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233U - Bonus - Google Patents

Bon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233U
KR19990007233U KR2019970020751U KR19970020751U KR19990007233U KR 19990007233 U KR19990007233 U KR 19990007233U KR 2019970020751 U KR2019970020751 U KR 2019970020751U KR 19970020751 U KR19970020751 U KR 19970020751U KR 19990007233 U KR19990007233 U KR 199900072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enclosure
bonus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7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광호
Original Assignee
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호 filed Critical 강광호
Priority to KR2019970020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233U/en
Publication of KR19990007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233U/en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함체(10)와 덮개(20)로 된 통상의 유골함에 있어서, 함체(10)의 외측면(12) 소정위치에는 상여와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부조로 조각된 창(13)을 형성하고, 함체(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생화를 꽂을 수 있는 고리(14)와 운반시 손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5)를 부착하며, 덮개(20)는 지붕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부에 개방용 손잡이(22)를 부착한 것인바, 본 고안에 의하면 유골함이 꽃가마나 상여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꽃장식을 할 수 있으므로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상여를 타고 저승길로 보내는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장례풍습에 잘 부합되도록 하고, 유골의 보존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납골당에서 별도의 납골단지를 사용하지 않고 유골함 그대로 안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rmal ashes made of the enclosure 10 and the cover 20, the window 13 carved by the relief to create an atmosphere like a bonus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12 of the enclosure 10 It is formed,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is attached to the hook 14 to insert the flowers and the handle 15 so as to hold hands during transport, the cover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of on the 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hes are shaped like a flower kiln or bonus and can be decorated with flowers. By making it fit well and keeping the remains of the ashes for a long time, the ossuary can be placed in the ashes without using a separate ossuary complex.

Description

상여유골함Bonus

본 고안은 상여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유골함이 꽃가마나 상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목으로 제작되어 우리민족의 장례풍습에도 잘 부합되도록 하고 유골함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유골의 보존상태를 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유골함자체에 생화로 꽃장식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shes of the ashes, and the ashes are made in the shape of flower kilns or bonuses and are made of solid wood so that they can meet the funeral customs of our nation and improve the sealability of the ashes to maintain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ashes semi-permanently. It is designed to be decorated with flowers on the ashes itself.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죽음을 당했을 때 저승으로 가는 길은 너무도 멀고 험하다고 생각하여 꽃가마를 타고 가라는 뜻에서 상여를 사용하여 시신을 장지까지 운구하는 장례풍습을 갖고 있었다.Since ancient times, when people were killed, they thought that the road to the afterlife was too far and steep, and they had funeral customs that used the bonus to drive the body to the middle finger in order to go on a flower kiln.

한편, 전통종교인 불교문화에서도 시신을 화장하는 전통이 있었지만, 이는 극히 한정된 일부계층에만 국한되었고, 일반에게 대중화되지는 못하였었다.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tradition of cremation in Buddhist culture, a traditional religion, but it was limited to only a limited class and was not popularized to the general public.

또, 개화기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외래종교의 도입과 매장풍습이 야기하게 되는 현실적인 문제의 대두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통적인 장례풍습인 매장대신 화장제도가 대중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며, 국토가 인구에 비하여 터무니없이 좁은 우리나라의 실정에도 화장제도가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religions and burial customs has been gradually introduced since the flowering period, the cremation system has been populariz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burial customs, and the land is ridiculously narrow compared to the population. The makeup system is actively encouraged in Korea.

도 1은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담는 종래의 유골함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오동나무 등을 상자형태로 짠 함체(1)와, 이 함체(1) 상부에 씌우는 덮개(2)로 이루어진 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유골함은 화장을 마친 유골을 분쇄하여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외에는 어떠한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것이었으므로 우리민족의 정서에 잘 부합되지 아니하여 화장제도 자체를 꺼려하게 되는 일 요인이 되었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ash box containing the ashes after cremating the body, which is an extremely simple consisting of a box (1) woven box of paulownia wood, and a cover (2)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box (1) It was composed of a structure, and this remains of the traditional ashes could not be given any meaning other than the simple function of crushing and storing the finished ashes, so that the makeup system itself was not reluctant to meet the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It became a factor.

또, 종래의 유골함은 손잡이가 없어 반드시 함 보자기로 싸서 상주의 목에 걸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함보자기는 유골함 자체가 지니고 있는 초라함을 감추기 위한 것으로 보이게 되어 유족이나 기타 장례식 참가자들로 하여금 더욱 초라하고 비통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traditional ashes had no handle and had to be wrapped around the neck of the resident and had to hang on the neck of the resident. The hamboza seemed to conceal the shabby that the ashes themselves had. It was to feel poor and bitter.

또한, 종래의 유골함은 얇은 오동나무판으로 짜여져 있어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정의 장소에 임시로 안치하거나 납골당에 보관할 경우 유골의 신성함을 보존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ashes in the related art are woven with a thin paulownia board, which not only degrades durability, but also have an unsuitable problem of preserving the sacredness of the ashes when temporarily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or stored in the ossuary.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망자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상여를 태워 저승으로 보내는 우리민족의 장례풍습에도 잘 부합됨과 동시에 유골함의 외형을 고인에 대한 추모념의 향상 및 유족과 주위사람들에게 측은함이나 거부감 또는 공포감을 불러 일으키지 않도록 개량시키는데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suited to the funeral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who send bonuses to the underworld to commemorate the souls of the dead. It is to improve the memorial and to improve the feelings of remorse, rejection, or fear for the bereaved and those around them.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골함내에 유골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변함이 없도록 하므로써 유골의 신성함을 장기간 보전하고 이를 납골당이나 기타 안치소에 영구적으로 안치하는데도 지장이 없는 유골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shes that do not interfere even if the ashes are kept in the ashes for a long time to preserve the sacredness of the ashes for a long time and permanently settle them in the ossuary or other shelt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함체와 덮개로 된 통상의 유골함에 있어서, 함체의 외측면 소정위치에는 상여 또는 꽃가마와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부조로 조각된 창을 형성하고, 함체의 외측면 둘레에는 생화를 꽂을 수 있는 고리를 부착하여 이에 생화를 꽂으므로써 유골함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함체의 외측면에는 운반시 손을 잡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손잡이를 부착하며, 덮개는 지붕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부에 개방용 손잡이를 부착하여서 된 유골함을 제공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ual ashes of the enclosure and the cover,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to form a window carved by relief to give an atmosphere such as bonus or flower kiln, The outer circumference is attached to the hook to insert the flowers, so that the ashes can be decorated by inserting the flower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andles to hold the hand while carrying the cover. Formed to form the ashes were made by attaching a handle for opening on top.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골이 습기나 기타 외부의 자연력에 의하여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성을 향상시켜 유골의 보존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통나무 원목으로 된 유골함을 제공한 것으로, 덮개의 하부에는 함체에 끼워지는 삽입턱을 돌출형성시키되, 이 삽입턱의 둘레에는 고무재 등으로 된 밀폐용 패킹을 끼우므로써 밀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ash box made of log wood to maintain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the ashes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ies to prevent the ashes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moisture or other natural forces, cover The lower part of the projection jaw to be inserted into the enclosure is formed, but by inserting a sealing packing made of rubber or the like around the insertion jaw to improve the sealing effec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유골함의 예시도,1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ash box,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유골함의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nus bo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유골함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us bo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유골함의 결합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us bo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함체12:외측면10: enclosure 12: outer side

12a:측면판12b:요철결합부12a: side plate 12b: uneven coupling portion

12c:하면판12d:손잡이12c: Bottom plate 12d: Handle

13:창 14:고리13: Genesis 14: Ring

14a:끼움부15:손잡이14a: fitting 15: handle

20:덮개22:손잡이20: cover 22: handle

24:삽입턱26:패킹24: inserting jaw 26: packing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상여유골함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함체(10)와 덮개(20)로 된 통상의 유골함에 있어서, 함체(10)의 외측면(12) 소정위치에는 상여와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부조로 조각된 소정형상을 갖는 창(13)을 형성하고, 함체(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생화를 꽂을 수 있는 고리(14)를 부착하며, 함체(10)의 양 외측면(12)에는 운반시 손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5)를 부착하고, 덮개(20)는 지붕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부에 개방용 손잡이(22)를 부착한 특징을 갖는다.2 to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bonded state of the bonus ashe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normal ashes made of the enclosure 10 and the cover 20,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12 of the (10) to form a window 1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arved by relief so as to give an atmosphere like a bonus, a flower can be insert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Attached to the ring 14, the outer surface 12 of the housing 10 is attached to the handle 15 so as to hold hands during transport, the cover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of for opening on the top The handle 22 is attached.

상기 함체(10)는 외측면(12)를 이루는 4개의 측면판(12a)을 상호 도브테일식으로 짜맞추어 결합시킬 수 있도록 양측부에 요철결합부(12b)를 형성시키고, 하면판(12c)을 상기 측면판(12a) 하부에 끼운 상태에서 측면판(12a)의 하부에 접착제나 못 등을 박아 결합시키며, 이 하면판(12c)의 하부 양측에 상여에서와 같은 형상의 손잡이(12d)를 부착시킨다.The enclosure 10 forms the concave-convex coupling portion 12b on both sides so that the four side plates 12a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12 can be joined together in a dovetail manner, and the lower plate 12c is form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12a) by attaching an adhesive or nai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late (12a), and attaching the handle (12d) of the same shape as the bonus on the lower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2c) Let's do it.

상기 함체(10)의 외측면(12)에 형성되는 창(13)은 꽃가마 또는 상여에 형성된 창과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는 양 측면판(12a)의 중간부에 각각 부조형으로 조각하여 형성한다.The window 1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2 of the enclosure 10 is intended to give the same atmosphere as the window formed in the kiln or bonuses, which are each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both side plates 12a Carved and formed.

상기 고리(14)는 국화 등의 각종 생화로 유골함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띠형으로 형성하고 일정간격으로 끼움부(14a)를 형성한 것이며, 이는 외측면(12)에 접착제 또는 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고, 측면판(12a)의 여백에는 꽃이나 기타 장식을 위한 모양을 새기거나 인쇄한다.The ring 14 is to be able to decorate the ashes by various flowers such as chrysanthemum, it is formed in a belt shape of wood or synthetic resin and formed the fitting portion 14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ch is an adhesive on the outer surface 12 Or it can be attached to the fixing means, such as nails, in the margin of the side plate (12a) is carved or printed shapes for flowers or other decorations.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유골함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유골의 보존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통나무 원목으로 제작한 것으로, 덮개(20)의 하부에는 함체(10)에 끼워지는 삽입턱(24)을 돌출형성시키되, 이 삽입턱(24)의 둘레에는 고무재 등으로 된 밀폐용 패킹(26)을 끼우므로써 함체(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방충 방수 및 밀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a log wood to maintain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the ashes by improving the sealability of the a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20 Protruding the insertion jaw (24) to be fitted to the (10), but by inserting a sealing packing 26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around the insertion jaw (24) waterproofing insect repellen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enclosure (10) And to improve the sealing effect.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목을 깍아 제작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창(13)과 고리(14) 및 손잡이(15)를 별도로 제작하여 붙이거나 자체에 조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함체(10) 및 덮개(20)의 외면에 국화모양이나 기타 여러가지 모양을 조각하므로써 유골함의 미관을 향상시킨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utting the woo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indow 13 and the ring 14 and the handle 15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pasted or manipulated in itself. It can be formed by, by carving the chrysanthemum shape or other various shap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she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여유골함은 함체(10) 자체에 손잡이(15)가 부착되어 종전과 같이 보자기로 싸서 운반하지 않아도 되며, 유골함의 외측면(12)에는 상여 또는 꽃가마에서와 같은 창(13)이 부조되어 있으므로 유골함의 외관이 미려하게 됨과 동시에 함체(10) 자체에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고리(14)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보는 이로 하여금 유골함이 초라하거나 으시시한 느낌을 불러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bonus ash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ve a handle 15 attached to the enclosure 10 itself so that they do not need to be wrapped in a furoshiki as before, and the outer surface 12 of the ashes is a window like a bonus or a kiln ( 13) is a relief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ashes are beautiful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14 is attached to decorate the flower body 10 itself, so that the viewer does not cause the shabby or spooky feeling. .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골함을 통나무 원목으로 제작하고, 덮개(20)의 삽입턱(24)에 패킹(26)을 끼우므로써 유골함내부의 밀폐상태가 오래 유지되어 유골의 자연적인 보존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납골단지 등을 따라 장만하지 않고 유골함자체를 납골당이나 기타 안치소에 안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h box is made of log wood, and the packing 2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jaw 24 of the cover 20 to maintain the sealed state inside the ash box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keep it for a long time, so that the ashes itself can be placed in the ossuary or other shelter without having to follow a separate ossuary complex.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골함이 꽃가마나 상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우리민족의 장례풍습에도 잘 부합됨과 동시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함보자기에 쌀 필요도 없이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며, 유골함자체에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고인에 대한 추모념의 향상 및 유족과 주위사람들에게 초라함이나 거부감 또는 공포감을 불러 일으키지 않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form of a flower kiln or bonus, so that it fits well in the funeral customs of our people and is attached to a handle, so it can be easily carried without needing to separate the porcelain box. It can be decorated with flowers, which has useful effects such as improving the remembrance of the deceased and causing no shame, rejection or fear for the bereaved and the people around them.

Claims (2)

함체(10)과 덮개(20)로 된 통상의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외측면(12) 소정위치에는 상여와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부조로 조각된 창(13)을 형성하고, 함체(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생화를 꽂을 수 있는 고리(14)를 부착하며, 함체(10)의 외측면(12)에는 운반시 손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5)를 부착하고, 덮개(20)는 지붕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여 유골함.In the ordinary ash box consisting of the enclosure 10 and the lid 20, a window 13 carved into the reliefs to form an atmosphere like a bonu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12 of the enclosure 10,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is attached to the hook 14 to insert the flowers, the outer surface 12 of the enclosure 10 is attached to the handle 15 to hold the hand during transport, cover 20 is a bonus ash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oof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와 덮개(20)를 통나무 원목으로 제작하되, 상기 덮개(20)의 하부에는 함체(10)에 끼워지는 삽입턱(24)을 돌출형성시키고, 이 삽입턱(24)의 둘레에는 고무재 등으로 된 밀폐용 패킹(26)을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여유골함.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is made of solid woo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20 protrudes to form an insertion jaw 24 fitted to the housing 10, the insertion The chin 24 has a bonus b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acking 26 made of rubber or the like sandwiched.
KR2019970020751U 1997-07-31 1997-07-31 Bonus KR1999000723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51U KR19990007233U (en) 1997-07-31 1997-07-31 Bon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51U KR19990007233U (en) 1997-07-31 1997-07-31 Bon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233U true KR19990007233U (en) 1999-02-25

Family

ID=6967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751U KR19990007233U (en) 1997-07-31 1997-07-31 Bon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23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US6076292A (en)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US8286314B1 (en) Cremation remains system for memorializing a decedent
USD432285S (en) Cremation urn vault
KR19990007233U (en) Bonus
CA2398512A1 (en) Cremation remains container
KR101162921B1 (en) Cinerary urn having adiabatic sealing structure by double wall of stainless steel
KR200384453Y1 (en) A sarira casket
USD491334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USD497233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KR200356988Y1 (en) Cinerary box for husband and wife bury
KR200155102Y1 (en) Bier
USD497235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USD490959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USD497234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USD491710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JP2006068235A (en) Buddhist altar and buddhist memorial tablet for funeral with plants
KR200281069Y1 (en) The remains of the dead box with double well contain anti-dew drops
KR200325773Y1 (en) Envelope for remains
CN201154054Y (en) Crematory urn capable of permanent preservation of departed hair
KR200347823Y1 (en) Metal stele having a receiving case.
KR200229918Y1 (en) a cinerary urn
JP3160630U (en) Decoration
KR200350367Y1 (en) A raised floor for urn
KR200325798Y1 (en) Ashes and ashes powder bag for inu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