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913Y1 - 바인더 - Google Patents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913Y1
KR200221913Y1 KR2020000031628U KR20000031628U KR200221913Y1 KR 200221913 Y1 KR200221913 Y1 KR 200221913Y1 KR 2020000031628 U KR2020000031628 U KR 2020000031628U KR 20000031628 U KR20000031628 U KR 20000031628U KR 200221913 Y1 KR200221913 Y1 KR 200221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box body
lid
box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근상
Original Assignee
고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근상 filed Critical 고근상
Priority to KR202000003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913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재로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사각함체로 형성되어 노트, 책 등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평판의 가장자리 일부에 수직 격벽이 입설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수직 격벽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고, 서류를 철할 수 있는 바인더가 설치된 연결판체와; 상기 연결판체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어 상기 박스체를 덮어줄 수 있는 뚜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인더 { BINDER }
본 고안은 각종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함과 동시에 노트, 책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더(Binder)는 파일(File)이라고도 지칭되는 것으로서, 두꺼운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 판재를 접어서 내부에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인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바인더는 중앙패널(1)의 양단에 형성된 절첩선(2)을 기준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소정의 세로, 가로 길이로 형성된 상부패널(3) 및 하부패널(4)과,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패널(1)의 장착된 고정부재(5)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지철고리(6)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인더는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보관된 서류 등이 물에 젖어 훼손됨과 아울러 노트, 책 등을 넣어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함과 동시에 노트, 책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인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인더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B부, C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연결판체 32 : 고정부재
33 : 지철고리 34 : 절첩선
35 : 박스체 36 : 리브
38 : 뚜껑체 39 : 돌출부
40 : 수직격벽 40a : 끼움리브
40b : 끼움부 41 : 돌출턱
41a : 홈 41b : 장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는 평판의 가장자리 일부에 수직 격벽이 입설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수직 격벽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고, 서류를 철할 수 있는 바인더가 설치된 연결판체와; 상기 연결판체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어 상기 박스체를 덮어줄 수 있는 뚜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B부, C부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는 서류 등을 철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32)에 고정된 다수개의 지철고리(33)가 장착된 연결판체(31)와, 상기 연결판체(31)의 일측에 형성된 절첩선(34)을 기준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노트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 모양의 수직격벽(40)이 입설된 박스체(35)와, 상기 연결판체(31)의 타측에 형성된 절첩선(34)을 기준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박스체(35)를 덮어줄 수 있는 뚜껑체(38)와, 상기 박스체(35)와 뚜껑체(38)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은 상기 연결판체(31)의 폭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서 본 고안의 바인더는 접었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함체의 모양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격벽(40)은 판재로 이루어진 바,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리브(36)가 형성됨으로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뚜껑체(38)의 가장자리에 '??' 모양으로 형성된 돌출턱(41)과, 상기 돌출턱(41)의 외측에 위치한 뚜껑체(38)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대의 돌출부(3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41)은 상기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 내측면과 맞물리고, 상기 돌출부(39)는 상기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 외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41)은 상측과 하측에 상기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리브(40a)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41a)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9)와 함께 상기 뚜껑체(38)가 상기 수직격벽(4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41)은 외측면에 상기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부(40b)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홈(41b)이 형성된다.
한편, 여기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체결수단은 상자나 가방의 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는 공지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우선, 펼쳐진 바인더의 연결판체(31)에 형성된 지철고리(33)에는 펀칭된 서류 등을 철하고, 박스체(35)의 상면에는 노트나 책 등을 얹어 놓은 후에 뚜껑체(38)를 절첩선(34)을 기준으로 하여 접는다.
다음, 뚜껑체(38)의 돌출턱(41) 일부를 박스체(35)의 수직격벽(40)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한 후에 뚜껑체(38)를 눌러서 돌출턱(41)의 홈(41a)과 장홈(41b)에 수직격벽(40)의 끼움리브(40a)와 끼움부(40b)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우면 뚜껑체(38)의 다수개의 돌출부(39)가 수직격벽(40)의 외측면과 맞물리면서 박스체(35)에 뚜껑체(38)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인더 내부에 보관된 서류, 노트, 책 등은 수직격벽(40)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훼손 및 분실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인더는 체결수단과 박스체의 수직격벽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함체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서 서류를 철함과 동시에 노트, 책 등의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건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평판의 가장자리 일부에 수직격벽이 입설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수직격벽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고, 서류를 철할 수 있는 바인더가 설치된 연결판체와; 상기 연결판체의 일측에 절첩 가능토록 연결되어 상기 박스체를 덮어줄 수 있는 뚜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뚜껑체를 상기 박스체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뚜껑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체의 수직격벽 내측면과 맞물리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외측에 위치한 뚜껑체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체의 수직격벽 외측면과 맞물리는 다수개의 돌출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돌출턱은 상기 박스체의 수직격벽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리브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돌출턱은 상기 박스체의 수직격벽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KR2020000031628U 2000-11-13 2000-11-13 바인더 KR200221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28U KR200221913Y1 (ko) 2000-11-13 2000-11-13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28U KR200221913Y1 (ko) 2000-11-13 2000-11-13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913Y1 true KR200221913Y1 (ko) 2001-04-16

Family

ID=7306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628U KR200221913Y1 (ko) 2000-11-13 2000-11-13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9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9557A1 (en) * 2003-02-04 2004-08-19 Chunsoo Lee Wrapper type b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9557A1 (en) * 2003-02-04 2004-08-19 Chunsoo Lee Wrapper type bin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8857B2 (en) Wardrobe box assembly
KR200221913Y1 (ko) 바인더
US3542281A (en) Box and handle for same
US5295622A (en) Folder or the like
US5351826A (en) File box
US20030234281A1 (en) Expandable file folder
JP2010208674A (ja) 紙箱
EP0647565A1 (en) Packaging for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s consisting of one or more articles
US1935601A (en) Folding paper cedar chest
JP3052223B2 (ja) ゴミ箱
KR200322998Y1 (ko) 포장용 상자
KR0119858Y1 (ko) 박스
GB2258634A (en) Box file or wallet.
TWI805223B (zh) 工具容器
KR970003705Y1 (ko) 신축성 바인더
US11849826B2 (en) False bottom bag and insert
CN216035664U (zh) 单张可折叠板材以及收纳箱
KR20180034293A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200196408Y1 (ko) 손잡이가 부착된 화일박스
JPH09118382A (ja) 衣類ケース
KR200235392Y1 (ko) 포장용 박스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KR200339435Y1 (ko) 포장용 상자
KR200255344Y1 (ko) 문서 보관 상자
KR200339480Y1 (ko) 접힘판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