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667Y1 -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667Y1
KR200221667Y1 KR2020000033183U KR20000033183U KR200221667Y1 KR 200221667 Y1 KR200221667 Y1 KR 200221667Y1 KR 2020000033183 U KR2020000033183 U KR 2020000033183U KR 20000033183 U KR20000033183 U KR 20000033183U KR 200221667 Y1 KR200221667 Y1 KR 200221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e member
discharge
hol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2000003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667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유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주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실린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의 실질적인 중앙에 구멍이 마련된 몸체; 및 용기의 압력변화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인입홈에 위치된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멍을 기준으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용기에 저장된 점액성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속이 빈 배출경로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상단 부근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부를 가진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A cap for storing sticky liquid}
본 고안은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각종 샴푸, 린스, 로션, 식용유 등과 같은 점액성 액체가 수용된 저장용기에 체결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단에 마련된 유출구와, 유출구를 덮을 수 있도록 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출구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와 마개 본체에 결합되어 마개 본체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드(lid)를 구비하는 2중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2중 구조에 의한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드를 마개로부터 개방시켜야 하므로 양손을 다 사용해야 하는 것과 같은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액체저장용기는 삼푸 등을 사용하고 난 후, 용기의 입구 주위에 내용물이 항상 남아 있으므로 그 내용물이 입구 주위에서 굳어버리거나 변질되어 사용자가 다음에 재 사용할 경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액체저장용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내용물이 과다하게 외부로 유출되므로 비경제적인 면이 있으며, 용기의 제작과정상 생산성 저하로 인해 금형 비용의 상승과 용기 가격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액체가 저장된 용기의 본체를 한 손으로 눌러 그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다른 한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소위 노타치(NO-TOUCH)식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마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마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로서, 도 7은 정상 상태를, 도 8은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 20...몸체 21...체결부
23...실린더부 25...구멍 27...상단벽
29...인입홈 30...슬라이드부재 31...슬라이딩부
33...배출부 35...미디엄부 40...바이어스부재
42...탄성편 52...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의 유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주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의 실질적인 중앙에 구멍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용기의 압력변화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홈에 위치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기준으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점액성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속이 빈 배출경로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상단 부근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부를 가진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된 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탄성편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배출부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벽과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구멍 주위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한 내부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구멍 주위의 상단벽에 미세하게 형성된 에어홀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경사턱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바이어스부재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미디엄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개(100)는 용기(10)의 유출구(11)에 체결되는 본체(20)와, 본체(20) 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슬라이드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10)는 금속, 수지, 종이 등에 의해 성형되며,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과 같이, 통상의 점액성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는 탄력성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수지, 종이, 비닐 등에 의해 제조된다. 용기(10)의 수용공간(13)에는 샴푸, 린스, 로션, 식용유뿐만 아니라 음료와 같은 액체가 수용된다. 유출구(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5)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20)는 수나사부(15)에 나사 결합되도록 실질적인 원통 형태를 가진 체결부(21)와, 체결부(21)로부터 상단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의 실린더부(23)와, 실린더부(23)의 상부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실질적인 중앙에 구멍(25)이 형성된 상단벽(27)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21)는 유출구(11)의 수나사부(1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출구(11)와 마개(100)의 본체(20)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외에 끼움 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부(23)의 내벽에는 인입홈(29)이 형성된다. 인입홈(29)은 상단 걸림턱(22) 및 하단 걸림턱(24 :도 13)에 의해 구획되며, 슬라이드부재(30)의 슬라이딩부(31)가 삽입 위치된다.
상기 상단벽(27)은 실린더부(23)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멍(25)은 슬라이드부재(30)의 배출부(33)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으로서, 용기(10)가 아무런 압력을 받지 않을 경우에 배출부(33)의 끝단과 상단벽(27)의 외벽은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구멍(25) 주위의 상단벽(27)의 내벽에는 가이드부(2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6)는 배출부(33)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단벽(27)의 소정 부위 특히, 가이드부(26)에는 미세한 에어홀(28)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28)은 슬라이드부재(30)의 이동에 의한 몸체(20)의 내부 압력 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홈(29)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31)와, 슬라이딩부(31)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연장되는 미디엄부(35)와, 미디엄부(35)로부터 소정 길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속이 빈 배출경로(37)를 가지며 끝단의 폐쇄되며, 끝단의 측면에 배출구(39)가 마련된 배출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31)는 상단 걸림턱(22)과 하단 걸림턱(24)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면서 용기(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인입홈(29)의 길이 만큼 왕복 이동된다. 그러면, 슬라이드부재(30) 전체가 이동하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배출부(33)가 구멍(25) 밖으로 이동되어 배출구(39)가 개방된다. 또한, 슬라이딩부(31)는 내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체결부(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경사턱(32)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턱(32)은 슬라이드부재(30)의 위치 규제 기능과 용기(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부(39)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미디엄부(35)는 유출구(11)를 통해 유출되는 액체를 배출부(33)로 용이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슬라이딩부(31)와 배출부(33)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33)는 미디엄부(35)로부터 일체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출하되는 상태에서는, 수용공간(13)에 샴푸, 린스, 로션, 식용유와 같은 점액성 액체가 수용되어 있고, 유출구(11)에는 마개(100)의 몸체(2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30)의 슬라이딩부(31)는 하단 걸림턱(26)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배출부(33)의 끝단과 상단벽(27)의 외벽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 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10)를 한 손으로 들고 유출구(11)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한 후 손으로 용기(10)를 누른다. 그러면,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슬라이드부재(30)의 배출부(33) 측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용기(10)의 압력 변화량은 슬라이드부재(30)를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39)는 가이드부(26)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액체는 외부로 아직까지는 배출되지 못한다.
용기(10)를 더욱 누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는 구멍(25)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딩부(31)는 상단 규제턱(22)에 의해 그 위치가 규제되면서 멈추게 된다. 그러나,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배출구(39)를 통해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된다.
한편, 액체를 적당량 배출시킨 후, 사용자가 용기(10)에 눌려진 압력를 해제시키게 되면, 용기(10) 내부의 압력 균형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는 용기(20) 방향으로 밀게되고 슬라이딩부(31)가 하단 규제턱(22)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다른 힘이 용기(10)에 작용하지 않는 한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배출부(33)의 선단을 살짝 눌러주면 원상태로의 복귀가 더욱 용이해 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개(101)는 슬라이드부재(30)를 유출구 방향으로 원위치 시키기 위해 몸체(20)의 내벽에 바이어스부재(4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바이어스부재(40)는 몸체(20)와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탄성편(42)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편(42)은 몸체(20)의 실린더부(23) 상단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그 끝단부가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편(42)은 실린더부(23)로부터 중앙의 말단으로 접근할수록 그 폭과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출하되는 상태에서는, 수용공간(13)에 샴푸, 린스, 로션, 식용유와 같은 점액성 액체가 수용되어 있고, 유출구(11)에는 마개(100)의 몸체(2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30)의 슬라이딩부(31)는 하단 걸림턱(26)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배출부(33)의 끝단과 상단벽(27)의 외벽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 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10)를 한 손으로 들고 유출구(11)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한 후 손으로 용기(10)를 누른다. 그러면,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슬라이드부재(30)의 배출부(33) 측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용기(10)의 압력 변화량은 슬라이드부재(30)를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39)는 가이드부(26)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액체는 외부로 아직까지는 배출되지 못한다.
용기(10)를 더욱 누르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는 탄성편(4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계속 구멍(25)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여기서, 탄성편(42) 상단의 공간과 몸체(20)에 작용하는 압력은 에어홀(28)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면, 슬라이딩부(31)는 상단 규제턱(22)에 의해 그 위치가 규제되면서 멈추게 된다. 그러나,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배출구(39)를 통해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된다.
한편, 액체를 적당량 배출시킨 후, 사용자가 용기(10)에 눌려진 압력를 해제시키게 되면, 용기(10) 내부의 압력 균형 및 탄성편(42)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를 용기(20) 방향으로 밀게되고 슬라이딩부(31)가 하단 규제턱(22)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다른 힘이 용기(10)에 작용하지 않는 한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실시예의 탄성편(42)을 제거하고 배출부(33) 주위를 감싸도록 몸체(20)의 상단벽(27)과 슬라이드부재(30)의 미디엄부(35) 사이에 스프링(52)을 개재시킴으로써, 그 스프링(52)이 바이어스(40)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요소의 세부적인 사항 및 그 동작은 전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몸체에 형성된 인입홈의 간격에 맞도록 바이어스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슬라이드부재의 왕복이동과 배출구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액체를 노터치(no-touch)식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둘째, 종래의 2중 구조에 의한 복잡한 제조공정 및 부품수의 증가를 심플한 단일 구조에 의해 외형의 세련미 및 부품수 감소에 의한 생산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샴푸 등을 사용하고 난 후, 저장용기의 배출구 주위에 내용물이 잔존하는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용기의 유출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주면에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의 실질적인 중앙에 구멍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용기의 압력변화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홈에 위치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기준으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점액성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속이 빈 배출경로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상단 부근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부를 가진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된 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는 상기 배출부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벽과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구멍 주위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한 내부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구멍 주위에 미세하게 형성된 에어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슬라이딩부는 그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경사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바이어스부재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미디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20000033183U 2000-11-27 2000-11-27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0221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183U KR200221667Y1 (ko) 2000-11-27 2000-11-27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183U KR200221667Y1 (ko) 2000-11-27 2000-11-27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66A Division KR20010008363A (ko) 2000-11-27 2000-11-27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667Y1 true KR200221667Y1 (ko) 2001-04-16

Family

ID=7309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183U KR200221667Y1 (ko) 2000-11-27 2000-11-27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6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6532B2 (ja) 容器用キャップ
RU2327621C2 (ru) Аэрозольный клапан
KR200200762Y1 (ko) 화장품 용기
JP6270723B2 (ja) 操作部と真正保証機能を有する開き蓋ロック機構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KR20210112328A (ko) 펌프 어셈블리 및 내용물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용기
JP6290784B2 (ja) 操作部と真正保証機能を有する開き蓋ロック機構
KR200221667Y1 (ko)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110068196A (ko) 펌프 디스펜서
KR20010008363A (ko) 점액성 액체 저장용기용 마개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JP2006306432A (ja) 少量吐出容器
JPS6348540Y2 (ko)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100452119B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JP2599619Y2 (ja) 噴出器の押下釦
KR200383177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2003104416A (ja) 粘稠液の注出容器
KR200275711Y1 (ko) 액체 보관용 용기 구조
KR101624079B1 (ko)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KR960000586Y1 (ko) 화장품 용기의 포장용 마개
KR910007082Y1 (ko) 샴퓨용기
KR100526709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