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34Y1 -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34Y1
KR200221934Y1 KR2020000032232U KR20000032232U KR200221934Y1 KR 200221934 Y1 KR200221934 Y1 KR 200221934Y1 KR 2020000032232 U KR2020000032232 U KR 2020000032232U KR 20000032232 U KR20000032232 U KR 20000032232U KR 200221934 Y1 KR200221934 Y1 KR 200221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ignal
wireless
wirelessl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2020000032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34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내부의 슬롯 등에 실장되어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처리부; 상기 송수신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로 전달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송수신 처리부로 전달하는 접속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 제어부를 통해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Wireless interfacing appratus for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내부의 슬롯 등에 실장되어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직원들이 근무하는 직장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프린터(Printer)에 공유시켜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공유기와 같은 유선 접속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직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컴퓨터들은 허브(Hub)라 일컬어지는 유선 접속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Network)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를 프린터나 네트워크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종래의 유선 접속 장치는 대체로 도 1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선 접속 장치는, 본체(11), 커넥터(Connector)에 의해 프린터나 네크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하나의 포트(Port)(12), 그리고 커넥터에 의해 여러 대의 컴퓨터에 연결되기 위한 포트(13 내지 18)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포트(12 내지 18)들은 병렬포트(Parallel Port)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RS-232C 포트 등으로 이루어지되, 동일 종류의 포트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선 접속 장치의 경우, 동일 종류의 포트로만 이루어져 있어 신호 체계가 다른 커넥터(Connector) 등을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통신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에서도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선 접속 장치는 유선으로만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입력 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무선 접속 장치를 별도로 컴퓨터의 외부에 부착시켜 사용하였으면, 이러한 종래의 무선 접속 장치는 외부 공간을 점유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을 주었으며, 또한 종래의 무선 접속 장치의 무선 접속 기능은 무선 마우스나 무선 키보드에 한정되어 그 사용 범위가 매우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컴퓨터 내부의 슬롯 등에 실장되어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안 시스템에서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관리하는 컴퓨터 내부에 실장되어 무선으로 입력되는 각종 보안 정보 및 사용자 명령을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에서의 유선 접속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무선 접속 장치 21: 송수신 처리부
22: 접속 제어부 23: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처리부; 상기 송수신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로 전달하고, 상기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송수신 처리부로 전달하는 접속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접속 제어부를 통해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무선 접속 장치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처리부(21)와, 송수신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로 전달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송수신 처리부(21)로 전달하는 접속 제어부(22)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 제어부(22)를 통해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3)를 구비한다.
접속 제어부(22)의 무선 접속 기능을 상기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CPU)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접속 장치(20)는 컴퓨터의 슬롯에 실장된다.
무선 접속 장치(20)는 무선 키보드나 무선 마우스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에 접속시켜 준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20)는 도난 방지를 위한 각종 보안 시스템에서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관리하는 컴퓨터 내부에 실장되며, 이러한 보안 시스템에서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명령 등을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에 입력할 경우, 무선 접속 장치(20)는 이 신호를 컴퓨터에 접속시켜 준다. 여기서, 컴퓨터는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무선 접속 장치(20)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무선 접속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기기나 무선 마우스 또는 무선 키보드 등으로부터 무선으로 신호가 전송되면, 송수신 처리부(21)는 이 신호를 접속 제어부(22)에 적합한 대역의 신호로 변환시켜 접속 제어부(22)로 전달한다. 이어서, 접속 제어부(22)는 이 신호를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등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버스로 전달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처리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때,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접속 제어부(22)로 전달한다. 이어서, 접속 제어부(28)가 이 신호를 송수신 처리부(21)로 전달하면, 송수신 처리부(21)는 이 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킨 후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는 외부의 무선기기와 접속되며, 만일 외부로부터 여러 개의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접속 제어부(22)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한다.
컴퓨터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특정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접속 제어부(22)는 이 신호를 메모리(23)에 일정 시간 저장시킨다. 이때, 접속 제어부(22)는 현재 컴퓨터 내에서 실행중인 신호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으면, 접속 제어부(22)는 메모리(23)에 저장된 신호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서 특정 신호를 처리하고 동안에, 다른 신호가 무선으로 입력되면, 접속 제어부(22)는 이 신호들을 메모리(23)에 저장시킨 후 컴퓨터 내에서의 신호 처리 종료에 따라 입력된 순으로 메모리(23)에 저장된 신호를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접속 장치는 컴퓨터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주변기기와 무선으로 접속하는 각종 무선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 접속 장치를 컴퓨터 내부의 슬롯에 실장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여 상품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고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처리부;
    상기 송수신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로 전달하고, 상기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송수신 처리부로 전달하는 접속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접속 제어부를 통해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도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에서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장치를 무선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는, 상기 지문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명령을 무선으로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장치는, 무선 마우스 및 무선 키보드와 같은 각종 무선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특정 신호를 처리하고 동안에, 다른 신호들이 입력되면, 상기 접속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들을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시키고, 상기 컴퓨터 내에서의 신호 처리 종료에 따라 입력된 순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처리부, 상기 접속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는 상기 컴퓨터의 슬롯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장치.
KR2020000032232U 2000-11-17 2000-11-17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KR200221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32U KR200221934Y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32U KR200221934Y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934Y1 true KR200221934Y1 (ko) 2001-04-16

Family

ID=7309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32U KR200221934Y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6031B2 (en) Method for switching the use of a shared set of wireless I/O devices between multiple computers
US61286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translation of a plurality of digital protocols
US55375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ultiple devices through one PCMCIA interface
US7532872B2 (en) Wireless peripheral interface with universal serial bus port
US4775928A (en) Hand-held wireless computer controller system
KR100229603B1 (ko) 적외선 송수신용 케이블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US7447823B2 (en) Data input terminal device
US5958024A (en) System having a receive data register for storing at least nine data bits of frame and status bits indicating the status of asynchronous serial receiver
AU2001249583A1 (en) Device interfaces networking a computer and an embedded device
KR19990087498A (ko) 프로세서 시스템용 단선(one-wire) 유니버설 비동기 송/수신기(uart)
US20040203415A1 (en) Wireless transmission USB hub and method
US20130346635A1 (en) Assigning Addresses To Devices On An Interconnect
US20060291491A1 (en) Wireless LAN unit
WO2001050219A8 (en) Communication protocol for serial peripheral devices
KR200221934Y1 (ko) 컴퓨터의 무선 접속 장치
JP2000222337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010005140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버스를 이용한 무선랜 모듈
KR20020073106A (ko) 스마트카드 판독기가 장착된 무선 광학 마우스
KR200221933Y1 (ko) 컴퓨터에 이용되는 유무선 접속 장치
US20060197675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ramework using an infrared module and a method thereof
US5864300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GB2053533A (en) Digit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with standard option connection
US20030083056A1 (en) Wireless receiving device and method jointly used by computer peripherals
US20120146908A1 (en) Universal serial bus mouse
KR200188090Y1 (ko) 범용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근거리통신망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