선단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부재(310)의 선단에는 모따기부(31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314)는 상기 관통홀(259) 내에서 상기 연장바(260)의 숫나사부(264)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타격용 공구 조립체(25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자루부(257)의 선단이 타격부(210)의 관통홀(212) 내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보강 부재(310)는 상기 리세스(255)를 통해 상기 관통홀(259)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타공구로 헤드(262)를 가격하여 연장바(260)를 자루부(257) 내에 형성된 관통홀(259)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연장바(260)의 하단에 형성된 숫나사부(264)의 소정 부분이 자루부(257) 하단의 리세스(255) 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헤드(262)는 Y형 절개부(252)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와셔(320) 및 세장형 너트(330)가 차례로 결합된다. 타격부(210)와 자루부(257)를 더욱 강하게 결합시켜야 하는 경우, 스패너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세장형 너트(330)를 회전시켜 연장바(260)를 더욱 자루부(257) 내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헤드부(262)가 하향 이동하므로 자루부(257)의 선단부(254)가 확대되어 타격부(210)에 견고히 결합된다.
상기 타격부(210)와 자루부(257)의 선단부가 적절한 결합관계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세장형 너트(330)에 캡(340)을 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작업 도중에 상기 타격부(210)와 자루부(257)의 선단부 사이의 결합력이 미세하게 약해지면 상기 캡(340)을 돌려 결합력을 조절하며, 상기 결합력의 대폭적인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캡(34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세장형 너트(330)를 조작하여 결합력을 조절한다.
또한, 작업 도중 발생하는 연장바(160)의 진동은 보강 부재(310)에 의해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강 부재(310)에 의해 숫나사부(264)와 관통홀(259)의 내벽사이의 마찰이 방지되므로 자루부(257)의 내면이 마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격용 공구 조립체(250)는 상기 연장바(260)의 헤드(262)에 덧씌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편(도시 안됨)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금속편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98-41444호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자루부(257)의 결합부(254)가 많이 헐거워졌을 경우 상기 헤드(262)의 두께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조립체는 세장형 너트의 조작이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루부와 타격부 사이의 결합력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작업중 연장바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완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며, 소음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연장바와 관통홀의 내벽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때문에 자루부의 내면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구 조립체는 미관이 유려하며, 결합력의 미세한 조절은 캡을 조작하여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타격용 공구 조립체는 망치는 물론, 도끼, 기타 나무 자루가 조립된 공구 등에 채택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5)

  1. 관통홀이 형성된 타격부;
    그 상부가 상기 타격부의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타격부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자루부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루부의 상부를 상기 타격부의 타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자루부와 상기 타격부와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수단; 및
    상기 자루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제1 수단과 상기 자루부의 내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자루부의 내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는 Y형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Y형 절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자루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된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단은 상기 Y형 절개부에 장착되는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의 헤드;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리세스 내의 소정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하단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바;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바의 숫나사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바를 하향 이동시키는 세장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너트의 길이는 상기 리세스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써 그 일부분이 상기 자루부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역사다리꼴 형상의 헤드의 두께는 하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세장형 너트의 일부분에 결합되는 캡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캡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원형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상기 세장형 너트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는 상기 너트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방진 금속으로 제작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저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조립시, 상기 연장바의 선단과 상기 보강 부재의 선단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연장바의 숫나사부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의 내경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경은 상기 연장바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의 헤드에 덧씌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편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금속편은 자루부 선단부가 많이 헐거워졌을 경우 상기 헤드의 두께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용 공구 조립체.
KR2019990001251U 1998-10-01 1999-01-29 타격용 공구 조립체 KR200223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251U KR200223384Y1 (ko) 1999-01-29 1999-01-29 타격용 공구 조립체
PCT/KR1999/000598 WO2000020177A1 (en) 1998-10-01 1999-10-01 Too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251U KR200223384Y1 (ko) 1999-01-29 1999-01-29 타격용 공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24U KR20000016324U (ko) 2000-08-25
KR200223384Y1 true KR200223384Y1 (ko) 2001-05-15

Family

ID=5475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251U KR200223384Y1 (ko) 1998-10-01 1999-01-29 타격용 공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3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429A (ko) 2020-01-18 2021-07-28 최미영 브레인 운동 헤드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24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596A (en)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front wall
US6652391B1 (en) Golf club head with variable thickness front wall
USD453949S1 (en) Iron golf club head
US20090078090A1 (en) Recoilles Hammer
WO2000043165A3 (en) Nonrecoil hammer
USD462895S1 (en) Wall anchor
US6564849B1 (en) Handle for a utility tool
US7066052B2 (en) Hammer having enhanced strength
WO2007027359A3 (en) Mining bit puller with striking pad
US6513199B1 (en) Handle of a trowel
JP200711772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223384Y1 (ko) 타격용 공구 조립체
US20080019798A1 (en) Nail with a reinforcement section
KR200223385Y1 (ko) 타격용 공구 조립체
US5992270A (en) Shock absorbing hammer
KR100289971B1 (ko) 타격용 공구 조립체
KR200415829Y1 (ko) 망치
JP4360927B2 (ja) ソケットレンチ用ハンドル
KR200398124Y1 (ko) 해머
WO2000020177A1 (en) Tool assembly
CA2254184C (en) Golf club with titanium head and plastic hosel
JP3053093U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369822Y1 (ko) 헤머와 자루의 결합구조
USD405138S (en) Golf putter head
EP0576580B1 (en) Tool handle w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