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452Y1 -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452Y1
KR200222452Y1 KR2020000033746U KR20000033746U KR200222452Y1 KR 200222452 Y1 KR200222452 Y1 KR 200222452Y1 KR 2020000033746 U KR2020000033746 U KR 2020000033746U KR 20000033746 U KR20000033746 U KR 20000033746U KR 200222452 Y1 KR200222452 Y1 KR 200222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ad
assembly
groov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두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45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 어셈블리의 조립성 향상 및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저면이 평평하고 저면 중앙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2개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각 홈에 삽입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패드로 구성된 버튼 어셈블리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버튼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리브와, 상기 버튼의 조작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PCB와, 상기 패드의 저면과 PCB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그 압력을 PCB의 해당 단자에 전달하도록 된 택트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동전화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상기 버튼 저면의 홈에 끼움가능하도록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로 나뉘어져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의 저면에서 상기 제 1 끼움부와 제 2 끼움부의 양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상기 홈의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버튼구멍이 차지한 길이의 좌우 끝단에 위치된 구조로 되어, 이동전화기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더욱 높이며 부품비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THE INTEGRATED SIDE BUTTON STRUCTURE OF CELLULAR-PHONE}
본 고안은 이동전화기의 사이드 버튼(side button)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 어셈블리의 조립성 향상 및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전화기에 조립된 버튼 어셈블리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기(1)의 일측면에 버튼 어셈블리(11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버튼 어셈블리(110)는 이동전화기(1)의 음량조절 및 커서이동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도 2는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어셈블리(110)는 버튼(111)과 패드(112)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버튼(111)은 저면(111a)이 평평하고 중앙부에 오목한 홈(1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11b)의 넓이와 깊이에 상응하여 상단면(111c)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패드(112)는 상기 버튼(111)의 저면(111a)에 형성된 오목홈(111b)에 삽입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패드(112)가 버튼(111)에 끼워지면서 버튼 어셈블리(110)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버튼 어셈블리가 조립된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정상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3)의 일측면에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110)가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2개의 버튼구멍(1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버튼구멍(113a)의 좌우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의 케이스(113) 내면(113b)에는 리브(113c)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 버튼구멍(113a)에 끼워지는 버튼 어셈블리(110)의 하단을 지지해주는 한편, 버튼 어셈블리(110)를 눌러 기능 작동시 버튼(111)이 일정거리 이상은 하강하지 않도록 하강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버튼 어셈블리(110)는 케이스(113)의 일측면에 형성된 버튼구멍(113a)을 통해 각각 끼워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11)의 상부면이 케이스(113)면 상에 노출된다.
도 4에서는, 케이스(113)면에 형성된 버튼구멍(113a)을 통해 버튼(111)의 상부면이 케이스(113)면 상에 노출되어 있고, 이 버튼(111)의 저면(111a)에 형성된 오목홈(111b)에 패드(112)가 삽입되어 있으며, 패드(112)의 하단부는 버튼(111)의 저면(111a)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패드(112)의 저면(111a)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114)가 맞닿아 상기 패드(112)를 지지하면서 위치되어 있고, 이 택트스위치(114)의 일측면에는 각종 소자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 칭함;115)이 부착되어 있다. 이 택트스위치(114)는 사용자가 버튼(111)을 누를 경우, 패드(112)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PCB(115)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5는 종래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오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110)에서는 패드(112)의 폭이 좁기 때문에, 조립할 때 택트스위치(114)의 상단면(114a)이 미끄러져 패드(112)의 저면(112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택트스위치(114)를 장착하게 되는 오조립이 종종 발생하였고, 이러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했으므로 시간상 손실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2개의 버튼 어셈블리(110)를 각각의 버튼구멍(113a)을 통해 끼워넣은 후, 버튼(111) 하단의 양측 끝단부(111d)를 케이스(113)의 버튼구멍(113a) 좌우측에 형성된 각각의 리브(113c)에 끼워 고정해야 했으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버튼(111)은 ABS 수지를 재질로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패드(112)는 우레탄이나 러버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바, 버튼(111) 하단의 양측 끝단부(111d)를 리브(113c)에 끼워넣기 위해서는 버튼(111)의 중심부분을 구부려야 했으므로 버튼(111)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버튼(111)의 양측 끝단부(111d)를 리브(113c)에 강제로 밀어넣다 보니 리브(113c)에 휨이 발생하거나 케이스(113)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버튼(111)의 하단 끝단부(111d)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러한 파손된 부품을 교환해야 했으므로 부품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2개의 버튼 어셈블리(110)를 끼워진 케이스(113) 내에 택트스위치(114)가 결합된 PCB(115)를 조립할 시, 오조립으로 인해 택트스위치(114)가 패드(112)에 걸려서 버튼(111)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초래되기도 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개의 패드를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택트스위치가 맞닿는 패드의 저면 폭도 더 넓게 형성하여, 오조립의 비율을 저하시키고 작업효율을 개선하며 부품 파손률을 줄여 부품비를 절감한 일체형 버튼 어셈블리를 구비한 개선된 사이드 버튼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 이동전화기에 조립된 버튼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튼 어셈블리가 조립된 종래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일부 배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정상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오조립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버튼 어셈블리가 조립된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이동전화기
100,200 : 사이드 버튼 구조체
110,210 : 버튼 어셈블리
111,211 : 버튼
112,212 : 패드
113,213 : 케이스
113a,213a : 버튼구멍
113c,213c : 리브
114,215 : 택트스위치
115,214 : PCB
211d : 절개부
212a, 212b : 끼움부
212d : 걸림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이 평평하고 저면 중앙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2개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각 홈에 삽입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패드로 구성된 버튼 어셈블리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버튼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리브와, 상기 버튼의 조작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PCB와, 상기 패드의 저면과 PCB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그 압력을 PCB의 해당 단자에 전달하도록 된 택트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동전화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상기 버튼 저면의 홈에 끼움가능하도록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로 나뉘어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의 저면에서 상기 제 1 끼움부와 제 2 끼움부의 양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상기 홈의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버튼구멍이 차지한 길이의 좌우 끝단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어셈블리(210)는 버튼(211)과 패드(212)로 구성된다. 버튼(211)은 2개가 별도로 구비되는데, 각각의 버튼은 저면(211a)이 평평하고, 중앙부에 오목한 홈(211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의 상단면(211c)의 중앙부는 이 홈(211b)의 넓이와 깊이만큼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110)에서 패드(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부재로 2개가 구비되었으나, 본 고안의 패드(212)는 상기 2개의 버튼(211)에 각각 끼워지도록 제 1 끼움부(212a)와 제 2 끼움부(212b)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패드(212)의 제 1 끼움부(212a)와 제 2 끼움부(212b)는 그 하단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211)의 홈(211b)에 삽입가능하도록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패드(212)의 저면(212c)에서 제 1 끼움부(212a)와 제 2 끼움부(212b)의 양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212d)가 형성되어 있어, 패드(212)의 저면(212c)이 종래의 패드(112)의 저면(112a)보다 더 넓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패드(212)의 제 1 끼움부(212a) 및 제 2 끼움부(212b)를 버튼(211)의 홈(211b)에 삽입할 때 상기 걸림부(212d)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튼(211)의 저면(211a)에는 홈(211b)의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2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버튼 어셈블리(210)는 상기 패드(212)의 제 1 끼움부(212a) 및 제 2 끼움부(212b)가 버튼(211)의 홈(211b)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일체로 조립된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어셈블리가 조립된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기(1)의 표면을 덮고 있는 케이스(213)에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버튼 상단면(211c)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2개의 버튼구멍(2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3) 면의 두 버튼구멍(213a)이 차지한 전체길이의 좌우 끝단에 해당하는 케이스(213) 내면(213b)에는 상기 일체로 조립된 버튼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213c)가 각각 구비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버튼구멍(113a)의 좌우측에 리브(113c)가 각각 구비되었던 종래의 케이스(113)에 비해서는 리브(213c)의 수가 훨씬 줄어 부품비를 절감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3) 면의 버튼구멍(213a)을 통해 버튼(211)의 상부면(211c)이 케이스(213)면 상에 노출되어 있고, 이 버튼(211)의 오목홈(211b)에는 패드(212)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패드(212)에 형성된 걸림부(212d)가 케이스(213)의 내면(213b)에 걸쳐져 있다. 패드(212) 아래에는 상기 버튼의 조작시 음량조절 및 커서이동 등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 소자가 장착된 PCB(2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PCB(214)에는 택트스위치(215)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택트스위치(215)는 상기 버튼 어셈블리와 PCB(214)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그 압력을 PCB(214)의 해당 단자에 전달하도록 일측이 패드의 저면에 맞닿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고안의 버튼 어셈블리(2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12)의 제 1 끼움부(212a) 및 제 2 끼움부(212b)가 버튼(211)의 홈(211b)에 각각 끼워져 일체로 조립되므로 조립이 더욱 간편해졌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12)의 저면(212c)에서 제 1 끼움부(212a) 및 제 2 끼움부(212b)에 양측으로 걸림부(212d)가 형성되어 있어 택트스위치(215)와 맞닿는 부분이 더욱 넓어지므로, 사이드 버튼 구조체(200)의 조립시 오조립될 우려가 거의 없어지게 되고, 설사 오조립하였더라도 패드(212)의 저면(212c)이 보다 넓으므로 작업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 후 버튼(211)을 눌러 기능작동시 택트스위치(215)의 끝단이 패드(212)의 저면(212c)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패드는 종래의 패드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조립시 택트스위치의 상단면이 패드의 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어긋나게 장착되었던 종래의 오조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간 손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는 서로 독립된 부재로서,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조립시 각 버튼 어셈블리를 케이스에 개별적으로 고정시켜야 했으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졌던 반면, 본 고안의 버튼 어셈블리는 일체로 조립될 수 있어, 사이드 버튼 구조체의 조립시 버튼 어셈블리의 양측 2곳만 고정하면 되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버튼 어셈블리는 길이가 짧았기 때문에 리브에 삽입하는 동안 버튼이나 리브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본 고안의 버튼 어셈블리는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더 길어졌기 때문에 쉽게 구부려 리브에 삽입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품파손의 염려가 없어 부품비를 훨씬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저면이 평평하고 저면 중앙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2개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각 홈에 삽입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패드로 구성된 버튼 어셈블리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버튼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리브와, 상기 버튼의 조작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PCB와, 상기 패드의 저면과 PCB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그 압력을 PCB의 해당 단자에 전달하도록 된 택트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동전화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상기 버튼 저면의 홈에 끼움가능하도록 제 1 끼움부 및 제 2 끼움부로 나뉘어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저면에서 상기 제 1 끼움부와 제 2 끼움부의 양측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상기 홈의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버튼구멍이 차지한 길이의 좌우 끝단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KR2020000033746U 2000-12-01 2000-12-01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KR200222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46U KR200222452Y1 (ko) 2000-12-01 2000-12-01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46U KR200222452Y1 (ko) 2000-12-01 2000-12-01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52Y1 true KR200222452Y1 (ko) 2001-05-02

Family

ID=7309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46U KR200222452Y1 (ko) 2000-12-01 2000-12-01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45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09B1 (ko) * 2001-10-22 200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KR100708198B1 (ko) * 2005-12-26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택트스위치 조립체, 이를 구비한 mp3 플레이어 및,택트스위치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0927835B1 (ko) * 2002-08-02 2009-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KR100946531B1 (ko) 2003-03-06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1005696B1 (ko) 2004-06-04 201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눌림 방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09B1 (ko) * 2001-10-22 200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KR100927835B1 (ko) * 2002-08-02 2009-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KR100946531B1 (ko) 2003-03-06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1005696B1 (ko) 2004-06-04 201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눌림 방지구조
KR100708198B1 (ko) * 2005-12-26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택트스위치 조립체, 이를 구비한 mp3 플레이어 및,택트스위치 조립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452Y1 (ko) 이동전화기의 일체형 사이드 버튼 구조체
US6133536A (en) Key switch assembly
GB2260443A (en) Switch.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KR200153830Y1 (ko)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100628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JPH0635305Y2 (ja) スイツチ操作装置
CN218004678U (zh) 按压式开关
US6639164B2 (en) Switch having depressible member
KR1006316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880001062Y1 (ko) 키 스위치
KR100193142B1 (ko) 디지털 스위치
KR20010047201A (ko) 전자 시스템을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
KR101211612B1 (ko) 데코레이션키, 키어셈블리 및 이동단말기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950003013Y1 (ko) 푸시버튼장치
KR19980065324A (ko) 누름 스위치
KR19990029388U (ko) 시소버튼 오동작 방지장치
JPS58181213A (ja) 押釦キ−の取付構造
KR0135188Y1 (ko) 통신기기의 접점용 스위치 버튼장치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KR200158767Y1 (ko) 오접속 방지부가 형성된 핸드폰
KR2007001046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더블 클릭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