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812Y1 - Cd 액자 - Google Patents

Cd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812Y1
KR200221812Y1 KR2020000034636U KR20000034636U KR200221812Y1 KR 200221812 Y1 KR200221812 Y1 KR 200221812Y1 KR 2020000034636 U KR2020000034636 U KR 2020000034636U KR 20000034636 U KR20000034636 U KR 20000034636U KR 200221812 Y1 KR200221812 Y1 KR 200221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transparent case
bent
receiv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헌
Original Assignee
김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헌 filed Critical 김준헌
Priority to KR2020000034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81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CD(10)를 수납하는 원형상의 투명케이스(11);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그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된 CD(10)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원형 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관통부의 내주에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납칸(28)을 마련하고, 그 관통부가 반원상으로 분할 가능하게 분기되거나 서로 조합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몸체(21,22); 및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에 마련되어 그 제1 및 제2몸체(21,22)를 일방향으로 분기시키거나, 분기된 제1 및 제2몸체(21,22)를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꺽을 수 있게 한 힌지수단;이 구비되어 특별한 의미의 정보가 담긴 CD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CD와 차별화되게 수납할 수 있어 편리하게 CD를 찾아 재생할 수 있는 CD 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D 액자{CD frame}
본 고안은 특별한 의미의 정보를 담은 CD를 보관하는 CD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 케이스를 수납함은 물론 CD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CD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이나 졸업식을 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 앨범 또는 기념액자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기념앨범이나 액자에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는 야외촬영 사진, 본식에서 친척, 친구등과 함께 찍은 사진등이 개재된다.
한편, 최근들어 정보통신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보급이 급증되는 것과 함께, CD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즉, CD는 고용량 저장매체로서, 많은 사진과 함께 음성, 문자등은 물론 음악까지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CD를 이용하여 결혼앨범이나 졸업앨범을 제작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렇게 제작된 CD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당사자는 이 CD를 특별히 보관하고 싶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특별한 정보를 담고 있는 CD를 좀더 의미있게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 단일의 CD를 일반적인 CD 케이스에 넣어서 CD 케이스 수납구 예컨대, 다수개의 CD 케이스를 평상으로 하나씩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수납실을 층층이 적층한 구조의 서랍형 수납구 또는, CD판 만을 한 장씩 넣을 수 있도록 여러장의 수납편이 편철된 이른바 북타입(B00K-TYPE)의 수납구 또는, CD 케이스를 세로방향으로 세워 끼울 수 있는 책꽂이형 수납구에 무작위로 수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와 같은 수납구에 특별한 정보를 담고 있는 CD를 수납하게 되면, 그 CD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CD를 꺼내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여 다른 CD와 구별되게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CD 케이스를 벽에 걸어두거나, 화장대 또는 책상 등에 세워 놓고 CD의 전면에 마련된 타이틀 사진을 장식하여 시각적 효과를 자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CD 케이스를 수납함은 물론 CD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CD 액자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액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몸체의 배면케이스 및 전면케이스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힌지수단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제1 및 제2몸체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1 및 제2몸체를 일방향으로 분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및 제2몸체를 양방향으로 꺽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투명케이스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끼움부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그리고 도 11b 및 도 11c는 도 10의 덮개부가 수용부에 로킹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CD 11... 투명케이스
12... 수용부 13... 끼움부
14... 메인절곡체 15... 보조절곡체
16... 덮개부 17... 로킹부재
17a... 걸림돌기 18... 수용홈
19... 걸림홈 21... 제1몸체
21a,22a... 배면케이스 21b,22b... 전면케이스
22... 제2몸체 23... 후크
24... 걸림턱 25... 돌출구
26... 결합홈 27... 중공체
28... 수납칸 29... 자성체
31... 제1힌지구 32... 제2힌지구
33... 피봇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액자는 CD를 수납하는 원형상의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그 투명케이스 내에 수용된 CD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원형 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관통부의 내주에 투명케이스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납칸을 마련하고, 그 관통부가 반원상으로 분할 가능하게 분기되거나 서로 조합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몸체에 마련되어 그 제1 및 제2몸체를 일방향으로 분기시키거나, 분기된 제1 및 제2몸체를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꺽을 수 있게 한 힌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힌지수단으로서, 제1 및 제2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암수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는 제1 및 제2힌지구와,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몸체에 피봇결합되는 피봇축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몸체의 타측 각각에는, 제1 및 제2몸체를 조합할 때, 그들의 접촉면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돌출구와 결합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그 접촉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돌출구와 결합홈이 마련된 내측공간에 자성체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투명케이스는 CD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에 로킹되어 CD를 커버링하는 덮개부가 마련되되, 상기 끼움부는 원주 상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절곡된 다수의 메인절곡체와, 상기 메인절곡체 사이에 교번적으로 마련되며 그 메인절곡체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되어 절곡되고 그 메인절곡체의 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진 보조절곡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 및 덮개부 각각의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를 가진 로킹부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 및 덮개부 각각의 테두리 타측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그 로킹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CD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게 CD용 투명케이스를 제1 및 제2몸체에 수납하고, 그 제1 및 제2몸체를 일방향으로 분기하거나 제1 및 제2몸체를 분기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꺽어 화장대나 책상 등에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의미의 정보가 담긴 CD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보관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CD와 차별화되게 수납할 수 있어 편리하게 CD를 찾아 재생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액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액자는 CD(10)를 수납하는 원형상의 투명케이스(11)와,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그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된 CD(10)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 제1 및 제2몸체(21,22)와,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에 마련되어 그 제1 및 제2몸체(21,22)를 일방향으로 분기시키거나, 분기된 제1 및 제2몸체(21,22)를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꺽을 수 있게 한 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의 구성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명케이스(11)는 투명한 아크릴 소재 또는 그 외 투명성 가진 투명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에 특별한 의미의 정보가 담겨져 있고 전면에 그의 정보를 대표하는 타이틀 사진이 마련된 CD(10)가 수용된다. 즉, CD(10)의 타이틀 사진은, 투명케이스(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CD(10)가 무슨 정보를 담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투명케이스(11)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몸체(21,22)의 수납칸(28)에 그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지지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투명케이스(11) 내에는 타이틀 사진이 마련된 CD(10)만이 수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음반 CD나, 특별한 의미를 가진 사진 또는 원형의 시계가 수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몸체(21,22)는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그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된 CD(10)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원형 관통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관통부의 내주에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납칸(28)을 마련하고, 후술되는 힌지수단에 의해 그 관통부가 반원상으로 분할 가능하게 분기되거나 서로 조합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연 설명하면, 각각의 제1 및 제2몸체(21,22)는, 그 몸체의 조합시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직사각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또한, 그 몸체의 조합시 전술한 원형의 관통부를 이루도록 그 관통부가 반원형상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몸체에 마련된다.
아울러,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는 후술되는 힌지수단이 마련되는 배면케이스(21a,22a)와, 그 배면케이스(21a,22a)를 덮는 전면케이스(21b,22b)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몸체(21)는 그 배면케이스(21a)의 측벽에 마련된 후크(23)와 이에 대응하도록 전면케이스(21b)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24)에 의해 상호 결착되고(도 2a 참조), 상기 제2몸체(22)는 그 배면케이스(22a)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24)과 이에 대응하도록 전면케이스(22b)의 측벽에 마련된 후크(23)에 의해 상호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b 참조).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는 그 형상을 직사각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제시한 수납칸(28)은 각각의 제1 및 제2몸체(21,22) 내에 투명케이스(11)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각각 반원상으로 마련되되, 그 수납칸(28)은, 제1몸체(21)의 배면케이스(21a) 및 전면케이스(21b)가 조립될 때, 배면케이스(21a)에 마련된 도면의 a부분과 전면케이스(21b)에 마련된 도면의 b부분의 조합으로 한 쌍이 마련되고, 제2몸체(22)의 배면케이스(22a) 및 전면케이스(22b)가 조립될 때, 배면케이스(22a)에 마련된 도면의 c부분과 전면케이스(22b)에 마련된 도면의 d부분의 조합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납칸(28)은 제1 및 제2몸체(21,22)가 조합됨에 따라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를 몰입시킴으로써 그 투명케이스(1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몸체(21,22) 각각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힌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제1 및 제2몸체(21,22)의 타측에는 그 제1 및 제2몸체(21,22)를 조합할 때, 그들의 접촉면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돌출구(25)와 결합홈(2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그 접촉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돌출구(25)와 결합홈(26)이 마련된 배면케이스(21a,22a)의 내측공간에 자성체(29)가 내재되어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및 제2몸체(21,22)가 조합될 때의 접촉면, 즉 제1몸체(21)의 배면케이스(21a) 및 전면케이스(21b) 각각의 타측에 결합홈(26) 및 돌출구(25)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26)이 마련된 배면케이스(21a)의 타측에 자성체(29)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그리고, 제2몸체(22)의 배면케이스(22a) 및 전면케이스(22b) 각각의 타측에 돌출구(25) 및 결합홈(26)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구(25)가 마련된 배면케이스(22a)의 타측에 자성체(29)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부가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는 그 전면에 램프 등을 설치하여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된 CD(10)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힌지수단은 제1 및 제2몸체(21,22)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암수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는 제1 및 제2힌지구(31,32)와, 그 제1 및 제2힌지구(31,32)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몸체(21,22)에 피봇결합되는 피봇축(33)으로 구성된다. 즉, 제1 및 제2힌지구(31,32)는 제1 및 제2몸체(21,22) 각각의 배면케이스(21a,22a)의 일측에 후술되는 피봇축(33)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호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봇축(33)은 제1 및 제2몸체(21,22) 각각의 배면케이스(21a,22a)의 일측에 마련된 중공체(27)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몸체(21) 또는 제2몸체(22) 중 어느 하나는 그 제1 및 제2힌지구(31,32)의 미끄럼작용으로 힌지운동하여 일방향으로 분기되고(도 6 참조), 일방향으로 분기된 제1 및 제2몸체(21,22)는 그 각각이 피봇축(33)을 중심으로 힌지운동가능하기 때문에 소정각도 만큼 양방향으로 꺽일 수 있는 것이다(도 8 참조).
한편, 본 고안에 기재된 투명케이스(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10)가 끼워지는 끼움부(13)를 구비한 수용부(12)와, 그 수용부(12)에 로킹되어 CD(10)를 커버링하는 덮개부(16)가 마련된다. 상기 끼움부(13)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두 장의 CD를 끼울 수 있도록 수용부(1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원주 상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절곡된 다수의 메인절곡체(14)와, 메인절곡체(14) 사이에 교번적으로 마련되며 그 메인절곡체(14)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되어 절곡되고 그 메인절곡체(14)의 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진 보조절곡체(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끼움부(13)의 구성으로, 일단, 하나의 CD(10)를 끼움부(13)의 보조절곡체(15)에 끼우고, 다른 하나의 CD(10)를 메인절곡체(14)에 끼우게 되면, 각각의 메인절곡체(14)와 보조절곡체(15)는 그 높이와 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끼움부(13)로 두 장의 CD(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 및 덮개부(16) 각각의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17a)를 가진 로킹부재(17)가 돌출되어 있고, 수용부(12) 및 덮개부(16) 각각의 테두리 타측에는 로킹부재(17)를 수용하는 수용홈(18)과 그 로킹부재(17)의 걸림돌기(17a)가 걸리는 걸림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부(16)의 로킹부재(17)가 수용부(12)의 수용홈(18)에 수용됨과 동시에 수용부(12)의 로킹부재(17)가 덮개부(16)의 수용홈(18)에 수용되도록 그 덮개부(16)를 수용부(12)에 덮은 다음, 덮개부(16)를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덮개부(16)는 수용부(12)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로킹부재(17) 각각의 걸림돌기(17a)는 덮개부(16) 및 수용부(12)의 걸림홈(19)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그 덮개부(16)와 수용부(12)는 걸림돌기(17a)가 걸림홈(19)에 의해 상호 로킹된다. 반대로, CD(10)를 꺼내기 위해 덮개부(16)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부(16)를 타측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걸림돌기(17a)가 걸림홈(19)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덮개부(16)는 수용부(12)와의 로킹이 해제되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CD 액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21,22)를 조합하여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CD(10)의 타이틀 사진이 그 제1 및 제2몸체(21,22)의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벽에 걸어두거나 화장대, 책상 등에 올려 놓음으로써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몸체(2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21)에 형성된 돌출구(25)가 제2몸체(22)에 형성된 결합홈(26)에 결합되고, 제2몸체(22)에 형성된 돌출구(25)가 제1몸체(21)에 형성된 결합홈(26)에 결합되어 그들의 접촉면이 긴밀하게 접촉됨과 동시에, 그 접촉면은 자성체(29)의 자력에 의해 상호 밀착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2)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몸체(21)와 분기시킬 수도 있다. 즉, 제2몸체(22)는, 제1몸체(21) 사이의 힌지운동에 의해, 제1몸체(21)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일측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CD(10)가 수용된 투명케이스(11)는, 제1 및 제2몸체(21,22) 각각의 수납칸(28)에 그 투명케이스(11)의 반원 가장자리부분이 몰입되어 지지되고 그 CD(10)의 타이틀 사진이 노출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와 달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21,22)가 분기된 상태에서 그 제1 및 제2몸체(21,22)를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꺽이게 하여 화장대나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제1 및 제2몸체(21,22)를 꺽는다. 즉, 제1 및 제2몸체(21,22)는 피봇축(33)을 중심으로 힌지운동하여 소정각도 만큼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CD(10)가 수용된 투명케이스(11)는, 제1 및 제2몸체(21,22) 각각의 수납칸(28)에 그 투명케이스(11)의 반원 가장자리부분이 몰입되어 지지되고 그 CD(10)의 타이틀 사진이 양방향으로 노출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 액자는 CD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게 CD용 투명케이스를 제1 및 제2몸체에 수납하고, 그 제1 및 제2몸체를 일방향으로 분기하거나 제1 및 제2몸체를 분기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꺽어 화장대나 책상 등에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의미의 정보가 담긴 CD의 타이틀 사진을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보관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CD와 차별화되게 수납할 수 있어 편리하게 CD를 찾아 재생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CD(10)를 수납하는 원형상의 투명케이스(11)와,
    상기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그 투명케이스(11) 내에 수용된 CD(10)의 타이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원형 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관통부의 내주에 투명케이스(11)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수납칸(28)을 마련하고, 그 관통부가 반원상으로 분할 가능하게 분기되거나 서로 조합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몸체(21,22)와,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에 마련되어 그 제1 및 제2몸체(21,22)를 일방향으로 분기시키거나, 분기된 제1 및 제2몸체(21,22)를 양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꺽을 수 있게 한 힌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으로서, 제1 및 제2몸체(21,22)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암수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는 제1 및 제2힌지구(31,32)와,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31,32)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몸체(21,22)에 피봇결합되는 피봇축(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21) 또는 제2몸체(22) 중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힌지구(31,32)의 미끄럼작용으로 힌지운동하여 일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가 일방향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그 각각이 피봇축(33)을 중심으로 힌지운동하여 소정각도 만큼 꺽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몸체(21,22)의 타측 각각에는, 제1 및 제2몸체(21,22)를 조합할 때, 그들의 접촉면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돌출구(25)와 결합홈(2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그 접촉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돌출구(25)와 결합홈(26)이 마련된 내측공간에 자성체(29)가 내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케이스(11)는,
    CD(10)가 끼워지는 끼움부(13)를 구비한 수용부(12)와, 그 수용부(12)에 로킹되어 CD(10)를 커버링하는 덮개부(16)가 마련되되,
    상기 끼움부(13)는 원주 상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절곡된 다수의 메인절곡체(14)와,
    상기 메인절곡체(14) 사이에 교번적으로 마련되며, 그 메인절곡체(14)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되어 절곡되고, 그 메인절곡체(14)의 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진 보조절곡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 및 덮개부(16) 각각의 테두리 일측에는 걸림돌기(17a)를 가진 로킹부재(17)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2) 및 덮개부(16) 각각의 테두리 타측에는 상기 로킹부재(17)를 수용하는 수용홈(18)과 그 로킹부재(17)의 걸림돌기(17a)가 걸리는 걸림홈(1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액자.
KR2020000034636U 2000-12-11 2000-12-11 Cd 액자 KR200221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636U KR200221812Y1 (ko) 2000-12-11 2000-12-11 Cd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636U KR200221812Y1 (ko) 2000-12-11 2000-12-11 Cd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812Y1 true KR200221812Y1 (ko) 2001-04-16

Family

ID=7309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636U KR200221812Y1 (ko) 2000-12-11 2000-12-11 Cd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8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0140B2 (en) Detachable module disc and flat object storage system
US4863026A (en) Storage cases for information recording devices
US20090231233A1 (en) Digital photo album
US5474170A (en) CD holder and display array
JP2000355385A (ja) ディスクホルダ
GB2266514A (en) A container for a compact disc,a minidisk,a cassette or a compact cassette
MXPA05011682A (es) Libro con portador para disco compacto.
KR200221812Y1 (ko) Cd 액자
US20060261592A1 (en) Scrapbook organizer
US5088674A (en) Bracket for wall mounting a compact disk case
KR200202100Y1 (ko) Cd액자
US6971512B2 (en) Storage device for DVD cases
KR200196416Y1 (ko) 화일 케이스
KR200326189Y1 (ko) 독서대
JP7329821B2 (ja) 記録メディア陳列ケース
US20030150754A1 (en) Storage system
KR200298883Y1 (ko) 메모 기능이 구비된 노트형 씨디 보관첩
KR200226981Y1 (ko) Cd홀더를 구비한 앨범
KR200198599Y1 (ko) 콤팩트 디스크용 수납철
JP3004313U (ja) 記録用ディスクの収納ケース
KR200206901Y1 (ko) 휴대 및 장식용 컴팩트 디스크 보관 케이스
JP3014736U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ジャケット用ホルダー
KR200351627Y1 (ko) 앨범 속지 구조
JP4025765B2 (ja) ディスクケース、及び図書
JPH07313260A (ja) 書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