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61Y1 - Cup - Google Patents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61Y1
KR200220861Y1 KR2020000027357U KR20000027357U KR200220861Y1 KR 200220861 Y1 KR200220861 Y1 KR 200220861Y1 KR 2020000027357 U KR2020000027357 U KR 2020000027357U KR 20000027357 U KR20000027357 U KR 20000027357U KR 200220861 Y1 KR200220861 Y1 KR 200220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cup
tea
drink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3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양
Original Assignee
한국민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민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민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7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6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61Y1/en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에 관한 것으로, 일측 적소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잔에 음료를 따를 때 위치공의 하단까지만 따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용할 때 위치공의 반대측 방향인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용자로 하여금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 및 물이나 차를 마실 때 예(禮)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음용수를 부어 마시는 잔에 있어서, 잔에 음용수를 부을 때 특정 부위까지만 부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잔을 통해 음용수를 음용할 때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잔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penetrating and forming a location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in one place so that it can only follow the bottom of the location hole when pouring the drink, as well as a specific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of the location hole when drinking Its purpose is to allow the drinker to stick to the instant foods such as soft drinks or coffee and to drink water or tea.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for this purpose, in drinking glass of drinking water, it is possible to pour only drinking water to a certain part when pouring drinking water into the glass, while drinking drinking water through the glass so that only drinking to a specific part of the glass from the top of the bottom It is made by penetrating and forming a position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Description

잔{Cup}Cup {Cup}

본 고안은 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의 일측 적소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함으로써 잔에 음료를 따를 때 위치공의 하단까지만 따를 수 있도록 하고, 음용할 때 위치공의 반대측 방향으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음용자로 하여금 예(禮)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and more specifically, to penetrate and form a location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in one side of the cup so that it can only follow the bottom of the location hole when pouring the drink,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location hole when drinking It relates to a cup so that the drinker can be faithful to the example by drinking only in the direction.

일반적으로 우리문화에는 다례(茶禮)라 하는 음다(飮茶)문화가 발달하여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는데, 다례(茶禮)란 차를 마시는 것과 더불어 예(禮)나 몸가짐 그리고 다(茶)와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분위기와 지식 등을 일컬음이다.In general, our culture has been developed as a tea culture called tea ceremony. Until now, tea ceremony is not only tea, but also harmony with tea, body and tea. The atmosphere and knowledge centered around are called.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를 마시는 음다(飮茶)문화는 차를 마시는 것 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의 수양을 쌓기 위한 물질적 정신적 성과로, 우리가 통상적으로 먹고 마시는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과는 달리 잔에 담겨진 차를 식히면서 자신의 마음을 가라 앉히고 생활의 여유로움을 찾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tea drinking culture is a material and spiritual achievement not only to drink tea but also to nurture the body and mind, unlike the ordinary foods such as soft drinks and coffee that we normally eat and drink. Cooling the tea in the cup is effective in calming one's mind and finding leisure.

전술한 바와 같은 다례(茶禮)는 역대 왕조의 조정다례, 유불도교의 종교적인 다례 및 여염집에서의 손님맞이 다례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성행하였다. 이처럼 우리의 옛선인들은 차 한 잔을 마셔도 예(禮)를 중시하였다.The tea ceremony, as described above, was popular throughout the society, including courtesy rituals of the Dynasty, religious rituals of the Buddhists, and guest rituals at Yeo Yeom. Thus our ancient men valued honor even after drinking a cup of tea.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들이 만연하면서 다례(茶禮)는 하나의 전통으로써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들이 넘쳐나는 오늘에 이르러서 현대인들은 한 잔의 차나 물을 마시는 일에도 조급함이 앞서고, 또한 여유로움이 없어 예(禮)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처럼 현대인들이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 및 물이나 차를 마실 때 조급함이 앞서고, 또한 여유로움이 없어 예(禮)를 찾을 수 없는 이유는 우리가 흔히 쓰는 잔에서도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일반적인 잔을 보인 것이다.However, as the instant foods such as soft drinks and coffee are widespread today, tea ceremony only maintains the context as a tradition. As such, today, overflowing with instant foods such as soft drinks and coffee, modern people are in a hurry to drink a cup of tea or water. The reason why modern people are quick to get instant food such as soft drinks and coffee, and water or tea, and can't find an example because of lack of relax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cups we usually use. The following is a typical cup.

도 1 은 종래의 잔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잔(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이나 반구형, 사발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인다. 이러한 잔(10)을 궂이 분류하자면 원통형이나 반구형 및 사발형의 저수부(12a)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12), 몸체(12)의 하부를 이루는 받침부(14) 및 음용자가 입을 대고 마시는 부분인 음용부(16)로 이루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cup 10 is general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emispherical shape, bowl shape of the upper portion is open. In order to classify such a cup 10, the body 12 having a cylindrical or hemispherical shape and a bowl-shaped reservoir 12a formed therein, the support 14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2, and the drinker drink with mouth It consists of the drinking part 16 which is a part.

한편, 전술한 종래의 잔(10)은 저수부(12a)에 차있는 음용수를 음용부(16)로 마시게 되는데, 이때 음용자는 음용부(16)의 어느 부분으로든 마실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glass 10 is to drink the drinking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12a with the drinking portion 16, the drinker can drink any portion of the drinking portion (16).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잔은 음용부의 모든 부위로 음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잔에 어떤 특정표시가 없기 때문에 음용자가 한 번 음용한 부위로 다시 음용할 수 없다. 즉, 음용부의 특정 부분으로만 일관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음용부의 전부분을 불규칙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glas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rink all the portions of the drinking portion, that is, there is no specific mark on the glass, so that the drink cannot be re-drinked to the portion which the drink is once drink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portion of the drinking portion can be used irregularly, instead of using only the specific portion of the drinking portion consistently.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잔의 어느 한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특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용자는 음용하는데 있어서 다례(茶禮)와 같은 예의범절에 구애없이 음용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그 정도를 지나쳐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쾌한 감정을 갖게 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specified so that only one portion of the glass can be drunk. Therefore, the drinker will have a problem in drinking the drink regardless of manners such as tea ceremony (tea). This problem has a problem that may cause the other party to have unpleasant feelings beyond that extent.

한편, 다례(茶禮)에서는 잔에 음용수를 따를 경우 너무 많은 양을 따르지 않아야 하며, 음용할 때 잔을 두손으로 잡고 소정 각도로 적당히 기울이면서 마시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다례(茶禮)에 비추어 볼 때 음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차를 너무 많이 따르거나 잔을 한손으로 들고 마시는 등의 다례(茶禮)에 어긋나는 실례를 범할 염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ea ceremony (禮), if drinking water is poured into the cup, it should not follow too much amount, and when drinking, hold the cup with both hands and drink it while tilting i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imes, the drinker's carelessness may violate the tea ceremony, such as pouring too much tea or holding a cup with one han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잔의 일측 적소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잔에 음료를 따를 때 위치공의 하단까지만 따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용할 때 위치공의 반대측 방향인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용자로 하여금 청량음료나 커피와 같은 인스턴스 식품 및 물이나 차를 마실 때 예(禮)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on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in one place of the cup so that it can only follow the bottom of the position hole when drinking, of course, when drink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up that allows the drinker to stick to an instant food such as a soft drink or coffee and to drink water or tea by drinking only to a specific part opposite to the location hole. .

도 1 은 종래의 잔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up.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잔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잔의 사용 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잔 속에 담긴 음용수의 음용 예를 보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drinking example of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잔 110. 몸체100.Mug 110.Body

112. 저수부 120. 받침부112. Reservoir 120. Base

130. 음용부 150. 위치공130. Drinking part 150. Witch hole

먼저, 본 고안의 잔을 설명하기 앞서 본 고안의 목적을 상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잔으로 음용수를 음용할 때 여유로운 마음으로 예(禮)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때, 예(禮)라 함은 우리의 전통문화인 다례(茶禮)라 할 수도 있으나, 꼭 다례(茶禮)라 특정지우는 것은 아니다.First, before explaining th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remind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aithfully adhere to the example (으로) with a relaxed mind when drinking drinking water with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example may be called tea ceremony, our traditional culture, but it is not necessarily specified as tea ceremony.

단지,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예(禮)라 함은 물이나 차 한 잔을 음용하는데 있어 여유로운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심신을 기르자는 의미에서의 예(禮)라 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xamp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xample in the sense of cultivating the mind and body with all our heart and soul in a leisurely manner to drink water or a cup of tea.

한편, 우리의 전통문화인 다례(茶禮)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 차의 유래를 살펴보면 차는 신라 선덕왕 때 부터 있었지만 재배는 흥덕왕 3년(828년) 때 김대렴이 당나라에서 차씨를 가져온 뒤부터이다. 지리산에 심어진 차는 이때부터 흥하기 시작하였다. 고려시대에 들어오면서 불교문화와 함께 차는 더욱 성대하게 발전하여 거리에는 차를 판매하는 다점까지 등장하였고, 고려인들은 인생과 차를 자연스럽게 승화시키면서 정신적인 풍류를 곁들였다.On the other hand, we look at our traditional culture, Da-rye (茶 禮) as follows. First of all, if we look at the origin of our tea, the tea was from Silla's King Seondeok, but the cultivation began after Kim Dae-hyl brought tea from Tang Dynasty in 3 years (828). Tea planted in Jirisan began to flourish at this time. In the Koryo Dynasty, with the Buddhist culture, tea developed more magnificently, and many streets were selling tea on the streets.

전술한 바와 같은 차 문화는 조선시대로 들어오면서 배불사상으로 위기를 맞았고, 6.25사변 이후에는 커피가 들어오면서 점차 뒤로 밀려나게 되었다.As mentioned above, the tea culture entered the Joseon Dynasty and faced a crisis of hunger, and after 6.25, coffee was gradually pushed back.

다례(茶禮)란 다(茶)를 마시는데 있어 이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예절과 심신수련을 말함이다. 넓은 의미의 다례(茶禮)에는 실용다법도 있어 이는 다(茶)를 마시는데 있어 간단한 예법과 더블어 누구라도 손쉽게 마시는 다사이다. 이는 다(茶) 애호가들이 마시는 가장 간략한 다법이다.Tea tea refers to etiquette and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which focuses on drinking tea. Tea ceremony, which has a broad meaning, also has utility techniques, which are simple manners for drinking tea and double drinkers who can easily drink it. This is the simplest way to drink tea lovers.

차마시는 법을 잠깐 살펴보면 첫 번째 다기를 준비하고 두 번째 다기를 예열하고 세 번째 차를 따르며 네 번째 차를 마시고 다섯 번째 뒷정리를 한다. 여기서, 세 번째에서는 차의 농도가 균일하도록 따라야 하며 너무 많은 양을 따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네 번째 차를 마실때에도 찻잔을 양손으로 들고서 서서히 기울여 세 번 정도에 나누어 마시는 것이 다도의 예절이라 할 수 있다.A quick look at how to drink tea is to prepare the first teacup, preheat the second tea, follow the third tea, drink the fourth tea and clean up the fifth. Here, in the third, the concentration of tea should be followed so as not to follow too much. In addition, when drinking the fourth tea, holding the cup with both hands slowly tilted three times to drink can be called the etiquette of the tea ceremony.

다례(茶禮)에서 사용되는 다구(茶具)는 차를 마시기 위해 갖추어야 할 도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아주 기본적인 다기(茶器)에서부터 찻상, 다반(茶盤), 차호(茶壺), 차시(茶匙), 다관(茶罐), 다포, 잔받침, 찻잔(茶盞) 등을 총칭하여 다구(茶具)라 한다.The tea utensils used in tea ceremony refer to the tools you need to have a cup of tea. Tea mugs, tea bags, saucers, tea cups, etc. are collectively called tea guts.

전술한 다구 중 찻잔은 차를 부어 마시는 잔으로, 이 찻잔은 시대와 모양에 따라 여러 이름이 전한다. 이러한 찻잔에는 구(具), 완(碗), 종(鍾) 등이 있으며, 구(具)는 원통형의 통잔, 완(碗)은 사발형의 가루차용, 종(鍾)은 작은 반구(半球)형의 입차용을 이른다. 찾잔은 약간 두툼하여 쉬 뜨겁거나, 쉬 식지 않는 것이 좋으며, 잎찻물의 아름다운 색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잔의 안쪽은 백색이 좋다. 다음은 종래의 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mong the tea cups described above, the teacup is a cup of tea that is poured. There are spheres, bowls, and bells in these cups, spheres are cylindrical cups, bowls are bowl-shaped teas, and species are small hemispheres. It leads to entering of type. Jjazan is a bit thick, so it is better not to be hot or cool, and to enjoy the beautiful color of the tea leaves, the inside of the cup is white. Next, a conventional glass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잔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잔은 음용수를 부어 마시는 잔에 있어서, 잔에 음용수를 부을 때 특정 부위까지만 부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잔을 통해 음용수를 음용할 때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잔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nk drinking water, so that only a certain portion when pouring drinking water to the glass, while drinking the drinking water through the glass from the bottom of the glass to drink only to a specific portion It is made by penetrating and forming a position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por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잔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잔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잔 속에 담긴 음용수의 음용 예를 보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drinking example of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100)은 종래의 잔과 같이 저수부(112)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이나 반구형 및 사발형의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를 이루는 받침부(120) 및 음용자가 입을 대고 마시는 부분인 음용부(130)로 구성되는 마찬가지이나, 본 고안의 잔(100)은 몸체(110)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내외로 관통되는 소정 형상의 위치공(150)을 형성하여 잔(100)에 음용수를 부을 때 특정 부위까지만 부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잔(100)을 통해 음용수를 음용할 때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2 to 4, the cu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or hemispherical and bowl-shaped body 110, the body 110 of the reservoir 112 formed therein, as in the conventional cup The same as that consisting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and the drinking portion 130 that is drinking portion drinking the mouth, the cu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netrated in and ou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By forming a location hole 150 of a predetermined shape to be poured only up to a specific portion when pouring the drinking water to the cup 100, while drinking the drinking water through the cup 100 to drink only to a specific por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잔(100)의 소정의 위치에 내외로 관통되는 소정 형상의 위치공(150)을 형성함으로써 잔(100)에 음용수를 따르는 사람이나 잔(100) 속의 음용수를 음용하는 사람이나 정성을 다하여 따르고 마실 수밖에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osition hole 15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enetrating in and ou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up 100, a person or drinker who drinks drinking water in the cup 100 or drinks drinking water in the cup 100. You will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and drink.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위치공(150)이 형성된 잔(100)에 음용수를 따를 때 음용수를 따르는 사람은 따르는 음용수가 위치공(150)으로 넘치지 않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음용수를 따르는 일에 정성을 다하게 된다. 이처럼 음용수를 따르는데 있어 정성을 다하는 마음 자체가 예(禮)라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drinking water is poured into the cup 100 in which the positioning hole 150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 following the drinking water must not drink the drinking water so that the pouring hole 150 does not overflow in the drinking water. Will be done. Likewise, sincerity of mind in following drinking water is an example.

또한, 잔(100) 속의 음용수를 음용할 때도 역시 위치공(150)으로 넘치지 않게 음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치공(150)의 반대편 음용부(130)로만 음용하여야 한다. 즉, 위치공(150)으로 음용수가 넘치지 않도록 음용하기 위해 위치공(150)의 반대편인 특정 부위로만 음용하는 일에 정성을 다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잔(100)은 음용수를 음용하는데 있어서도 정성을 다하고, 예(禮)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drinking the drinking water in the cup 100, so as not to overflow the location hole 150 should be drinking only to the drinking portion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ation hole 150. That is, in order to drink so that the drinking water does not overflow into the position hole 150, only the specific portion that is opposite to the position hole 150 to drink to be done. As such, the cu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voted to drinking drinking water, and can be faithful to the exampl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잔(100)은 원통형이나 반구형 및 사발형의 몸체(110)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y a cylindrical or hemispherical and bowl-shaped body 110,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

그리고, 위치공(150)이 형성된 위치는 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2/3되는 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나, 꼭 2/3되는 지점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4 또는 4/5 등 적정한 위치에 형성할 수가 있다.And, the position where the position hole 150 is formed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point that is 2/3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but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position of the point that is 2/3, 3/4 or 4 It can be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uch as / 5.

전술한 위치공(150)의 문양은 본 고안에서는 국화 문양을 이용하였지만, 잔(100)에 전통의 멋스러움을 더하기 위해 우리의 전통 문양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문양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position hole 150 described above used a chrysanthemum patter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use our traditional pattern to add a traditional look to the cup 100, or other patterns can be freely configure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잔(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잔(100)은 몸체(110)의 2/3되는 높이에 위치공(150)이 형성되어 있어 음용수를 잔(100)에 따를 때 위치공(150)의 높이 이하로 적당량 따라야 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u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e cu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on hole 150 is formed at the height of two-thirds of the body 110, when drinking water to follow the cup 100, the appropriate amount should be less than the height of the position hole 150.

한편, 잔(100) 속의 음용수를 마실때에도 어느 특정한 부위 외에 다른 부위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위치공(150)이 형성된 반대편의 특정 부위로만 음용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drinking drinking water in the cup 100, the drinking water to the other parts other than any particular part is to be structured to drink only the specific part of the opposite side where the position hole 150 is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잔(100)의 몸체(110)에 위치공(15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용수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잔(100)의 위치공(150)이 형성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위치시켜야만 음용할 수 있다. 즉 위치공(150)이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에 잔(100)을 양손으로 잡고서 마실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처럼 잔(100)에 위치공(150)을 형성함으로써 음용수를 음용하는 사람은 음용수를 음용할 때 다례(茶禮)에 벗어나지 않도록 좀더 조심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cation hole 150 is formed in the body 110 of the cup 100, a person who wants to drink drinking water may b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ation hole 150 of the cup 100 is formed. It must be located to drink. In other words, the positioning hole 150 i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nk 100 is bound to drink with both hands. As such, by forming the position hole 150 in the cup 100, the person who drinks the drinking water will be more careful not to escape the tea ceremony when drinking the drinking water.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잔의 소정 부위에 위치공을 형성하고, 그 위치공이 형성된 반대측 부위로만 음용수를 음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음용수를 음용하는 사람이 다례(茶禮)에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ocation hole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up, so that drinking water can only be drinked to the opposite side where the loca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person who drinks the drinking water does not escape the tea ceremony. Exerted.

Claims (1)

음용수를 부어 마시는 잔에 있어서,In the cup of drinking drinking water, 상기 잔에 음용수를 부을 때 특정 부위까지만 부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잔을 통해 음용수를 음용할 때 특정 부위로만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잔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 형상의 위치공을 관통·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When pouring drinking water into the cup, only a specific part can be poured, while drinking water through the cup can be brewed only to a specific part. A cu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KR2020000027357U 2000-09-29 2000-09-29 Cup KR2002208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57U KR200220861Y1 (en) 2000-09-29 2000-09-29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57U KR200220861Y1 (en) 2000-09-29 2000-09-29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861Y1 true KR200220861Y1 (en) 2001-04-16

Family

ID=7308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57U KR200220861Y1 (en) 2000-09-29 2000-09-29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6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92A (en) 2022-09-21 2024-03-28 권혜정 m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92A (en) 2022-09-21 2024-03-28 권혜정 m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6283A (en) Wooden stein with responsive emblem
FI122800B (en) Teacup
CN1023683C (en) Tea set
KR200220861Y1 (en) Cup
US20060124497A1 (en) No spill saucer
JP3206626U (en) Tea brewer set
JP2526984Y2 (en) Teapot to taste the tea
CN213909564U (en) Ceramic wine set assembly
CN216932648U (en) Teacup with built-in decoration
CN208676890U (en) A kind of stainless steel kung fu tea teabowl with a cover of burn prevention
CN207428872U (en) A kind of stainless steel time tea set and its teabowl with a cover, fair cup and teacup
CN107184038A (en) A kind of stainless steel kung fu tea teabowl with a cover of burn prevention
CN208550888U (en) A kind of ceramic teacup with tealeaves filtering function
CN201609264U (en) Teapot with multiple spouts
CN218009255U (en) Detachable combined artistic tea set
CN210204299U (en) Anti-overflow liquid container
CN209269248U (en) A kind of lid that can issue the sound
US20230346144A1 (en) Coffee mug holder
KR200225907Y1 (en) Plug of Tea Powder Stirrer
CN208550877U (en) A kind of ceramic teapot
CN204838902U (en) Ceramic utensil
JPH0417089Y2 (en)
Sandfield Chinese Ceramic Puzzle Vessels
KR200476571Y1 (en) Filtering cup for tea
JP3061219U (en) Table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