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813Y1 - 오니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오니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1813Y1 KR200221813Y1 KR2020000034647U KR20000034647U KR200221813Y1 KR 200221813 Y1 KR200221813 Y1 KR 200221813Y1 KR 2020000034647 U KR2020000034647 U KR 2020000034647U KR 20000034647 U KR20000034647 U KR 20000034647U KR 200221813 Y1 KR200221813 Y1 KR 2002218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drying
- fixed
- screen
- rot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건조로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구성된 나선이송환의 회전에 의해 건조대상물(오니)을 이송하는 한편 리프터와 충격스크린에 의해 오니를 상승낙하시켜 보다 완벽한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오니의 건조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수평구동으로 인한 기기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오니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오니건조장치는 건조로를 경사시키지 않고 수평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킴에 의하여 그 내부의 나선이송환의 회전을 유발시켜 오니를 이송함으로써 수평구동으로 인한 기기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건조로 내부에 리프터와 충격스크린을 설치하여 오니를 낙하시키는 한편 가열가스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완벽한 건조를 수행하여 오니의 악취를 제거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악취가 제거된 건조오니를 시멘트원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니의 폐기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폐하수에서 발생하는 오니를 처리하여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로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회전구동시킴에 의하여 그 내부의 나선이송환의 회전에 의해 건조대상물(오니)을 이송하는 한편 리프터와 충격스크린에 의해 오니를 상승낙하시켜 보다 완벽한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오니의 건조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수평구동으로 인한 기기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오니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하수를 정화하는 폐수처리장 및 하수처리장에서는 침전슬러지, 즉 폐하수찌거기인 오니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니는 그 자체가 오염물질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폐하수처리장에서 외부로 운반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그 처리에 많은 비용과 노고가 따르게 된다. 그래서, 오니를 재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는 데, 그 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오니를 건조시켜 시멘트원료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오니건조기로는 디스크(Disc)형이나 멀티트레이(Multi-Tray)형의 간접가열식이 보편적이었다. 이중 디스크형은 드럼내에 디스크판을 설치하고, 이 디스크판을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시켜서 디스크표면에 부착된 오니(슬러지)를 간접적으로 가열건조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멀티트레이형은 수직형 로터(Rotor)에 고온의 가스나 오일을 공급하여 슬러지를 원주방향으로 건조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간접가열식의 오니건조기는 소용량설비에 적합하여 대용량의 오니처리에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열효율이 낮을 뿐더러,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직접건조방식의 회전식 건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건조장치는 건조로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회전시킴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건조대상물(오니)이 경사면을 따라 하강이송되면서 건조되게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경사식 건조로를 회전시키는 장치들은 그 경사구조에 부합되게 설계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장치의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사상태로 구동되므로 고장이 빈번하고 수리가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또한, 슬러지는 점성을 가지므로 약간의 경사구조에 의해서는 건조된 건조대상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건조로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회전구동시킴에 의하여 그 내주벽에 형성된 나선이송환의 회전을 유발시켜 오니를 추진이송하는 한편 리프터와 충격스크린에 의해 오니를 상승낙하시킴으로써 오니의 건조력을 배가시키는 동시에 수평구동으로 인한 기기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한 오니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오니건조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오니를 건조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건조내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서 버너부근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서 파쇄로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 및 B부분 확대상세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서 충격스크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 및 부분확대상세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중 충격스크린이 건조내통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과, 그 B-B선, C-C선 및 D-D선 단면도들,
도 9는 본 고안의 오니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건조설비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건조로 102 : 예열공기유동로
104 : 원료투입구 106 : 원료배출구
108 : 배기구 110 : 내통
112 : 나선이송환 114 : 리프터
120 : 외통 122 : 고정외통부
124 : 회전외통부 130 : 연결커버
132a,132b : 버너장착구 134 : 가스안내로
136 : 커버플랜지리브 138 : 걸림턱
140 : 씰링박스 142 : 롤팩킹
144 : 지지플랜지리브 200 : 구동수단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롤러
230 : 회전륜 240 : 회전보조륜
250 : 아이들러(Idler) 300 : 지지판
400 : 가열버너 410 : 폐열유입구
500 : 파쇄로터 510 : 로터구동모터
520 : 로터축 530 : 로터판
600 : 충격스크린 610 : 스크린판
620 : 스크린축 630 : 지지봉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니건조장치는 폐하수에서 발생하는 오니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통과, 내주면에 오니를 이송하는 나선이송환 및 상기 나선이송환의 사이간격에 중심을 향해 등간격으로 돌출설치된 리프터들을 구비하고 회전하는 내통으로 구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내통내부로 오니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건조된 오니를 외부로 배출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된 건조로; 상기 건조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건조로의 배출구쪽에 고정되어 가열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내통내부로 유동시키는 가열버너; 및 상기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여 낙하된 상기 오니가 충돌되어 분쇄되는 동시에 가열가스와 오니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망체의 스크린판들을 스크린축상에 부착하고, 상기 내통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충격스크린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오니건조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오니를 건조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건조내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료오니가 운반되면서 건조되는 내통(110)과, 이 내통(110)의 외부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예열공기유동로(102)를 형성하는 외통(120)으로 구성된 건조로(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건조로(100)는 특히 원료투입구(104)가 있는 전단부의 외통부분이 고정되어 고정외통부(122)를 이루고 있으며, 그와 연결되어 후반부쪽으로 회전외통부(1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회전외통부(124)는 내통(110)과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수단(200)에 의해 회전구동되게 된다. 물론, 건조로(100)는 지지판(300)에 고정되어 있는 데, 이 지지판(300)의 상부에는 구동수단(200)이 위치하고 있다. 구동수단(200)은 구동모터(210)와, 이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220) 및, 구동롤러(220)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외통부(124)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륜(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구동롤러(220)는 회전륜(230)의 양측에 한쌍이 밀착구성되어 회전륜(230)을 회전구동시켜서 결국 회전외통부(124)와 그에 고정된 내통(110)을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내통(110)은 고정외통부(122)내로 진입된 부분이 고정외통부(122)에서 이격되어 떨어져 있으며, 회전외통부(124)내에 위치한 부분만이 그 외면부에 축선방향으로 고정된 연결판들(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외통부(124)가 회전하면 내통(110)은 전체가 회전하여 고정외통부(122)내로 진입된 부분도 그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외통부(124)에는 또한 회전륜(230)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회전보조륜(240)이 고정되어 있고, 그와 밀착되어 회전외통부(124)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아이들러(Idler)(250)가 지지판(300)상에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건조로(100)의 일단에 원료투입구(104)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반대측단에 가열버너(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버너(400)는 연결커버(130)를 개재하고 건조로(100)에 결합되며, 연결커버(130)를 통해 가열가스를 건조로(100)(특히, 내통)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물론, 이 연결커버(130)는 지지판(300)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외통부(124)와의 결합부위는 회전외통부(124)의 회전시 가열가스의 누출을 막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전술한 외통(120)과 내통(110) 사이에 형성된 예열가스유동로(10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커버(130)와의 연결부에서 내통(110)쪽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원료투입구(104) 근방에서 외통(120)내로 유입된 예열가스는 예열가스유동로(102)를 따라 연결커버(130)쪽으로 유동하면서 내통(110)을 일정온도로 예열/냉각시키는 동시에 연결커버(130)에 와서 가열버너(400)에 의해 가열되어 연결커버(130)내부로 유동하는 가열가스와 함께 내통(110)으로 유입되어 온도를 더욱더 고조시켜 원료의 건조를 가속화시키게 된다.
건조로(100)의 내통(110)내면부에는 전구간에 걸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를 배출구(106)쪽으로 추진이송시키는 나선이송환(112)이 나선형으로 투입구(104)쪽에서 배출구(106)쪽으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나선이송환(112)의 사이에는 원료를 탑재하고 회전상승하여 낙하시키는 리프터(114)들이 등간격으로 배치고정되어 있다. 이 리프터(11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입구(104)측으로 약간 하향경사지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단부가 회전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원료를 싣고 약 70~80°상승한 후 낙하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본 장치는 또한 내통(110)의 원료투입구(104)측에 투입된 원료를 분쇄하여 공급하기 위한 파쇄로터(500)를 장착하고 있다. 이 파쇄로터(500)는 건조로(100)외부에 설치된 로터구동모터(510)에 의해 그 로터축(520)이 회전구동되어, 로터축(520)상에 취부된 로터판(530)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로터판(530)들은 원료이송방향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로터축(520)에 고정되어 있는 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c에서 하기로 한다.
내통(110)의 중간부위에는 또한 충격스크린(6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충격스크린(600)은 파쇄로터(5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략 회전외통부(124)가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되며 내통(110)내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충격스크린(600)은 그 스크린판(610)들이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리프터(114)에서 낙하된 원료들이 떨어지면서 충격을 받아 잘게 분쇄되게 하는 동시에 통풍성을 좋게 하고 가열가스가 보다 원료의 많은 면적과 접촉되게 하여 건조효율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a 내지 도 8d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건조로(100)에는 가열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구(108)가 원료투입구(104) 근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건조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106)가 연결커버(130)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버너(400)에는 폐타이어를 연소시켜 얻은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폐열유입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서 버너부근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로, 도 5a는 버너연결부분을 정면에서 본 부분상세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우측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A부분확대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커버(130)에는 한쌍의 가열버너(미도시)들이 장착되는 버너장착구들(132a,132b)이 구비되어 있는 데, 이 좌우한쌍의 버너장착구들(132a,132b)에 장착되는 한쌍의 가열버너들 중 하나는 B-C오일버너이고, 다른 하나는 기화기버너이다. 이와 같이 가열버너들이 연결되는 연결커버(130)에는 그 내부로 버너의 가열가스를 안내하는 가스안내로(134)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내단부에는 하방으로 건조된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배출구(106)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그 내단부는 회전하는 건조로(100)의 단부와 연결되는 데, 이를 위해 건조로(100)의 연결부에는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씰링박스(14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로 연결커버(130)의 커버프랜지리브(Cover Frange Rib)(136)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프랜지리브(136)와 인접한 연결커버(130)의 단부에는 걸림턱(138)이 돌출하여 롤팩킹(142)이 씰링박스(14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커버(130)와 건조로(100)는 기밀을 유지하여 건조로(100)의 회전시 가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건조로(100)의 씰링박스(140)에는 건조로단에 지지플랜지리브(144)가 구성되어 연결커버(130)의 단부를 지지함에 의하여 회전시의 마찰을 감소시켜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서 파쇄로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 및 B부분 확대상세도이다.
파쇄로터(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축(520)에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고정된 로터판(530)으로 구성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축(520)에 90°간격마다 로터판(530)들이 부착되어 있어, 로터축(520)의 일지점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4개의 로터판(530)들이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때, 로터판(530)들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경사져 로터축(520)에 부착되어 있으며, 로터축(520)의 다음지점에 고정된 로터판(530a)들은 전지점의 로터판(530)들과 엇갈려 있다. 그로 인하여, 로터축(520)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각 지점에 4개씩 부착된 로터판들(530,530a,…)은 전체를 축방향으로 볼 때 흡사 스크류와 같은 구조를 띠게 된다. 따라서, 로터판들(530,530a,…)이 회전하면서 마치 스크류와 같이 투입된 원료오니를 배출구쪽으로 밀어보내면서 파쇄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서 충격스크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 및 그 부분확대상세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중 충격스크린이 건조내통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과, 그 B-B선, C-C선 및 D-D선 단면도들이다.
본 고안에서 충격스크린(600)은 리프터(114)에 의해 상승되어 낙하되는 오니를 받아 건조시키는 한편 재차 낙하시켜 분쇄하는 이중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건조대상물인 오니는 더욱 더 균일하게 분쇄되는 동시에 건조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이 충격스크린(600)은 스크린축(620)에 원주방향을 따라 90°마다 스크린판(610)들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판(610)은 스크린축(620)의 한지점에 원주방향으로 4개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축선방향으로 인접한 스크린판들(610,610a,…)이 서로 엇갈리게 스크린축(610)상에 고정되어 도 7b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8개로 보이게 된다. 또한, 이 스크린판들(610,610a,…)은 그 축선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정상에 위치한 수직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회전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오니를 낙하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축(620)상에서 회전방향으로만 선회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판들(610,610a,…)은 그물망으로 가열가스가 오니의 보다 많은 면적에 접촉하도록 유도하여 건조효율을 높이게 된다.
위와 같은 충격스크린(600)은 내통(11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해 스크린축(620)상에는 그와 수직하게 지지봉(630)들이 고정되어 그 외단부가 내통주벽에 고정됨으로써 스크린축(620)을 내통주벽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 지지봉(630)들은 스크린축(620)의 한지점에 원주방향을 따라 90°마다 4개가 고정되고 이것들이 다시 축선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스크린축(620)을 내통(110)의 중심부상에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오니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건조설비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본 장치는 원료공급시스템(10)에 의해 건조대상물인 오니가 이송되어 공급된다. 이 원료공급시스템(10)은 슬러지투입호퍼(11)로부터 투하된 오니를 수평 및 상향으로 이송하는 스크류콘베이어들(12,13)과 앵글콘베이어(14)를 통해 오니저장통(15)으로 공급하여 저장했다가 본 장치의 작동시 다시 스크류콘베이어(16)와 앵글콘베이어(17) 등에 의해 이송하여 본 장치의 원료투입구(104)로 투입되게 한다.
한편, 본 장치는 앞서도 설명했듯이 두개의 가열버너(400)들을 구비하고 있는 데, 그중 하나는 B.C오일 또는 경유를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폐타이어 기화기에서 생산된 건류가스를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설비에는 본 장치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20)이 설계되어 있다. 이 연료공급시스템(20)은 B.C오일이 저장된 B.C오일탱크(21)와 경유가 저장된 경유탱크(22)를 마련하고 있으며, 기어펌프(23)를 구비하고 이 B.C오일탱크(21)와 경유탱크(22)로부터 가열버너(400)에 해당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가열버너(400)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에서 건류가스가 그 폐열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되는 데, 이를 위해 건조설비에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건류가스를 만드는 폐열생성시스템(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폐열생성시스템(30)은 폐타이어투입호퍼(31)로부터 투입된 폐타이어를 앵글콘베이어(33)를 이용하여 2방향슈트(34)로 이송하고, 이를 다시 상기 기화기(35)로 공급하여 저온열분해시켜 건류가스를 생산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건류가스는 가열버너(400)들의 폐열유입구(410)로 유입되어 가열가스의 생산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한편, 기화기(35)에서 연소된 폐타이어의 재는 재반출콘베이어(36)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한편, 본 장치에서 사용하고 배기되는 고온가스(배기가스)는 정화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데, 정화처리시 그 열을 회수하여 예열가스를 만드는 데 이용하게 된다. 즉, 건조설비에서 정화시스템(40)은 예열가스제조기능도 겸하고 있는 데, 그것은 본 장치에서 배기된 폐고온가스가 싸이클론(41)을 거쳐 2차연소기(42)에서 연소되어 2차연소기(42)에 구비된 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신선한 공기를 가열시켜 예열공기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예열공기는 본 장치의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예열공기유동로(미도시)로 공급되어 흐르면서 건조로(100)를 예열하여 건조효율을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2차연소기(42)에서 재연소된 폐고온가스는 분진처리기(43)에서 물을 분사하여 유해한 분진이 제거된 후, 유해가스제거기(44)의 활성탄 사이를 지나면서 유해가스가 완전히 정화되어 배출팬(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건조설비에는 또한 원료배출구(106)로부터 배출된 건조오니를 필요한 곳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차량(50)에 적재하는 적재시스템(60)도 구축되어 있다. 이 적재시스템(60)은 스크류콘베이어(61)로 배출된 오니를 수평으로 이동한 후, 버킷엘리베이터(62)로 수직으로 퍼올려 사일로(Silo)(63)에 저장했다가 필요시 그 배출판(64)을 열어 차량(50)으로 적하하게 된다.
이제, 전술한 전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오니건조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료(오니)가 건조로(100)에 투입되면 구동모터(210)가 회전구동되어 회전외통부(1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그와 결합된 내통(110)이 회전하게 되고, 가열버너(400)들도 점화되어 가열가스를 내통(110)내부로 송출하게 된다. 내통(110)을 통과하며 오니를 가열건조한 가열가스는 배기되면서 2차연소기(42)에서 예열가스를 생성하여 외통(120)과 내통(110) 사이에 형성된 예열가스유동로(102)로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내통(110)을 일정온도로 예열냉각하게 된다.
한편, 원료투입구(104)를 통해 내통(110)내부로 투입된 오니는 내통(110)의 전단부에 있는 파쇄로터(500)가 회전하면서 파쇄하게 된다. 이때, 오니는 파쇄로터(500)의 로터판(530)들이 타격을 가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파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외방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이렇게 파쇄로터(500)에 의해 어느정도 파쇄된 오니는 내통(110)이 회전함에 따라 내통내부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 나선형의 나선이송환(112)을 타고 배출구(106)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나선이송환(112)에는 리프터(114)들이 내통(1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므로 그 상부에 오니들이 적재되어 내통(11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약 70~80°회전하면 리프터(114)에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오니는 충격스크린(600)상에 떨어지면서 충돌하여 더 잘게 분쇄되고, 가열가스와 접촉되어 건조되게 된다. 특히, 충격스크린(600)에는 다수의 그물망체의 스크린판(610)들이 날개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리프터(114)에서 이곳에 떨어지면서 잘게 부숴지는 동시에 가열가스가 스크린판(610)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서도 오니와 접촉되므로 오니의 건조속도를 증대시키고 건조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이 스크린판(610)들도 내통(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위에 적재된 오니를 싣고 상승하여 수직최상점에 오면 회전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젖어지면서 그에 적재된 오니를 하방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오니는 내통(110)주벽에 떨어져 분쇄되고, 그 내벽의 나선이송환(112)과 그에 등간격으로 돌출설치된 리프터(114)에 다시 실려 배출구(106)를 향해 계속 이송되면서 건조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완전히 건조된 오니는 연결커버(130)에 형성된 원료배출구(106)에 도달하여 그곳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니건조장치는 건조기를 경사시키지 않고 수평으로 설치하여 나선이송환의 회전에 의해 오니를 이송함으로써 수평구동으로 인한 기기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건조로 내부에 리프터와 충격스크린을 설치하여 오니를 낙하시키는 한편 가열가스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완벽한 건조를 수행하여 오니의 악취를 제거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건류가스를 생산하기 때문에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악취가 제거된 건조오니를 시멘트원료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니의 폐기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획득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2)
- 폐하수에서 발생하는 오니를 건조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외통과, 내주면에 오니를 이송하는 나선이송환 및 상기 나선이송환의 사이간격에 중심을 향해 등간격으로 돌출설치된 리프터들을 구비하고 회전하는 내통으로 구성되며, 일측단에 상기 내통내부로 오니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건조된 오니를 외부로 배출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된 건조로;상기 건조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상기 건조로의 배출구쪽에 고정되어 가열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내통내부로 유동시키는 가열버너; 및상기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여 낙하된 상기 오니가 충돌되어 분쇄되는 동시에 가열가스와 오니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망체의 스크린판들을 스크린축상에 부착하고, 상기 내통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충격스크린을 포함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의 내통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니를 파쇄하여 공급하는 파쇄로터와,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파쇄로터를 구동시키는 로터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고정외통부와, 상기 고정외통부와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 상기 내통을 고정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외통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상기 회전외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원료투입구쪽을 향하여 하향경사지며, 내단부가 회전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축이 지지봉들로 상기 내통주벽에 지지고정되며, 상기 스크린판은 상기 스크린축의 한지점에 원주방향을 따라 4개가 90°이격하여 고정되고 축선방향으로는 일정간격마다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로터는 상기 로터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로터축과, 상기 로터축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4개가 90°마다 등간격으로 고정되는 한편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하여 엇갈리게 배치된 로터판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와 상기 가열버너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쌍의 가열버너들이 장착되는 버너장착구들이 형성되는 한편 그 내단부에는 하방으로 건조된 원료를 배출하는 상기 원료배출구가 마련되는 연결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와 결합되는 상기 건조로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리브가 형성된 씰링박스가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로 상기 연결커버의 커버프랜지리브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프랜지리브와 인접한 상기 연결커버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돌출하여 롤팩킹이 상기 씰링박스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건류가스를 만들기 위한 폐열생성시스템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생성시스템은 폐타이어투입호퍼와, 상기 폐타이어를 저온 열분해시키는 기화기 및 상기 폐타이어투입호퍼로부터 상기 기화기로 상기 폐타이어를 이송시키는 폐타이어이송수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이송수단은 콘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647U KR200221813Y1 (ko) | 2000-12-11 | 2000-12-11 | 오니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647U KR200221813Y1 (ko) | 2000-12-11 | 2000-12-11 | 오니건조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5135A Division KR20020045742A (ko) | 2000-12-11 | 2000-12-11 | 오니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1813Y1 true KR200221813Y1 (ko) | 2001-04-16 |
Family
ID=7309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4647U KR200221813Y1 (ko) | 2000-12-11 | 2000-12-11 | 오니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181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9160B1 (ko) * | 2002-01-15 | 2005-12-27 | 조은주 | 슬럿지 건조장치 |
-
2000
- 2000-12-11 KR KR2020000034647U patent/KR20022181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9160B1 (ko) * | 2002-01-15 | 2005-12-27 | 조은주 | 슬럿지 건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100255U (zh) | 一种内置式垃圾干燥单元 | |
KR100557676B1 (ko) | 유기성 폐기물 탄화방법 및 그 장치 | |
US4066024A (en) | Rot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 |
KR100907269B1 (ko) | 원심 분리형 연속 연소장치 및 그 연소방법 | |
CA266010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oil-bearing media | |
KR20100065662A (ko) | 슬러지 건조 장치 | |
KR101046492B1 (ko) | 오니 건조 장치 | |
CN102889599A (zh) | 湿污泥焚烧炉 | |
KR20020043526A (ko) |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1237761B1 (ko) |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 |
KR100369574B1 (ko) | 고수분 폐기물 및 연료의 건조, 건류, 오일화소각장치 | |
KR101722218B1 (ko) | 고형 폐기물 처리용 이동식 열분해 장치 | |
KR20050058760A (ko) | 하·폐수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를 적용한 건조설비 | |
RU207663U1 (ru) | Мобильный модуль реактора пиролиза для комплексов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 |
KR20130011049A (ko) | 비산재 분리 및 2차 연소기능을 갖는 연속 연소장치 | |
KR200221813Y1 (ko) | 오니건조장치 | |
KR20020045742A (ko) | 오니건조장치 | |
US3827379A (en) | Rotary kiln type solid waste incinerating system and method | |
KR200280671Y1 (ko) |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 |
KR20100065656A (ko) | 슬러지 건조 장치 | |
US4889484A (en) | Portable soil decontamination kiln | |
KR100520347B1 (ko) |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 |
KR101329758B1 (ko) |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 |
CN101175580B (zh) | 用于热去除涂层和/或杂质的设备和方法 | |
CN103348206B (zh) | 加热模块、有多个加热模块的加热系统和有该系统的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21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