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812Y1 - 쇠톱날 고정틀 - Google Patents

쇠톱날 고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812Y1
KR200206812Y1 KR2020000018855U KR20000018855U KR200206812Y1 KR 200206812 Y1 KR200206812 Y1 KR 200206812Y1 KR 2020000018855 U KR2020000018855 U KR 2020000018855U KR 20000018855 U KR20000018855 U KR 20000018855U KR 200206812 Y1 KR200206812 Y1 KR 200206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fixing
hacksaw
blad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선
Original Assignee
오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선 filed Critical 오광선
Priority to KR2020000018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812Y1/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삭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를 절삭을 하기 위한 쇠톱을 고정시키는 쇠톱틀에 관한 것으로, 톱날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가지는 제1, 2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아치 형상의 제2 톱대와; 상기 제2톱대가 결합되는 제1톱대와; 상기 제1톱대의 일측에 연설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소정 부위에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고정하는 제3톱대로 이루어진 쇠톱날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쇠톱날의 길이에 맞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톱대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를 갖는 제2 톱대와; 상기 쇠톱날이 제1, 2고정부에 고정될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쇠톱날 고정틀은 제1고정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유동을 방지하여 쇠톱날의 부러짐을 방지하며 톱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쇠톱날의 길이가 상이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길이의 쇠톱을 구매하지 안아도 되어 비용의 절감 및 작성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쇠톱날 고정틀{.}
본 고안은 절삭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를 절삭을 하기 위한 쇠톱을 고정시키는 쇠톱틀에 관한 것이다.
쇠톱은 쇠파이프 또는 봉 등을 절단하기 위한 공구로서, 손잡이부 부착된 틀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쇠톱틀은 아치형을 이루며 그의 각 단부에는 쇠톱을 팽팽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얇고 기다란 쇠톱은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정수단의 몸체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짐에 의해 쇠톱틀과 결합하게 된다.
손잡이부는 플라스틱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쇠톱틀의 일단에 리벳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쇠톱은 2가지 이상의 길이로 제공되며, 작업자는 사용용도에 따라 그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종래의 쇠톱들은 길이가 서로 다른 쇠톱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조절방식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쇠톱날 고정틀은 끼움부의 일단에 너트가 체결되는 나사부를 갖고, 타단에 톱날의 일단이 끼워지는 고정편을 갖는 전방 고정구가 전단부에 결합되고,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틀체에 있어서, 상기 틀체의 전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끼움공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 고정구가 끼워지는 고정구 지지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전면 하단에는 후방 고정구가 끼워지는 삽입혼이 형성되며, 하단 측면에는 간격 조절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톱날의 타단이 끼워지는 고정편을 갖고 타측에 사각형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 나사부가 간격조절나사에 체결되는 기다란 후방고정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쇠톱 내지 손잡이부의 유격 내지 흔들림에 의한 문제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시중에 보급되는 쇠톱은 10' - 12'의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2'의 길이를 조절 나사를 회전하며 조절할 필요를 가진다. 이는 작업에 있어 불편한 요소가 된다. 또한 조절나사는 작업중 이완되기 쉽기 때문에 톱날이 빠지거나 유동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문제점에 대한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은 쇠톱과 나란히 연장되는 아치형상의 틀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하며, 쇠톱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유동이 없게 하여 사용상 편리하며 기능미가 향상된 쇠톱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길이조절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의 가이드부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쇠톱날 고정틀 100 : 제1톱대
110 : 고정홀 120 : 슬라이딩홀
200 : 제2톱대 200a : 고정돌기
210 : 제1고정부 211 : 제1고정볼트
212 : 가이드돌기 300 : 제3톱대
310 : 제2고정부 311 : 지지구
312 : 삽입홀 313 : 끼움부
314 : 제2고정볼트 315 : 나사
316 : 너트 400: 손잡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은 톱날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가지는 제1, 2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아치 형상의 제2 톱대와; 상기 제2톱대가 결합되는 제1톱대와; 상기 제1톱대의 일측에 연설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소정 부위에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고정하는 제3톱대로 이루어진 쇠톱날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쇠톱날의 길이에 맞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톱대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를 갖는 제2 톱대와; 상기 쇠톱날이 제1, 2고정부에 고정될 시에 유동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길이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의 가이드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400)와, 상기 손잡이(4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톱대(100)와, 상기 제1톱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쇠톱날의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톱대(200)와, 상기 제2톱대(2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쇠톱날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게 제1고정볼트(211)가 설치되는 제1고정부(210)와, 상기 쇠톱날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210)의 일측에 일체로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400)의 일측 소정부위에는 제3톱대(300)가 설치되며, 상기 제3톱대(300)의 하단에는 쇠톱날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31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310)에는 상기 제3톱대(300)의 하단에 지지구(311)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지지구(311)를 관통하는 4각형 상의 삽입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4각형 상의 삽입홀(312)에 끼움부(313)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313)의 일측에는 쇠톱날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고정볼트(314)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볼트(314)의 타측에는 상기 끼움부(313)가 상기 지지구(311)에 너트(3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31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쇠톱날을 쇠톱날 고정틀(10)에 끼우기 위해서는 제2톱대(2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부(21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212)의 내측으로 쇠톱날을 끼운 후 제1고정볼트(211)를 이용하여 쇠톱날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일측이 고정된 쇠톱날의 타측을 제3톱대(300)에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2고정부(310)의 제2고정볼트(314)를 쇠톱날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상기 끼움부(313)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315)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316)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구(311)에서 끼움부(3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쇠톱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파이프 또는 그 외의 물품을 절단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사용하다 쇠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쇠톱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의 역순으로 쇠톱을 쇠톱날 고정틀(10)에서 분리시키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서로 새로운 쇠톱날을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쇠톱날의 길이가 다를 경우 상기 끼움부(313)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315)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316)를 회전시켜 지지구(311)에서 끼움부(313)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제2고정볼트(314)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쇠톱을 분리하고, 제1고정부(210)에 고정되어 쇠톱날의 타측을 제1고정볼트(211)와 가이드돌기(212)에서 이탈시켜 쇠톱날을 쇠톱날 고정틀(10)에서 완전히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2톱대(2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톱대(100)의 내측으로 힘을 밀어 넣는 동시에 제1톱대(10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홀(110)에 상기 제2톱대(200)의 고정돌기(200a)가 끼워질 때까지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2톱대(200)를 제1톱대(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쇠톱날 고정틀(10)의 길이를 짧게 한 후 쇠톱날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순서로 쇠톱날을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쇠톱날 고정틀은 제1고정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유동을 방지하여 쇠톱날의 부러짐을 방지하며 톱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쇠톱날의 길이가 상이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길이의 쇠톱을 구매하지 안아도 되어 비용의 절감 및 작성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톱날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가지는 제1, 2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아치형상의 제2 톱대와; 상기 제2 톱대가 결합되는 제1톱대와; 상기 제1 톱대의 일측에 연설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소정 부위에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고정하는 제3톱대로 이루어진 쇠톱날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쇠톱날의 길이에 맞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톱대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를 갖는 제2 톱대와; 상기 쇠톱날이 제1, 2고정부에 고정될 시에 유동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톱날 고정틀.
KR2020000018855U 2000-06-30 2000-06-30 쇠톱날 고정틀 KR200206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55U KR200206812Y1 (ko) 2000-06-30 2000-06-30 쇠톱날 고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55U KR200206812Y1 (ko) 2000-06-30 2000-06-30 쇠톱날 고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812Y1 true KR200206812Y1 (ko) 2000-12-15

Family

ID=730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55U KR200206812Y1 (ko) 2000-06-30 2000-06-30 쇠톱날 고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8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786A (ko) 2016-12-06 2018-06-15 이해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절단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786A (ko) 2016-12-06 2018-06-15 이해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절단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421B1 (en) Multi-use scissors
US4558618A (en) Adjustable fence for a saw table or the like
US20030145472A1 (en) Reciprocating saw with flush cutting capability
US5341711A (en) Fingersaver
US4835869A (en) Hacksaw frame and blade holder
KR200206812Y1 (ko) 쇠톱날 고정틀
US20070107239A1 (en) Hack saw
DK1425125T3 (da) Skæreværktöj
US7269905B1 (en) Structure of a miniature hacksaw
US2307411A (en) Saw handle
US2556093A (en) Adjustable hacksaw frame
KR200181981Y1 (ko) 일체형 쇠톱틀
US9505070B2 (en) Hand saw
US3007503A (en) Saw handle construction
ATE381403T1 (de) Schneidwerkzeug-anordnung
US2612919A (en) Kink eliminator for handsaws
KR200343949Y1 (ko) 휨방지 가드를 구비한 쇠톱
US20040003697A1 (en) Headbox holder adapted for holding a headbox for cutting
KR200324506Y1 (ko) 톱날
KR19990016139U (ko) 톱대의 톱날 길이 조절장치
KR200238153Y1 (ko) 톱날보관용톱대
JP3576134B2 (ja) 携帯用電気丸鋸用平行定規
KR200220692Y1 (ko) 가지치기용 톱자루
KR960009352Y1 (ko) 실톱틀
KR200247045Y1 (ko) 쇠톱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