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60Y1 -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60Y1
KR200221560Y1 KR2019960051181U KR19960051181U KR200221560Y1 KR 200221560 Y1 KR200221560 Y1 KR 200221560Y1 KR 2019960051181 U KR2019960051181 U KR 2019960051181U KR 19960051181 U KR19960051181 U KR 19960051181U KR 200221560 Y1 KR200221560 Y1 KR 200221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input
docking
notebook computer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123U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1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2Means for limiting or controlling the pin/gate rati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노트북 컴퓨터와 결합하는 도킹시스템에 멀티 포트가 있을 경우에 각각의 포트에 대해 기능별로 고유 식별코드(ID)를 부여하고 일단의 메모리부에 ID를 기억시켜놓으므로써, 입/출력 디바이스가 도킹 시스템의 멀티포트와 접속할때 해당 포트에 대한 ID를 메모리부의 ID와 비교한후 각각 포트의 유무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입/출력 디바이스만 다수개의 포트선택 스위치로서 온/오프 시켜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가 독립적으로 다른 포트의 영향을 받지않고 동작하도록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본 고안의 목적은 노트북 컴퓨터와 결합하는 멀티 포트를 갖는 도킹 시스템에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 도킹시스템(DockingSystem)의각각의포트에입/출력디바이스의고유식별코드(Identification Data : 이하 "ID"라 약칭함)를 부여하여 2개 이상의 멀티 포트를 사용할 때 키보드 제어부에 의한 다수개의 포트선택 스위치를 온/오프 시켜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므로써, 멀티포트 동작중에 발생하는 간섭 에러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도킹 시스템 사용시에 도킹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도킹 사양을 알려주어 이해를 도울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컴퓨터의 입출력 포트 제어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된 도킹시스템의 멀티 포트 즉, 키보드, 마우스, 모뎀, 랜카드(LAN Card), 모니터 등의 포트를 상기 입/출력 디바이스와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에 이들 각각의 포트에 대해 ID를 부여한 다음 커넥트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해서 키보드 제어부로 다수의 포트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므로써, 2개 이상의 포트에 각각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해서 사용할 경우 발생되는 오동작이나 하나의 포트 사용시에 다른 포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ESD)등의 영향에 의한 에러를 효율적으로 제거 할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간에 2개 이상의 포트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포트 제어 장치 없이 노트북 컴퓨터에 입/출력 디바이스를 직접 접속하여 사용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간의 결합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 제어부(100)와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 즉, 키보드(120)나 마우스(122)등을 연결할때에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 제어부(100)를 키보드 포트(110), 마우스 포트(112)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해당되는 입/출력 디바이스의 데이터만을 키보드 제어부(100)로서 직접 제어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와의 결합은 2개 이상의 멀티포트 사용시에 키보드나 마우스, 모니터 등을 동시에 접속 사용할 경우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하나의 포트을 사용할 때에 다른 포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ESD)에 의해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인터페이스 하는 신호 라인이 길어짐에 따른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노트북 컴퓨터에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다수개의 포트를 가진 도킹시스템을 통해 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 각각의 포트에 대해 기능별로 ID를 부여하고 키보드 제어부에서 노트북 컴퓨터와 동일한 포트 즉, 멀티 포트가 생겼을 경우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키보드 제어부에 의해 포트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므로써, 멀티 포트를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에러등을 효율적으로 제어 하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도킹에 대한 사양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 포트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 포트 제어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와 다수개의 포트를 가진 도킹 시스템을 통해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것을 검지하여 도킹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도킹 검지부와; 상기 도킹 검지부로부터 출력되는 도킹 처리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키보드 제어부와; 상기 키보드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의해 다수개의 포트선택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도킹시스템 포트를 선택하는 스위칭 선택부와; 노트북 컴퓨터와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포트에 대해 기능별로 부여한 ID를 저장하여 상기 키보드 제어부에 제공하는 메모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본고안의노트북컴퓨터의멀티포트제어장치의블록도로서,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250)가 접속되는 것을 검지하여 도킹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도킹 검지부(200)와; 상기 도킹 검지부(200)로 부터 도킹 처리신호에 의해 키보드를 제어하여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보드 제어부(210)와;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부터 출력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다수의 포트 선택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 선택부(220)와;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와 다수개의 포트를 가진 도킹 시스템(2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입/출력 디바이스(240)와;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에 다수개의 포트에 대해 각각 기능별로 부여된 ID를 저장 및 제공하는 메모리부(250)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서의 스위칭 선택부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에서 출력된 하이(HIGH)와 로우(LOW)상태의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치(1A), 제 2 스위치(1B), 제 3 스위치(2A), 제 4 스위치(2B)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포트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제어부(210)에서 도킹 검지부의 도킹 처리 즉, 하이나 로우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Toggle)되면 게이트 제어 신호를 하이로 인엑티브 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도킹 처리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되면 키보드 제어부(210)가 메모리부(250)내의 ID와 접속된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의 ID를 비교, 검색한후 포트의 유무를 판단하여 포트가 존재하면 게이트 제어 신호를 로우로 엑티브하고 포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초기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240)가 멀티 포트를 가진 도킹 시스템(230)을 통해 스위칭 선택부(220)에 접속 되면 상기 도킹 검지부(200)는 이를 검지하여 키보드 제어부(210)에 도킹 처리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도킹 처리신호는 노말(Normal) 상태일때는 하이, 도킹(Docking)상태일때는 로우상태의 두가지 신호를 갖게 되고, 도킹 처리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토글되면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간의 포트가 접속 즉, 도킹이 되고 로우에서 하이로 토글되면 언도킹 즉,노말 상태가 된다. 이때, 도킹이 되면 상기 도킹 시스템(230)에 접속되어있는 입/출력 디바이스(240)의 각각의 ID가 스위칭 선택부(220)로 전송 된다. 즉, 키보드(242)에 대한 ID는 상기 키보드 포트(232)을 거쳐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의 제 1 스위치(1A)를 통해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입력되고, 마우스(244)에 대한 ID도 같은 방법으로 제 2 스위치(1B)를 통해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그리고 다른 입/출력 디바이스도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의 제 3, 4 스위치(2A)(2B)를 통해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의 ID가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의 제 1 내지 제 4 스위치(1A - 2B)를 통해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로 입력된 입/출력 디바이스 각각의 ID는 상기 도킹 처리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입/출력 디바이스 ID와 비교 검색을 한 후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의 동일 ID가 있는지, 그리고 접속 포트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후 접속 포트가 존재하면 상기 키보드 제어부(210)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의 인에이블 단자(제 1G,2G)로 출력하고 상기 인에이블 단자의 하이, 로우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선택부(220)의 제 1 내지 제 4 스위치(1A - 2B)가 동작된다. 상기 스위치 동작에 의해 도킹 시스템(230)의 멀티 포트에 의한 입/출력 디바이스(240)가 동시에 작용하더라도 다른 포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동작되며, 각각의 도킹 시스템(230) 포트에 의해 입/출력 디바이스를 구분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되는 도킹에 대한 정보를 미리 프로그램 시켜놓아 사용자에게 도킹 사양 등을 알려줄수가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 ID 설정은 노트북 컴퓨터와 도킹 시스템(230)을 접속하는 커넥터 핀으로서 설정을 할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핀의 일부을 ID 설정 핀으로서 구성하고 입/출력 디바이스 기능에 따라 도킹 시스템(230)내의 포트에 대해 기능별로 각각 ID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 핀을 4핀만 이용할 경우 'ØØØØH' 부터 '1111H'까지 24 =16 까지의 도킹시스템 포트를 구분하여 메로리부(250)에 저장할수 있다. 상기 16가지의 데이터중에서 첫 번째 데이터 'ØØØØH'는 도킹 시스템 포트가 존재하지 않고 두 번째 데이터 'ØØØ1H'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 디바이스로서 키보드 포트가 존재하지 않고, 세 번째 데이터 'ØØ1ØH'는 키보드/마우스 포트가 존재하는 것와 같이 마지막 데이터 '1111H' 까지 입/출력 디바이스의 포트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저장할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커넥트 핀으로서 입/출력 디바이스 각각의 ID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대신시리얼 이이피롬(EEPROM :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사용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 상기 시리얼 EEPROM은 전기적으로 기록한 정보를 소거 및 기록할 수 있는 소자로서, 도크에 대한 정보(도킹 ID, 도킹 시스템 사양등)을 기록하여 도킹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와 연결되는 아이 스퀘어 씨 (I2C : 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를 통하여 도킹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게 되고, 검색후 입/출력 디바이스 ID와 비교하고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메모리부를 이용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모리부에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 정보(ID,도킹 시스템 사양등)을 저장한후 도킹 시스템의 멀티 포트에 각각의 입/출력 디바이스을 접속할 때, 상기 키보드 제어부가 메모리부내의 ID와 도킹되는 입/출력 디바이스의 ID을 각각 검색하여 해당되는 도킹 시스템의 포트만 다수개의 포트 선택 스위치로서 온/오프 시키므로써, 노트북 컴퓨터와 멀티 포트로서 접속된 입/출력 디바이스를 동시에 동작하더라도 멀티 포트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이나 하나의 포트을 사용할 때 다른 포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등에 의한 에러를 방지할수 있고, 입/출력 디바이스를 멀티 포트를 가진 도킹 시스템으로 연결함으로 신호 라인이 길어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일수 있으며, 또한, 각 도킹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도킹 사양을 쉽게 알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와 입/출력 디바이스간의 결합을 보 인 블록도.
도2는본고안에의한노트북컴퓨터의멀티포트제어장치의블록도.
도 3 은 도 2에서의 스위칭 선택부의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도킹 검지부 210 : 키보드 제어부
220 : 스위칭 선택부 230 : 도킹 시스템
232 : 키보드 포트 234 : 마우스 포트
240 : 입/출력 디바이스 242 : 키보드
244 : 마우스 250 : 메모리부

Claims (2)

  1. 노트북 컴퓨터와 다수개의 포트를 가진 도킹 시스템을 통해 입/출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것을 검지하여 도킹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도킹 검지부와; 상기 도킹 검지부로부터 출력되는 도킹 처리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키보드 제어부와; 상기 키보드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의해 다수개의 포트선택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도킹시스템 포트를 선택하는 스위칭 선택부와; 노트북 컴퓨터와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간에 존재하는 각각의 포트에 대해 기능별로 부여한 ID를 저장하여 상기 키보드 제어부에 제공하는 메모리부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 제어부에서 출력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각각의 포트선택 스위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 포트 제어 장치.
KR2019960051181U 1996-12-18 1996-12-18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KR200221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181U KR200221560Y1 (ko) 1996-12-18 1996-12-18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181U KR200221560Y1 (ko) 1996-12-18 1996-12-18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23U KR19980038123U (ko) 1998-09-15
KR200221560Y1 true KR200221560Y1 (ko) 2005-08-17

Family

ID=4367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181U KR200221560Y1 (ko) 1996-12-18 1996-12-18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54A (ko) * 2001-05-25 2001-08-22 윤원영 컴퓨터 주변기기 공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2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7132C (en)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 for dockable portable computers
US65464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dual storage interfaces
US6557170B1 (en) Keyboard, mouse, video and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6813662B2 (en) Memory drive having multi-conn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7082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ystem with redundant peripheral bus controllers
US67959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ype of interface to which a peripheral device is connected
US5301276A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gning I/O address i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6654842B1 (en) Swap bay device supporting both master mode and slave mode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EP0717341A1 (en) Power enabling apparatus and method
US6725320B1 (en) I2C bus switching devices interspersed between I2C devices
JP2000056871A (ja) Usbシステム用のemsエンハンスメント回路
KR20030087895A (ko) 더블 인터페이스 씨에프 카드
WO19940272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and configuration of a peripheral device
EP1163571B1 (en) Add-on card with automatic bus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EP0351961A2 (en) Automatic reconfiguring apparatus
US7085861B2 (en) Serial ATA control circui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path
US5278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keyboard on a computer system
US20030233507A1 (en) Electronic card with multiple interfaces
US20040143693A1 (en) Data storage apparatus of multiple serial interfaces
US80154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BIST operations
KR200221560Y1 (ko) 노트북 컴퓨터의 멀티포트 제어장치
KR20030083540A (ko) 더블 인터페이스 에스디 카드
KR20000053744A (ko) 보안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네트웍 전환장치
KR0121804B1 (ko) 레벨 설정 회로를 갖는 데이타 버스 콘트롤러
KR100198670B1 (ko) 플러그 앤 플레이 시스템의 자동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