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512Y1 -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512Y1
KR200220512Y1 KR2020000031980U KR20000031980U KR200220512Y1 KR 200220512 Y1 KR200220512 Y1 KR 200220512Y1 KR 2020000031980 U KR2020000031980 U KR 2020000031980U KR 20000031980 U KR20000031980 U KR 20000031980U KR 200220512 Y1 KR200220512 Y1 KR 200220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seat ring
outlet hole
val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균
Original Assignee
이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균 filed Critical 이광균
Priority to KR202000003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51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 및 기체, 가스, 공기 등의 각종 유체를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밸브 케이싱(102)의 유입공(103)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출구공(104)을 통해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밸브 시트 링(102a)을 막아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107)이 힌지핀(107a)을 기점으로 개폐 가능하게 삽설된 체크밸브(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싱(102)은 유체가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유입공(103)과 출구공(104)으로 구성하되 상기 출구공(104)은 상기 밸브 시트링(102a)을 막기 위한 밸브판(107)의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출구공(104)을 통한 상기 밸브판(107)의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유체의 출구공(104)을 통한 밸브판(107)의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08)에 의한 밸브 시트링(102a)의 기밀유지 및 소음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Plange type swing check valve}
본 고안은 물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 및 기체, 가스, 공기 등의 각종 유체를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출구공을 통한 밸브판의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기밀유지가 확실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크밸브라 함은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시에는 밸브판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는 구조로서, 이에는 스윙형(swing type)과 리프트형(lift type)이 있는 바, 도1을 참조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스윙형 체크밸브(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스윙형 체크밸브(1)의 단면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케이싱(2)의 유체 유입공(3)과 출구공(4)의 각 단부로는 체결공(5a)(6a)이 천공된 플렌지부(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케이싱(2)의 일 측으로는 밸브 시트링(2a)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7)을 힌지핀(7a)으로 개폐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기 위한 또 다른 밸브 설치공(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 설치공(8)으로는 커버판(10)의 체결을 위한 플렌지(9)와 체결공(9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종래 체크밸브(1)는 밸브 케이싱(2)의 내부로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 조작되는 밸브판(7)의 크기보다 출구부(6)의 직경이 작아 이를 통한 설치가 곤란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 설치공(8)이 더 형성되어져야 하는 구조의 복잡성은 물론 밸브 설치공(8)으로 인하여 밸브 케이싱(2)의 전체 폭 예컨대 유체 유입공(3)의 플렌지부(5)와 출구공(4)의 플렌지부(6) 사이의 폭(L)이 자연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어 체크밸브가 전체적으로 비대하고 폭이 넓은 관계로 협소한 장소의 설치가 불가능하고, 또한 상기 밸브 설치공(8)을 통해 밸브판(7)을 설치한 후에는 별도의 커버판(10)으로 덮어주어야 하는 조립공수의 증가 및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체크밸브의 전체 코스트가 증가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밸브판(7)과 밸브 시트링(2a)이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재의 밸브판(7)이 힌지핀(7a)을 기점으로 개폐 조작시 금속재의 밸브 시트 링(2a)을 타격하게 되어 타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되고 타격부위의 마모로 인한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밸브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 케이싱의 출구공을 밸브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이를 통한 밸브판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의 설치를 위한 밸브 설치공이 불필요하고, 밸브 케이싱의 전체 폭이 좁아져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경량화 된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압력에 의해 밸브판이 개폐 조작되더라도 밸브 시트 링과의 마찰 소음이 방지되고 확실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스윙 체크밸브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체크밸브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체크밸브 102: 밸브 케이싱
102a: 밸브 시트링 103: 유입공
104: 출구공 105, 106: 플렌지부
107: 밸브판 107a: 힌지핀
108: 탄성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체크밸브의 특징은, 밸브 케이싱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출구공을 통해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밸브 시트 링을 막아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이 힌지핀을 기점으로 개폐 가능하게 삽설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싱은 유체가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유입공과 출구공으로 구성하되 상기 출구공은 상기 밸브 시트 링을 막기 위한 밸브판의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출구공을 통한 밸브판의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밸브 시트링을 차단하는 밸브판의 시트부로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압착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윙 체크밸브(1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 도3은 이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100)의 벨브 케이싱(102)의 양 단부로는 소정 직경의 유체 유입공(103)과 출구공(104)이 연통되어 있고, 유입공(103)과 출구공(104)으로는 배관용의 플렌지부(105)(106)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는 다수의 체결공(105a)(106a)이 뚫려 있다.
그리고 밸브 케이싱(102)의 내부로는 밸브 시트 링(102a)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107)이 힌지핀(107a)을 기점으로 유체의 통과시에는 유체 압력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고,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면 자체 하중에 의해 닫혀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경우 출구공(104)의 직경을 밸브판(107)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이 출구공(104)을 통해 밸브판(107)을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밸브판(107)을 밸브 케이싱(102)의 출구공(104)을 통해 삽설 고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 이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밸브 설치공을 더 형성하던 것에 비하여 밸브 케이싱(102)의 전체 폭 예컨대 도3과 같이 유입공(103)의 플렌지부((105)와 출구공(104)의 플렌지부(106)와의 폭(l)이 매우 좁아(납작)지게 되는 것이어서 좁은 공간에서의 체크밸브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링(102a)을 열고 닫는 밸브판(107)의 시트부로는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108)가 고온에서 압착 고정되어 있는 바, 유체의 압력 작용시에는 밸브판(107)이 열리면서 밸브 시트링(102a)을 개방하게되고, 유체의 압력 해제시에는 밸브판(107)의 자체 하중에 의해 힌지핀(107a)을 기점으로 낙하되면서 밸브 시트링(102a)을 다시 닫게되는데 이 때 탄성부재(108)에 의해 밸브 시트링(102a)과의 마찰 소음이 방지됨과 동시에 확실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게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밸브 케이싱(102)의 출구공(104)을 통해 시트부로 탄성부재(108)가 설치된 밸브판(107)을 집어넣고 힌지핀(107a)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러면 이 때 밸브 케이싱(102)의 밸브 시트링(102a)은 밸브판(107)에 의해 항상 닫혀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밸브판(107)의 조립이 완료되면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케이싱(102)의 양단 유입공(103)과 출구공(104)의 각 플렌지부(105)(106)로는 각각 연결 파이프(P)를 연결 설치 한다.
그런 다음 도시되지 않은 펌프의 작용으로 유체가 밸브 케이싱(102)의 유입공(103)을 통해 유입되면 이 때 유체 압력에 의해 밸브판(107)이 힌지핀(107a)을 중심으로 들리면서 밸브 시트링(102a)이 개방되어 유체는 출구공(104)을 통해 배출되어지고, 유체의 압력 해제시에는 자체 하중으로 낙하되는 밸브판(107)에 의해 밸브 시트링(102a)이 다시 막히게되어 유입공(103)의 방향으로는 유체의 역류가 완전히 차단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08)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개폐에 따른 소음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종래 체크밸브에 비하여 밸브판(107)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이 불필요함에 때 밸브 케이싱(102)의 전체 폭이 그 만큼 줄어 납작하게 되고, 또한 별도의 설치공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덮개판이 불 필요하게되어 체크밸브의 전체 하중이 가벼워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에 의하면 밸브 케이싱의 출구공을 통한 밸브판의 삽입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만큼 밸브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벼울 뿐 아니라 케이싱의 전체 폭이 좁아져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밸브판으로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이의 개폐 작용에 따른 밸브 시트링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밸브 케이싱(102)의 유입공(103)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출구공(104)을 통해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밸브 시트 링(102a)을 막아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107)이 힌지핀(107a)을 기점으로 개폐 가능하게 삽설된 체크밸브(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싱(102)은 유체가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유입공(103)과 출구공(104)으로 구성하되 상기 출구공(104)은 상기 밸브 시트링(102a)을 막기 위한 밸브판(107)의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출구공(104)을 통한 상기 밸브판(107)의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링(102a)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판(107)의 시트부로는 기밀유지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08)를 더 압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렌지형 스윙 체크밸브.
KR2020000031980U 2000-11-15 2000-11-15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KR200220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0U KR200220512Y1 (ko) 2000-11-15 2000-11-15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80U KR200220512Y1 (ko) 2000-11-15 2000-11-15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512Y1 true KR200220512Y1 (ko) 2001-04-16

Family

ID=7309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80U KR200220512Y1 (ko) 2000-11-15 2000-11-15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5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2337B2 (ja) 逆止弁及び逆止弁シート
US4605041A (en) Check valve
RU2354807C1 (ru) Узел створчатого клапана с урав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лучаях захлопывания шарнирной заслонки с высокой скоростью
KR101165464B1 (ko) 역류 방지기
KR200220512Y1 (ko) 플랜지형 스윙 체크밸브
KR100572341B1 (ko) 체크밸브 일체형 버터플라이 밸브
KR200161210Y1 (ko) 체크밸브
CN111379882B (zh) 止回阀结构
KR200370716Y1 (ko) 수도관용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KR200341356Y1 (ko) 수도관용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RU2201546C2 (ru) Задвижк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200244645Y1 (ko) 역류 방지 밸브
KR100591291B1 (ko) 역류 방지기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KR200239917Y1 (ko) 역지밸브
CN212564549U (zh) 内置式倾斜止回阀
CN219888810U (zh) 一种耐磨衬胶流体止回阀
JPS60211173A (ja) 緩閉式副弁付き急閉逆止め弁
KR100901543B1 (ko) 이중기밀부재가 구비된 체크-인 볼 밸브
KR20080002862U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CN211852904U (zh) 一种旋启式止回阀
KR200371272Y1 (ko) 역류 방지기
KR200141352Y1 (ko) 첵크밸브
KR200235752Y1 (ko) 첵크밸브
SU1196589A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