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380Y1 -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380Y1
KR200223380Y1 KR2019980025534U KR19980025534U KR200223380Y1 KR 200223380 Y1 KR200223380 Y1 KR 200223380Y1 KR 2019980025534 U KR2019980025534 U KR 2019980025534U KR 19980025534 U KR19980025534 U KR 19980025534U KR 200223380 Y1 KR200223380 Y1 KR 20022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cation
river water
blade
screen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874U (ko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경남환경주식회사
이군호
동덕철강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환경주식회사, 이군호, 동덕철강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남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5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3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80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ㄷ″자 형강과 평판으로 구성된 후레임에 일정 각도로 회동되는 블레이드를 삽설하고 블레이드가 한 번의 조작으로 회동되도록 하되 블레이드의 좌, 우측부의 일부를 절곡하고 블레이드의 표면에 고무재를 피복하여 밀폐효과를 상승시킨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를 공지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 중 조목스크린 대신에 설치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조목스크린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강우시 각종 부유물 및 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 입구까지의 공간에 각종 쓰레기 및 토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손상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본 고안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조목스크린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강우시 각종 부유물 및 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ㄷ″자 형강과 평판으로 구성된 후레임에 일정 각도로 회동되는 블레이드를 삽설하고 블레이드가 한 번의 조작으로 회동되도록 하되 블레이드의 좌, 우측부의 일부를 절곡하고 블레이드의 표면에 고무재를 피복하여 밀폐효과를 상승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역간 접촉산화법이란 자갈, 쇄석 또는 각종 여재로 충진된 접촉산화조 내에 하천수, 오수 등을 통과시켜 오염물의 침전, 흡착, 미생물에 의한 소화 등을 통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 오염된 하천수 또는 저농도(BOD 80㎎/ℓ이하)의 오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폭기 및 오니의 제거를 위하여 접촉산화조 바닥에 산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즉,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는 가정이나 공장 또는 비점오염원(Non-Point Sourse)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수를 수반하고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취수하여 침사되는 슬러지를 걸러내는 1차 저류조와, 상기 1차 저류조를 통과한 하천수 중 유기물질과 부유물질을 침전, 흡착, 생물학적 산화분해시키기 위하여 자갈,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등의 접촉재가 내재되어 있는 접촉산화조와, 상기 접촉산화조를 통과한 정화된 하천수를 취수하여 방류하는 2차 저류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촉산화조 하부에는 산기관이 설치되어 오염원의 접촉산화 및 슬러지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역간 접촉산화법에서는 1차 저류조로 하천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하천의 중간에 물막이용 둑을 만들어 놓고 있으며, 강우시 하천수가 증가하면 둑을 열어 하천수를 방류하여 하천 수질 정화 장치를 보호하고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에 있어서 하천수 유입부분은 하천수 유입구(1) 전방에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질 차단판(2), 청소용 그레이팅(3),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완전히 부유되지 않아 부유물질 차단판(2)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조목스크린(4) 및 강우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유입구 간이수문(5)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여름철의 장마 기간이나 강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물막이용 둑을 열어 하천수를 방류하더라도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내로 하천수가 유입되며, 하천수에는 각종 부유물은 물론 토사 등을 과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하천 수질 정화 장치가 손상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1차 저류조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하천수 유입구(1)의 입구 및 2차 저류조로 부터 정화된 하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출구에 공기 풍선(미도시)을 설치하여 하천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 풍선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저류조의 유입구(1) 및 배수로의 입구와 출구를 폐쇄시켜 하천 수질 정화 장치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 풍선을 설치하여 홍수시 이를 작동하므로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를 보호하거나 기타의 장치를 유입구(1)의 입구측에 설치하고, 유입구 간이수문(5)을 설치하여 홍수시 하천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으나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1) 입구까지의 공간에는 각종 부유물 뿐만 아니라 토사가 쌓이게 되어 강우 후 하천 수위가 내려가고 토사의 함유량이 낮아지게되어 하천 수질 정화 장치를 재가동하기 전에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1) 입구까지의 공간에 침전된 각종 쓰레기 및 토사를 퍼내야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조목스크린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강우시 각종 부유물 및 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 입구까지의 공간에 각종 쓰레기 및 토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손상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ㄷ″자 형강과 평판으로 구성된 후레임에 일정 각도로 회동되는 블레이드를 삽설하고 블레이드가 한 번의 조작으로 회동되도록 하되 블레이드의 좌, 우측부의 일부를 절곡하고 블레이드의 표면에 고무재를 피복하여 밀폐효과를 상승시킨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를 공지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 중 조목스크린 대신에 설치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조목스크린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강우시 각종 부유물 및 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 입구까지의 공간에 각종 쓰레기 및 토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손상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었다.
도 1은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하천수 유입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조목스크린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천수 유입구 2. 부유물질 차단판
3. 청소용 그레이팅 4. 조목스크린
5. 유입구 간이수문 10. 스크린 겸용 토사유입방지장치
11. ″ㄷ″자 형강 12. 평판
13. 블레이드 14, 14'. 절곡부
15, 15' 지지구 16. 실링재
17. 삽설공 18. 연결작동편
19. 작동부재 20. 지지판
21. 실린더 22. 실린더로드
23. 연결편 24. 중간지지대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는 공지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 중 조목스크린(4) 대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로측은 블레이드 지지구(15, 15') 삽설공(17)이 형성된 ″ㄷ″자 형강(11)으로 구성하고 세로측은 평판(12)으로 구성한 후레임에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14, 14')를 가지며 후레임에 삽설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구(15, 15')를 갖고 표면이 실링재(16)로 피복된 블레이드(13)를 삽설하고 일측단 쪽의 지지구(15)들에 연결작동핀(18)을 각각 고정연결하고 연결작동편(18)들의 일측에 작동부재(1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후, 중간지지대(24) 측단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20)상에 설치된 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22)가 연결편(23)에 의하여 작동부재(19)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측의 평판(13)에 가장 상부 및 하부의 블레이드(13)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고, 후레임의 가로 길이가 길을 경우에는 블레이드(13)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커지게되어 블레이드(13)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후레임의 가로측을 형성하는 ″ㄷ″자 형강(11) 중단에 중간 지지대(24)를 1개 이상 형성한다.
블레이드(13)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게 절곡한 절곡부(14, 14')의 절곡 각도는 블레이드(13)에 가해지는 압력, 블레이드(13)의 재질, 인접하는 블레이드(13)들이 회동시 간섭을 받는 정도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절곡된 면이 서로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레이드(13) 표면에 피복되는 실링재의 재질은 내습성, 내후성이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통상적으로는 고무재를 사용하며, 블레이드(13) 표면 전체에 피복되거나 절곡된 면에만 피복하여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는 블레이드(13)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일측단 쪽의 지지구(15)들에 연결작동핀(18)을 각각 고정연결하고 연결작동편(18)들의 일측에 작동부재(1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후, 중간지지대(24) 측단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20)상에 설치된 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22)를 연결편(23)에 의하여 작동부재(19)와 연결하여 구성하였지만 블레이드(13)를 회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특히, 블레이드(13)가 절곡됨 면이 수평으로 밀착되는 정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평판(12) 및 중간지지대(24)에 스톱퍼(미도시)를 형성하여 블레이드(13)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였다.
또한, 강우시 하천의 수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하천 수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에 자동적으로 블레이드(13)를 회동시키는 수단이 작동하도록 하는 자동시스템으로 본 고안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를 구성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우에 의하여 하천 수위가 불어나면서 각종 부유물은 물론 이물질과 토사 등이 다량으로 함유된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21)를 구동시키면 연결편(23)에 의하여 실린더로드(22)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부재(19)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작동부재(19)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작동편(18)이 회동하면서 블레이드(13)의 지지구(15)와 연결작동편(18)이 고정 연결되어 있어 블레이드(13)가 회전하여 절곡면끼리 밀착되어 하천수의 유입이 방지된다.
특히, 블레이드(13)의 절곡된 면에 포포된 고무 등과 같은 실링재(16)에 의하여 블레이드(13) 상호간의 접촉면이 완전히 밀폐되므로서 하천수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된다.
반대로 하천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블레이드(13)가 회동되어 하천수가 유입되며, 이때에는 종래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조목스크린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부유되지 않고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ㄷ″자 형강과 평판으로 구성된 후레임에 일정 각도로 회동되는 블레이드를 삽설하고 블레이드가 한 번의 조작으로 회동되도록 하되 블레이드의 좌, 우측부의 일부를 절곡하고 블레이드의 표면에 고무재를 피복하여 밀폐효과를 상승시킨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를 공지의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 중 조목스크린 대신에 설치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조목스크린의 용도로 사용되면서 강우시 각종 부유물 및 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천수가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으로 부터 유입구 입구까지의 공간에 각종 쓰레기 및 토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손상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었다.

Claims (5)

  1. 가로측은 블레이드 지지구(15, 15') 삽설공(17)이 형성된 ″ㄷ″자 형강(11)으로 구성하고 세로측은 평판(12)으로 구성한 후레임에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14, 14')를 가지며 후레임에 삽설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구(15, 15')를 갖고 표면이 실링재(16)로 피복된 블레이드(13)를 삽설하고 일측단 쪽의 지지구(15)들에 연결작동핀(18)을 각각 고정연결하고 연결작동편(18)들의 일측에 작동부재(19)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후, 중간지지대(24) 측단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20)상에 설치된 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22)가 연결편(23)에 의하여 작동부재(19)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13)는 실링재(16)로 피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실링재(13)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후레임의 가로측을 형성하는 ″ㄷ″자 형강(11) 중단에 중간 지지대(24)를 1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측의 평판(12)에 가장 상부 및 하부의 블레이드(13)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 겸용 토사 유입 방지 장치.
KR2019980025534U 1998-12-18 1998-12-18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KR20022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34U KR200223380Y1 (ko) 1998-12-18 1998-12-18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34U KR200223380Y1 (ko) 1998-12-18 1998-12-18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74U KR19990011874U (ko) 1999-03-25
KR200223380Y1 true KR200223380Y1 (ko) 2001-05-15

Family

ID=6950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34U KR200223380Y1 (ko) 1998-12-18 1998-12-18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74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WO2011078604A2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KR20050080107A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DE102012001551B4 (d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verschmutztem Niederschlagswasser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76348B1 (ko) 토사 침투 방지용 회전 갑문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200223380Y1 (ko)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
KR101147865B1 (ko) 비점오염 처리 장치
KR100596216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20210013817A (ko) 우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20080017670A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우수처리장치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101689030B1 (ko)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0068106A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200171293Y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100299334B1 (ko)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시설의 저류조 유입수로 및 배수로 개폐 시스템
KR200234791Y1 (ko) 토사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