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694Y1 - Charnel case - Google Patents

Charnel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694Y1
KR200221694Y1 KR2020000034426U KR20000034426U KR200221694Y1 KR 200221694 Y1 KR200221694 Y1 KR 200221694Y1 KR 2020000034426 U KR2020000034426 U KR 2020000034426U KR 20000034426 U KR20000034426 U KR 20000034426U KR 200221694 Y1 KR200221694 Y1 KR 200221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d
ossuary
lid
engaging portion
dec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태랑
Original Assignee
서태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랑 filed Critical 서태랑
Priority to KR2020000034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6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694Y1/en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분(粉)의 부패 등을 방지하고 고인의 사진이나 기록 등을 안에 내장시켜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ssuary that can be stored in the ashes to prevent decay, etc., and to store the deceased pictures or records therein.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은, 개방된 일면에는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의 내주연에는 안착턱이 형성된 용기, 상기 안착턱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계합부를 견고하게 밀폐시키며 상면에는 내용물이 삽입되는 요부가 형성된 속뚜껑,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패킹에 의해 상기 요부에 고정되는 투명소재, 및 상기 계합부의 외주연에 상기 속뚜껑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밀착되며 수시로 개폐가 가능한 겉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ssuary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container formed with a seating jaw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n insert portion form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jaw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secure the engagement portion by fixing mean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and a predetermined surface of the inner li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transparent material fixed to the recessed portion by packing to prevent the content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d apart st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ime to time.

따라서,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납골함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고인의 사진, 이름 등을 기록한 명부, 고인을 기념하기 위한 제반 내용물을 안에 내장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시일의 경과에 따른 파손, 변질, 분실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prevents the decay of ashes, does not leak odors to the outsid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contains a list of photographs, names, etc. of the deceased and all contents to commemorate the deceas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damage, alteration, loss, etc. due to the passage of time.

Description

납골함{Charnel case}Ossuary {Charnel case}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분(粉)의 부패 등을 방지하고 고인의 사진이나 기록 등을 안에 내장시켜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ssuary,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ossuary which can be stored in the ashes, such as to prevent corruption of the deceased and to store the deceased photograph or record therein.

통상, 장례방법 중 하나인 납골장은 고인의 유골분을 납골함에 보관하여 납골당에 안치시키는 장례방법으로서, 이때 유골분을 보관하기 위한 납골함은 보편적으로 도자기로 만들어진 납골단지나 향나무 등의 목재로 만들어진 육각형 납골함 등이 사용된다.Generally, one of the funeral methods is the ossuary, which is a funeral method for storing the remains of deceased in the ossuary and placing them in the ossuary. Ossuary etc. are used.

그러나, 기존의 납골함은 외부로부터 유골분을 보존하여 습기를 차단하고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고려되지 않아, 유골분이 부패하게 되고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통상 납골당에 향을 피우는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이유에서다.However, the existing ossuary is not considered to preserve the ashes from the outside to block moisture and to prevent the smell from leak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ashes become rotten and the smells leak out, which is one of the reasons to incense the ossuary sugar. That's why.

또한, 기존 납골함은 고인의 이름을 식별하거나 기념하기 위해 그 외관에 고인의 위패를 설치하거나 명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납골당에 안치되는 납골함은 장기간의 보존이 불가피함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아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 등으로 인하여 파손, 변색, 탈색되므로 오히려 납골함의 외관을 해치고, 때에 따라서는 위패나 명부가 분실되어 납골함의 식별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ossuary is provided with a rogue's plaque or a roster on its exterior to identify or commemorate the deceased's name, but the ossuary that is placed in the ossuary is not considered for long-term preservation. Because of the damage, discoloration, discoloration, etc., rather damages the appearance of the crypt, and some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crypt is impossible due to the loss of rogue or roster.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습기 등으로부터 유골분을 보존하여 부패하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납골함 자체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납골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e box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ithout decay by preserving the ashes from external moisture and the like, and the ossuary itself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인의 이름을 식별하거나 고인을 기념하기 위한 명부 등이 파손 또는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납골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 box to identify a deceased person's name or a list for commemorating the deceased, so as not to be damaged or los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ssuar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납골함을 나타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ssuary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속뚜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lid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용기 11: 계합부10: Courage 11: Engagement

12: 안착턱 20: 겉뚜껑12: seating jaw 20: outer lid

21: 문양 30: 속뚜껑21: Glyph 30: Lid

31: 삽입부 32: 요(凹)부31: insertion part 32: yaw part

33: 손잡이 34: 대못타격홈33: handle 34: nail hitting groove

35: 대못 36: 패킹35: Nail 36: Packing

37: 투명소재37: transparent materi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은, 개방된 일면에는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의 내주연에는 안착턱이 형성된 용기, 상기 안착턱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계합부를 견고하게 밀폐시키며 상면에는 내용물이 삽입되는 요부가 형성된 속뚜껑,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패킹에 의해 상기 요부에 고정되는 투명소재, 및 상기 계합부의 외주연에 상기 속뚜껑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밀착되며 수시로 개폐가 가능한 겉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pen one sid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ating jaw, the inse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jaw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By tightly sealing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inner lid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contents,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ixed to the recess by the packing so that the contents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inner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ime to time.

상기 속뚜껑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속뚜껑이 상기 계합부에 견고하게 밀폐 고정되도록 상기 속뚜껑과 상기 안착턱을 관통하는 대못일 수 있다.The fixing means may be a nail that penetrates the inner lid and the seating jaw so that the inner lid is tightly fixed to the engagement portion.

또한, 상기 용기, 속뚜껑, 및 겉뚜껑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재는 옻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is made of wood, the wood may be lacquered.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납골함을 나타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y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ypt as shown in FIG.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은, 유골분이 보관되는 용기(10)와 속뚜껑 (30)및 겉뚜껑Ossuary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10 and the inner lid 30 and the outer lid is stored ashes powder

(20)으로 이루어져 있다.It consists of 20.

우선, 용기(10)는 일면이 개방되어 유골분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개방된 일면에는 계합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속뚜껑(30)과 겉뚜껑(20)에 의해 이중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First, the container 10 is open so that one side can hold the ashes. In particular, the engagement portion 11 is formed on one open side, and the double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inner lid 30 and the outer lid 20.

계합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에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어 속뚜껑(30)이 계합부(11) 내에 삽입될 때 안착턱(12)에 안착되어 낙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ngaging portion 11 has a seating jaw 12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when the inner lid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1, it is seated on the seating jaw 12 and falls. It is not supposed to be.

그리고, 계합부(11)의 외주연에는 겉뚜껑(20)이 밀착되어 덮힌다. 물론, 이때 계합부(11)의 외주연은 용기(10) 몸체의 외주연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겉뚜껑(20)으로 계합부(11)를 닫을 때 겉뚜껑(20)의 외주연과 용기(10) 몸체의 외주연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And the outer lid 20 of the engagement portion 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Of course,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ement portion 11 is small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10 body to close the engagement portion 11 with the outer lid 2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lid 20 and the container ( 10) It may be desirable to make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coincide.

이는, 전체적으로 모난 부위나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시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은 당연하다.This, of course, is to prevent damage from external impact by minimizing the angular or protruding parts as a whole.

또한, 겉뚜껑(20)은 속뚜껑(30)의 상면과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덮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lid 20 is configured to be cover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30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겉뚜껑(20)과 속뚜껑(3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면 고인과 관련된 사진, 기록, 위패, 기타 제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다.If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lid 20 and the inner lid 30, it may contain a photograph, a record, a plaque, and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deceased.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30) 상면에는 투명소재(37)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내용물을 별도로 내장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Of course, a transparent material 3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30, as shown in Figure 1 can be embedded separately the content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에서는 속뚜껑(30)을 계합부(11)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대못(35)은 속뚜껑의 상면에서 타격되고 속뚜껑을 관통하여 안착턱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id 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firmly to the engaging portion (11). At this time, the nail 35 is preferably hit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to penetrate the inner lid to the seating jaw.

대못은 납골함의 재질이 목재일 때 외관을 해치지 않고 녹슬지 않는 대나무 재질로 하여 속뚜껑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ix the inner lid of the nail with a bamboo material that does not harm the appearance and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when the material of the ossuary is wood.

미설명부호 21은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문양이고, 33은 경우에 따라 속뚜껑(30)을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이다.Reference numeral 21 is a pattern for decorating the appearance, 33 is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so as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inner lid 30 in some cases.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속뚜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lid shown in FIG.

이어, 속뚜껑(3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속뚜껑(30)의 상면에는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속뚜껑Subsequently,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ner lid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30 has a recess 32 formed therein so that contents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inner lid 30 has a lower lid.

(30)이 전술한 용기(10)의 계합부(11)에 보다 견고하게 밀폐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부(31)가 형성되어 있다.The insertion part 31 is formed so that the 30 may be firmly sealed to the engaging part 11 of the container 10 mentioned above.

즉, 삽입부(31) 외주연과 안착턱(12)의 내주연은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하여 용기That is,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insertion portion 31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seating jaw 12 is configured to substantially match the container

(10)에 보관되는 유골분을 외부의 습기 등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고,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shes stored in (10) can be blocked from external moisture and the like, and odo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결국, 속뚜껑(30)에는 삽입부(31)가 형성됨으로써 이중의 밀폐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inner lid 30 is formed by the insertion portion 31 will have a double sealed structure.

그리고, 속뚜껑(30)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32)는 투명소재(37)가 패킹(36)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요부(32)와 투명소재(37) 사이에 고인의 사진이나 이름, 기록 기타의 내용물이 삽입되어, 삽입되는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상 깔끔하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한다.And, in the recess 3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30, the transparent material 37 is fixed by the packing 36. This inserts the contents of the deceased's photograph, name, record, etc., between the recess 32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37 so that the inserted contents do not depart and at the same time look neat and beautiful in appearance.

투명소재(37)는, 요부(32)와 투명소재(37) 사이에 삽입되는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면 된다. 예컨대, 투명소재(37)는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중량이 가벼운 아크릴 등이 채택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material 37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ntents inserted between the recess 32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37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transparent material 37 is not easily damaged by impact, light weight, such as acrylic may be adopted.

패킹(36)은, 속뚜껑(30)의 재질과 투명소재(37)의 재질이 단단하면 투명소재(37)가 속뚜껑(30)의 요부(32)에 견고히 고정되기 어려우므로 이를 고려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탄성 내지는 연성이 있는 고무 등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packing 36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parent material 37 is hard to be firmly fixed to the recess 32 of the inner lid 30, if the material of the inner lid 30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37 is hard. As such, elastic or soft rubber or the like will be possible.

물론, 패킹(36)은 투명소재(37)를 속뚜껑(30)의 요부(3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패킹(36)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이다.Of course, the packing 36 is possible if the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transparent material 37 to the recess 32 of the inner lid 30, the structure of the packing 36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merely exemplary. .

그리고, 속뚜껑(30)에는 속뚜껑(30)이 영구적으로 계합부(11)에 삽입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대못이 삽입되는 대못타격홈(3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lid 30 may be formed with a hammer strike groove 34 into which the nail is inserted so that the inner lid 30 may be permanently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portion 11 and sealed.

물론, 대못타격홈(34)은 대못(35)이 타격될 때 형성될 수도 있고, 대못(35)이 타격되기 전에 미리 형성시켜 대못(35)의 손상을 막을 수도 있으므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대못타격홈(34)은 단지 예시적이다.Of course, the nail hitting groove 34 may be formed when the nail 35 is hit, or may be formed before the nail 35 is hit in advance to prevent damage to the nail 35, so the nail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iking groove 34 is merely exemplary.

본 고안에 있어서 납골함은 용기(10), 속뚜껑(30), 및 겉뚜껑(20)의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지고 그 목재는 옻칠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suary is made of wood of the container 10, the inner lid 30, and the outer lid 20, and the wood is preferably lacquered.

이때, 목재는 유골분의 보존과 납골함의 영구적 사용을 고려하여 은행나무, 참나무, 오동나무, 자작나무 등을 선별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ber may selectively adopt ginkgo, oak, paulownia, birch, etc. in consideration of preservation of ashes and permanent use of ossuary.

그리고, 옻칠은 옻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도료로 사용하는 전통적인 도포방법으로서Lacquer is a traditional coating method that collects lacquer sap and uses it as paint.

납골함의 재질이 목재로 채택되고 그 목재에 옻칠이 되면 납골함의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천연도료인 옻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material of the ossuary is adopted as wood and the wood is lacquered, the weight of the ossuary is not only light but also the natural lacquer is obtained.

본 고안에 있어서 옻칠은 유골분의 부패, 냄새의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납골함의 기본적인 구조에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Lacqu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can double the effect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ossuary box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the ashes, the outflow of smell.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함의 이중 밀폐구조로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sealed structure of the ossuary box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the ashe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mell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그리고, 납골함의 전체 표면이 옻칠됨에 따라 방수성, 방부성, 내열성이 높고 내구성이 높아지며 외부의 열이나 화학물질에도 변화가 없으므로 유골분을 부패하지 않도록 보존함과 동시에 납골함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entire surface of the ossuary is lacquered, waterproofness, antiseptic,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are high, and there is no change in external heat or chemicals, so that the ashes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hile preserving the ashes from corruption. .

또한, 고인의 사진, 이름 등을 기록한 명부, 고인을 기념하기 위한 제반 내용물을 안에 내장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시일의 경과에 따른 파손, 변질, 분실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damage, alteration, loss, etc. due to external impact or the seal by incorporating a list of the deceased's photographs, names, and the like to commemorate the deceased.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로 드러내고 싶지 않은 내용물을 보관하려 할 때 유용할 수도 있고, 불의의 사태로 인하여 납골함 외곽이 파손되거나 다수의 납골함이 섞이더라도 고인의 기록 등이 적힌 내용물은 절대 보존할 수 있으므로 유골분의 식별이 용이하다.In some cases, it may be useful when you want to keep contents that you do not want to reveal to the outside. Easy identification of minutes.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will be.

Claims (4)

개방된 일면에는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부의 내주연에는 안착턱이 형성된 용기;A container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one open surface, and a seating jaw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gaging portion; 상기 안착턱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삽입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계합부를 견고하게 밀폐시키며, 상면에는 내용물이 삽입되는 요부가 형성된 속뚜껑;An inner lid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jaw to tightly seal the engaging portion by a fixing means, and an inner lid having a recessed portion in which contents are inserted;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패킹에 의해 상기 요부에 고정되는 투명소재; 및A transparent material fixed to the recess by packing so that contents inserted into the recess are not separated; And 상기 계합부의 외주연에 상기 속뚜껑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밀착되며 수시로 개폐가 가능한 겉뚜껑;An outer lid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gagemen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ny tim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Ossua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속뚜껑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납골함.The ossuary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수단은,The fixing means, 상기 속뚜껑이 상기 계합부에 견고하게 밀폐 고정되도록 상기 속뚜껑과 상기 안착턱을 관통하는 대못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납골함.Said inner lid is crypts, characterized in that the nail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lid and the seating jaw so as to be tightly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 속뚜껑, 및 겉뚜껑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재는 옻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납골함.The container,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is made of wood, the timber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od lacquer.
KR2020000034426U 2000-12-08 2000-12-08 Charnel case KR2002216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26U KR200221694Y1 (en) 2000-12-08 2000-12-08 Charnel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26U KR200221694Y1 (en) 2000-12-08 2000-12-08 Charnel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694Y1 true KR200221694Y1 (en) 2001-04-16

Family

ID=7308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26U KR200221694Y1 (en) 2000-12-08 2000-12-08 Charnel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69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43A (en) * 2002-06-01 2003-12-06 서만철 Time capsule
KR20040021491A (en) * 2002-09-04 2004-03-10 남도금형(주) Food storage container with lacquer
KR100890012B1 (en) * 2007-02-13 2009-03-25 정종윤 Cinerary urn made of bark of white bir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43A (en) * 2002-06-01 2003-12-06 서만철 Time capsule
KR20040021491A (en) * 2002-09-04 2004-03-10 남도금형(주) Food storage container with lacquer
KR100890012B1 (en) * 2007-02-13 2009-03-25 정종윤 Cinerary urn made of bark of white bir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677A (en) Environmentally safe and economical burial casket
KR200221694Y1 (en) Charnel case
KR101255949B1 (en) The Ashes Box of Vacuum Stracture for Prevention of Ashes Rottenness
KR101215544B1 (en) A Cinerary urn
KR20100119411A (en) Airtight type ashes to rest storage box charnel house of all
KR200433881Y1 (en) The urn for natural burials
KR200404241Y1 (en) An Ashes Pot
KR101844504B1 (en) Charnel box
KR200421061Y1 (en) a ash case
KR200231795Y1 (en) Vacuum charnel container
KR200281069Y1 (en) The remains of the dead box with double well contain anti-dew drops
KR200380182Y1 (en) A skeletal remains pot
KR100778556B1 (en) Cinerary urn and burying method using that
KR200389574Y1 (en) An airtight structure of person's ashes
US20240093526A1 (en) Decorative Container Device
KR200198733Y1 (en) A urn
KR20120000906U (en) Airtightness Structure Of OAshes Storage
KR100777247B1 (en) box for keeping bone-dust and bone
KR100916018B1 (en) Ashes urn
KR19990007233U (en) Bonus
KR100768910B1 (en) Capsulated frame burying without making amound on the grave
KR200398685Y1 (en) a ceramics funeral urn that is easy to exchange the thing removing a moisture
KR200315385Y1 (en) Egg Vacuum Urinal
JP3157577U (en) Goods storage container
KR200411794Y1 (en) A charnel box making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1228

Effective date: 200212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