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92Y1 - 가지치기용 톱자루 - Google Patents

가지치기용 톱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92Y1
KR200220692Y1 KR2020000030091U KR20000030091U KR200220692Y1 KR 200220692 Y1 KR200220692 Y1 KR 200220692Y1 KR 2020000030091 U KR2020000030091 U KR 2020000030091U KR 20000030091 U KR20000030091 U KR 20000030091U KR 200220692 Y1 KR200220692 Y1 KR 200220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s
saw
length
prun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환
Original Assignee
우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환 filed Critical 우영환
Priority to KR2020000030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92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지치기용 톱자루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길이가 긴 두개의 장대(11,12)만으로 구성되고 있어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장대(11,12)의 기본적인 길이가 길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이를 휴대,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가변되는 톱자루의 길이변화는 2배를 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톱자루를 최소한 3개이상의 장대가 조립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길이 변화가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고정핀에 의한 간섭이 없도록 된 가지치기용 톱자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가지치기용 톱자루(10)는 길이가 짧은 3개 이상의 장대(11,12,13)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톱자루(10)의 길이가 2배 이상으로 가변될 수 있게하고, 가장 선단으로 조립되는 장대(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함몰되는 요함부(131)를 형성하여 장대(11,12)를 고정하는 고정핀(112,122)이 상기 요함부(131)쪽에 위치하게 하여 고정핀과의 간섭을 줄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지치기용 톱자루{saw holder}
본 고안은 가지치기용 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이 고정되는 자루의 단위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도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지치기용 톱자루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가지치기용 톱자루(10)는 지면위에 선채로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도 가능하도록 톱(20)이 고정되는 톱자루(10)의 길이가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 즉, 일정한 길이로 된 장대(11)의 내측으로 또 다른 장대(12)를 조립하여 이동 및 비사용시에는 톱자루(10)의 길이와 부피를 줄여 이동이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에는 내측 장대(12)를 필요한 길이만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톱자루(10)는 길이가 긴 두개의 장대(11,12)가 조립되는 구성되고 있어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장대(11,12)의 기본적인 길이가 길게 형성하게 되어 이를 휴대,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가변되는 톱자루의 길이변화는 2배를 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2개이상의 장대를 다단으로 조립하게 되는 경우 그 내측으로 함께 끼워지는 장대들간의 간섭 즉, 장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핀의 간섭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지치기용 톱이 고정되는 톱자루를 최소한 3개이상의 장대가 조립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길이 변화가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고정핀에 의한 간섭이 없는 가지치기용 톱자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예시도,
도 3은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용 예시도,
도 4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일부분을 절취한 반단면도로서,
(a)는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
(b)는 고정핀의 고정상태가 해지된 상태의 반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톱자루 11,12,13: 장대
20 : 톱 40 : 고정부재
41 : 개구부 42;421,422 : 푸쉬레버
44 : 체결부재 45 : 조정나사
46 : 보강편 112,122 : 고정핀
113,123,133: 핀구멍 131 : 요함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고, 도 3은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용 예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일부분만을 발췌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길이 가변되는 가지치기용 톱자루(10)에 있어서, 상기한 톱자루(10)는 길이가 짧은 3개 이상의 장대(11,12,13)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톱자루(10)의 길이가 2배 이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톱자루(10)는 중량이 가볍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장대(11,12,13)를 제조하되, 가장 선단으로 조립되는 장대(13)는 한쪽면(또는 양쪽면)에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함몰되는 요함부(131)를 형성하여 각각의 장대(11,12)를 고정하는 고정핀(112,122)이 상기 요함부(131)쪽에 위치하도록 조립하여 그 내측으로 조립되어 도 4의 (b)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장대(13)가 고정핀(112,122)에 의한 간섭이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장대(11,12,13)는 그 단면이 타원으로 형성하여 내측 장대가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하게 하여 장대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길이 조정을 위해 뚫고 있는 핀구멍(123,133)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가장 말단으로 조립되는 장대(13)의 선단부에는 체결구멍(136)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136)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고정구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톱날(20)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장대와 장대(11과 12 또는 12와 13)가 상호 조립되는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입출되는 장대(12,13)를 고정 및 고정상태를 해지하는 푸쉬레버(42:421,422)가 부설된 고정부재(40:401,402)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만큼 길게 절취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411,41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4)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진 플렌지를 내측으로 조여들게 하여 장대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21,422)의 상부측에 조정나사(45)가 구비되어 상기 조정나사(45)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대(12,13)의 고정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렌지(411,412) 사이에는 보강편(46)이 삽입되어 양쪽 장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되고, 고정부재(40)에 부설되는 푸쉬레버(42:421,422)에는 장대(10)의 핀구멍(123 또는 133)에 결합되는 고정핀(112 또는 12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112)은 푸쉬레버(42) 조작시 토션스프링(50)에 의해 상대 운동하게 하여 푸쉬레버(42)를 누르면 고정핀(112)은 상승하고 푸쉬버튼(42)을 놓으면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장대(12,13)의 핀구멍(123,133)에 끼워지는 것은 종래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가장 큰 직경으로 된 제1장대(11)의 한쪽 선단으로 그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제2장대(12)를 조립한다. 이때 제1장대(11)와 제2장대(12)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제1고정부재(401)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양쪽 제1,2장대(1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401)의 하부측은 양쪽 플렌지에 구비되는 체결부재(44)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이들이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게하고 고정부재(401)의 상부측은 조정나사(45)를 헐겁게 하여 내측으로 끼워진 제2장대(12)가 제1장대(11)의 내측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2장대(12)의 내측으로 제3장대(13)를 동일하게 조립한다. 이때 제3장대(13)가 제1고정부재(401)의 고정핀(112)과 간섭이 없도록 한쪽면에 형성된 요함부(131)가 고정핀(112) 쪽에 위치하도록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한다.
그리하면 사용자는 다단으로 결합된 제2,3장대(12,13)를 하나씩 인출시키는 방법을 통해 필요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두 개의 장대(11,12)만으로 이루어지므로써 그 길이가 2배 이내로 제한적이었으나, 본 고안은 3개이상이 조립되므로써 길이변화 또한 2배이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되어 종래보다 작업 반경이 커지게 된다.
또한 다단으로 조립되는 장대는 제1,2장대를 제외한 제3장대에는 한쪽면에 요함부를 형성하여 고정핀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게함으로써 길이 변화가 보다 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장대를 2개 이상이 결합되는 다단으로 구성하여 길이변화가 2배이상으로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높은 곳의 가지치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동일한 높이의 가지치기용 톱자루의 기본적인 길이가 기존 보다 대폭 줄고 작아짐으로써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높은 곳의 가지치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길이 가변되는 가지치기용 톱자루(10)에 있어서, 상기한 톱자루(10)는 길이가 짧은 3개 이상의 장대(11,12,13)가 다단으로 결합되고, 가장 선단으로 조립되는 장대(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함몰되는 요함부(131)를 형성하여 장대(11,12)를 고정하는 고정핀(112,122)이 상기 요함부(131)쪽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치기용 톱자루.
KR2020000030091U 2000-10-27 2000-10-27 가지치기용 톱자루 KR200220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91U KR200220692Y1 (ko) 2000-10-27 2000-10-27 가지치기용 톱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91U KR200220692Y1 (ko) 2000-10-27 2000-10-27 가지치기용 톱자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692Y1 true KR200220692Y1 (ko) 2001-04-16

Family

ID=7308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91U KR200220692Y1 (ko) 2000-10-27 2000-10-27 가지치기용 톱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905B1 (ko) 2014-04-07 2015-11-06 이원호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순 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905B1 (ko) 2014-04-07 2015-11-06 이원호 안전성이 강화된 전동 순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6620B1 (en) A cutting tool, particularly hedge shears
US4696107A (en) Pruning shears
FR2467353A1 (fr) Bati forme de profiles assembles de facon detachable par l'action d'un excentrique
CA2292705A1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GB2397546A (en) Improved hand shears
CA2444581C (en) Two-position quick-change saw
US6772522B1 (en) Quick disassembly hacksaw
US6223374B1 (en) Plier device having changeable tool members
KR200220692Y1 (ko) 가지치기용 톱자루
US20090265944A1 (en) Saw bow for handsaw
US6408606B1 (en) Rake having detachable body and handle
CA2048492C (en) Telescoping hacksaw frame
US20080052851A1 (en) Cleaning head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JPH0510595Y2 (ko)
US6108885A (en) Insertion tool
KR200261788Y1 (ko) 자전거용 절첩구
KR200206812Y1 (ko) 쇠톱날 고정틀
GB2449644A (en) Combined pivoted cutting tool and shovel
US20080295336A1 (en) Cutting tool having the function of a shovel
KR200391948Y1 (ko)
AU2007221924B2 (en) Key for a transport trolley
ITPN960035A1 (it) Tagliaunghie
JPH0453238Y2 (ko)
EP0862374B1 (en) Hinge between bone and crown of sunshades with a diameter larger than 2 meters
FR2860388A3 (fr) Structure amelioree de poignee extensible de cisailles a tailler les ha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