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19Y1 - 차륜용 소독조 - Google Patents

차륜용 소독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19Y1
KR200220419Y1 KR2020000029351U KR20000029351U KR200220419Y1 KR 200220419 Y1 KR200220419 Y1 KR 200220419Y1 KR 2020000029351 U KR2020000029351 U KR 2020000029351U KR 20000029351 U KR20000029351 U KR 20000029351U KR 200220419 Y1 KR200220419 Y1 KR 200220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wheel
rear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2020000029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19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역이 필요하거나 방역을 실시하기 위해 축사를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을 소독하기 위한 차륜용 소독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양측을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한 측판(20)과;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측판(20)의 전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20)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한 전후벽판(30)과; 상기 전후벽판(30)의 상단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각이 되게 하향 경사지게 한 진입판(40)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축사 소독에 따른 경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 및 이동시 사용의 편의를 제공토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륜용 소독조{Disinfecting bath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륜용 소독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방역이 필요하거나 가축방역을 실시하기 위해 축사를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을 소독하기 위한 차륜용 소독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집단으로 사육하게 되는 축사에서는 가축들의 전염병 예방에 대단히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도 광우병,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같은 전염병이 번지면서 대단히 많은 가축이 도태되기도 하고, 우리나라에서도 가축 전염병은 돼지나 닭등의 집단 폐사를 초래하기도 하면서 사회 문제화 된바 있다.
이와같이 특히 집단으로 사육되는 개별 가축들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축사를 방역하기도 하고, 각 가축들은 예방 주사를 놓아 집단 폐사를 방지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축사의 방역시 통상 규모가 작은 축사는 직접 사람이 방역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정기적으로 또는 대규모로 전염병이 난무할 경우에는 행정관서에서 방역 차량이 나와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역 차량을 이용한 방역시 농장을 출입하는 방역 차량은 물론 사료, 분료, 가축 수송차량과 방역약품을 판매하는 차량 및 진료차량 등도 전염병에 오염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소독을 하게 되는데 특히 차량의 바퀴는 소독이 난해하여 현재는 도 1에서와 같은 부직포(1)를 차량이 지나는 위치에 깔고 이 부직포(1)에 소독약을 뿌려 부직포(1)가 흡수되게 한 후 그 위로 차량 바퀴가 지나게 하므로서 제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부직포(1)는 한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곤란한 일회용이므로 축산 수송차량이 가는 곳마다 이러한 부직포(1)를 구비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역시마다 새로운 부직포(1)를 구비해야 하는 대단히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부직포(1)는 흡수성이 강하므로 사용 직후 처리가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재는 별도의 처리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아무렇게나 부주의하게 폐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직포(1)의 처리는 부직포(1)내에 약성분이 장기간 유지되므로 자칫 가축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수도 있고, 더욱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토록 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륜 소독용 부직포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륜 소독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판 20 : 측판
30 : 전후벽판 40 : 진입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을 상향 경사지게 하면서 차륜폭보다는 큰 폭으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는 측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판의 전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전후벽판과; 상기 전후벽판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의 전후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각이 되게 하향 절곡되게 한 진입판으로 구비되는 구성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륜용 소독판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베이스판(10)과 측판(20)과 전후벽판(30)과 진입판(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구성에서 베이스판(10)은 단순한 평판의 구조로서, 폭은 차륜폭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측판(2)은 베이스판(10)의 양측단부를 외측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서, 양측의 측판(2)은 서로 마주보면서 소정의 높이로 구비된다.
또한 전후벽판(30)은 베이스판(10)의 전후단부를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도록 하되 측판(2)보다는 완만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면서 양측단부는 측판(2)의 전후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베이스판(10)과 측판(20) 및 전후벽판(30)의 구성에 의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요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요부에 소정의 높이로 차륜 제독용 소독약이 담겨진다.
한편 진입판(40)은 전후벽판(30)의 상단부로부터 완만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베이스판(10)이 안착되는 지면에 동시 안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부식과 휨에 강한 금속재를 사용토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와는 달리 금속의 판재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충격이나 과중한 중량에도 변형이 되지 않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전후벽판(30)과 진입판(40)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면서 전후벽판(30)의 상단부가 급격한 경사각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고, 이렇게 절곡된 면과 맞붙는 면과 이 면의 상단부를 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절곡시켜 연장되게 하여 진입판(40)을 구비하므로서 이들 중간의 서로 맞붙는 면이 보강부를 형성토록 하는 것도 본 고안의 강성 유지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소독조는 일단 차량에 싣고 다닐 수가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차량에 다량의 부직포를 가지고 다닐 필요도 없고, 축사에서 각자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한번 구비하면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금전적 부담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축사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베이스판(10) 상측의 측판(20)과 전후벽판(30)으로 감싸진 요부로 소독용 액을 채우게 되면 간단히 설치가 완료되며, 이러한 소독판의 일측의 진입판(40)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방역 차량의 전륜부터 진입토록 하므로서 차륜(50)의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진입판(40)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되도록 하면 차륜(50)의 진입시 전후벽판(30)의 상단부에까지 손쉽게 차륜(50)이 오르면서 본 고안의 소독조를 차량이 지나게 될 때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가 있게 한다.
특히 전후벽판(30)과 진입판(40)의 사이로 보강재를 구비하게 되면 더욱 강성이 증강되므로 차량의 통과시에도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내구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소독이 완료된 직후에는 소독조에 채워진 소독액을 축사의 주변에 뿌려주므로서 소독액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생성이 전혀 없으므로 환경 보호 차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소독조는 차랑에 싣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축사 소독에 따른 경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 및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요부에 채우게 되는 소독용액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다 사용한 이후에는 축사 주변에 뿌려주므로서 조금의 소독용액도 불필요하게 소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직후 폐기물 생성이 전혀 없으므로 환경 보호에 적극 일조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양측을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한 측판(20)과;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측판(20)의 전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20)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한 전후벽판(30)과;
    상기 전후벽판(30)의 상단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각이 되게 하향 경사지게 한 진입판(40);
    으로 구비되는 차륜용 소독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은 폭이 차륜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차륜용 소독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과 측판(20)과 전후벽판(30)과 진입판(40)은 부식과 휨에 강한 금속재로서 이루어지는 차륜용 소독조.
KR2020000029351U 2000-10-20 2000-10-20 차륜용 소독조 KR200220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351U KR200220419Y1 (ko) 2000-10-20 2000-10-20 차륜용 소독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351U KR200220419Y1 (ko) 2000-10-20 2000-10-20 차륜용 소독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19Y1 true KR200220419Y1 (ko) 2001-04-16

Family

ID=7309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351U KR200220419Y1 (ko) 2000-10-20 2000-10-20 차륜용 소독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27B1 (ko) 2006-03-13 2008-02-27 정영인 차량용 소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27B1 (ko) 2006-03-13 2008-02-27 정영인 차량용 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795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JP2011067498A (ja) 浄化装置
PL3624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strus in swine
KR200220419Y1 (ko) 차륜용 소독조
US20140060450A1 (en) Cattle footbath
JP7475730B2 (ja) 消毒装置
KR101179314B1 (ko) 방역조
KR200408106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KR101051656B1 (ko) 가습기 겸용 소독기
JP5235954B2 (ja) 車両消毒装置
KR100805827B1 (ko) 차량용 소독장치
KR101367416B1 (ko) 차량 방역시스템
KR200392987Y1 (ko) 농업용 운반차량의 소독장치
JP2007105085A (ja) 消臭洗浄スプレー
KR102574728B1 (ko)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KR200464942Y1 (ko) 가축용 브러쉬
KR101314280B1 (ko)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
KR20090025324A (ko) 에어커튼을 장착한 터널형 차량소독기
KR102454924B1 (ko) 발 소독 장치
KR200329616Y1 (ko) 차량 바퀴용 소독조
KR200414171Y1 (ko) 고정방역기 측면약대 탄성장치
CN207340771U (zh) 一种金铁锁育苗床
KR20120123809A (ko) 구제역 방제시스템
KR20170055105A (ko) 가축 전염병의 방역 및 차단 시스템
JP2002087148A (ja) 家畜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