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314B1 - 방역조 - Google Patents

방역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314B1
KR101179314B1 KR1020120015826A KR20120015826A KR101179314B1 KR 101179314 B1 KR101179314 B1 KR 101179314B1 KR 1020120015826 A KR1020120015826 A KR 1020120015826A KR 20120015826 A KR20120015826 A KR 20120015826A KR 101179314 B1 KR101179314 B1 KR 10117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ain body
drug
present
quaran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2001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사를 드나드는 사람 또는 차량 등에 대해 방역을 실시할 수 있는 방역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상기 방역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약제의 넘침을 방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셀은 수용된 약제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역조{DISINFECTING BATH}
본 발명은 방역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사를 드나드는 사람 또는 차량 등에 대해 방역을 실시할 수 있는 방역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 돼지, 닭 등 가축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축사를 중심으로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급성 전염병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이러한 급성 전염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일단 발병하면 살처분 외에는 치료방법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사육농가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다.
상기 급성 전염병은 예방이 가장 최선인 바, 현재 정부에서는 소, 돼지 등 가축사육 농가에 대해 주 1회 이상 축사 내외부 소독을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고, 축사 출입시 옷을 갈아입고 신발을 소독하는 등 차단방역에 치중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차단방역법으로는 방역제(소독제)를 축사 출입구에 살포해 놓고 축사를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이 소독제를 밟고 지나가게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220419)에는 차량용 소독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소독조는 금속제로 제조되고 차량이 축사를 통과할 때 소독조에 저장된 약제가 차륜에 도포되어 소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차량의 통과시 약제가 소독조를 넘쳐 흐를 수 있어 약제의 소모가 많고 넘쳐 흐른 약제의 사후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방역용 약제를 수용하여 용이하게 방역할 수 있는 방역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방역조는 상기 방역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약제의 넘침을 방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셀은 수용된 약제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역조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약제 셀에 수용된 약제를 흡수하는 방역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역조는 상기 본체의 이면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역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관통공을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방역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역조는 합성고무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 측벽 및 약제 셀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역조의 본체 크기는 900x5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방역조는 상기 방역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약제의 넘침을 방지하는 측벽; 상기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약제 셀에 수용된 약제를 흡수하는 방역매트; 및 상기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방역에 있어서 약제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약제의 방역조 외부로의 누출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약제 셀을 구비하고 있어 수용된 약제가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복수개로 결합될 수 있어 넓은 면적의 방역작업에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에 의해 방역조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역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역조(100)는 상기 방역조(100)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약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 1 측벽(120) 및 제 2 측벽(130)으로 이루어진 측벽(120,130)과, 상기 측벽(120,13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10)를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되어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셀(140, cel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약제 셀(140)은 인접하는 약제 셀(140)과의 구획을 위해 제 1 측벽(141)과 제 2 측벽(1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100)에서 상기 본체(110)의 크기는 약 900x500mm이나, 상기 크기 치수는 제조공정 및 실제 사용에서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형성된 것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역조(100)는 합성고무로 제조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질의 합성수지 및 금속제로 제조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100)에서 상기 본체(110) 상에 형성된 측벽(120,130)은 약제의 넘쳐 흐름을 방지하고 사람이나 차량의 무게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높이인 약 20mm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높이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 측벽(120,130)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방역조(100)의 사용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100)의 본체(110)에 형성된 복수의 약제 셀(140)은 방역조(100)에 주입된 약제를 각각의 약제 셀(140)에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약제 셀을 구성하는 측벽(141,142)은 사용상의 편의와 그 두께를 고려할 때 본체(110)의 측벽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약제 셀(140)은 주입된 약제가 방역조(100)가 설치되는 지면(地面)의 경사 등으로 인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약제 셀(140)의 형상을 정사각형의 격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 셀(140)은 약제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약제를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약제 셀(140)의 경우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측벽(141,142)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본체(110)의 측벽(120,130)으로 대체하였으나, 본체(110)의 측벽(120,130)과 병치하여 측벽(141,14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방역조(100)는 실시형태에 따라 방역조(100)를 복수개 연결하여 큰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 부호 150과 160은 각각 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다. 복수의 방역조(100)가 결합된 방역조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 2 실시예로서 후술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역매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역매트(101)는 방역조(100)와 결합되는 경우 약제 셀(140)에 수용된 약제를 흡수한다. 그리고 방역조(100)와 결합되어 축사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람이나 차량이 방역매트(101)를 밟고 지나가는 경우 약제가 사람이나 차량에 묻혀 방역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방역매트(101)는 약제를 흡수함유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의 형태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를 이용한 부직포로 방역매트(101)를 제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의 이면(裏面)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역조(100)는 축사 출입구의 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방역조(100)와 지면과의 접촉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방역조(100)가 지면에 설치될 때 지면에서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이면을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하지 않고 본체(110) 표면에 형성된 약제 셀(140)의 측벽(141,142)의 형상을 갖는 미끄럼 방지부재(170)를 방역조(100)의 이면에 형성하였다. 또한, 본체(110)의 이면에서 본체(110)의 측벽(120,130)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미끄럼 방지부재(180)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80)는 사람이나 차량이 측벽(120,130)을 밟고 지나갈 때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기능도 아울러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부재(170,180)는 방역조(100)의 지면에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적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방역조(100)의 측벽(120,130)에 의해 형성된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방역매트(101)가 방역조(100)의 상부에서 방역조(100)와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방역매트(101)가 방역조(100)에 결합되기 전에 약제가 방역조(100)의 약제 셀(140)에 골고루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역조(100)에 결합된 방역매트(101)를 축사의 출입구에 설치하였을 때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이 방역매트(101)를 밟고 지나감으로써 약제가 신발이나 차륜에 묻혀져서 방역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람이나 차량 등이 방역조(100)에 결합된 방역매트(101)를 밟을 때 사람이나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해 방역매트(101)에 흡수된 약제가 신발이나 차륜에 묻혀지지만, 방역매트(101)의 완충작용에 의해 약제가 방역조(100)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눌려질 때 방역매트(101)에 흡수된 약제는 약제 셀(140)로 방출되고, 하중이 해방되는 경우 방역매트(101)는 약제 셀(140)로부터 약제를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조는 약제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약제의 외부 유출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I-I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방역매트(101)가 방역조(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역매트(101)의 높이의 상한은 방역조(100)의 측벽(120,130)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방역매트(101)의 높이가 방역조(100)의 측벽(120,130)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방역매트(101)에 흡수된 약제가 방역조(1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사용환경에 따라 방역매트(101)가 방역조(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방역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역조(100)는 선택적으로 그 크기를 확장하기 위해 본체(110)의 가장자리의 측면에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관통공(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110)의 돌출부(150)와 관통공(160)을 결합하여 그 크기를 계속 확대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축사의 출입구는 축사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고, 이러한 설치 규모의 차이에 대응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방역조(100)를 서로 결합하여 그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방역조(100)를 결합하는데 있어 돌출부(150)와 관통공(160)을 이용하였지만, 복수의 방역조(10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상관이 없다. 도 7에서의 도면 부호 190은 돌출부(150)와 관통공(160)이 결합된 결합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돌출부(150)와 관통공(160)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약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와 방역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역매트(201)는 실시예 1에서의 방역매트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서는 방역조(200)의 본체(210)에 약제 실(240)이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지 않고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역조(200)는 그 설치위치가 평지인 경우 약제의 편중현상이 없을 것이므로 약제 셀(240)이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지 않아도 사용상 문제점이 없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약세 셀(240)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약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위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변형과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가장 광범위한 해석과 발명사상 내에서 모든 변형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200 : 방역조 101, 201 : 방역 매트
110, 210 : 본체 120, 220 : 제 1 측벽
130, 230 : 제 2 측벽 140, 240 : 약제 셀
141 : 약제 셀의 제 1 측벽 142 : 약제 셀의 제 2 측벽
150, 250 : 돌출부 160, 260 : 관통공
170, 180 : 미끄럼 방지부재 190 : 결합부

Claims (8)

  1.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방역조에 있어서,
    상기 방역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약제의 넘침을 방지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셀;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셀은 수용된 약제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역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약제 셀에 수용된 약제를 흡수하는 방역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역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방역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관통공을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방역조가 연결되는 방역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조는 합성고무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 측벽 및 약제 셀은 일체로 형성된 방역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크기는 900x500mm인 방역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관통공을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방역조가 연결되는 방역조.
  8. 삭제
KR1020120015826A 2012-02-16 2012-02-16 방역조 KR10117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26A KR101179314B1 (ko) 2012-02-16 2012-02-16 방역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826A KR101179314B1 (ko) 2012-02-16 2012-02-16 방역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314B1 true KR101179314B1 (ko) 2012-09-03

Family

ID=4707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826A KR101179314B1 (ko) 2012-02-16 2012-02-16 방역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847B1 (ko) 2019-05-20 2020-02-24 김영길 방역용 매트
KR102080846B1 (ko) 2019-05-15 2020-02-24 김영길 발판용 방역매트
KR20200090057A (ko) 2019-01-18 2020-07-28 김영길 방역용 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24Y1 (ko) 2000-11-21 2001-04-16 정문일 발굽 소독조
KR200252542Y1 (ko) 1999-05-07 2001-11-16 박종한 축사용 소독 발판
KR200366571Y1 (ko) 2004-08-16 2004-11-06 이승원 축사용 소독조
KR100805827B1 (ko) 2006-03-13 2008-02-27 정영인 차량용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42Y1 (ko) 1999-05-07 2001-11-16 박종한 축사용 소독 발판
KR200220524Y1 (ko) 2000-11-21 2001-04-16 정문일 발굽 소독조
KR200366571Y1 (ko) 2004-08-16 2004-11-06 이승원 축사용 소독조
KR100805827B1 (ko) 2006-03-13 2008-02-27 정영인 차량용 소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57A (ko) 2019-01-18 2020-07-28 김영길 방역용 매트
KR102080846B1 (ko) 2019-05-15 2020-02-24 김영길 발판용 방역매트
KR102080847B1 (ko) 2019-05-20 2020-02-24 김영길 방역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314B1 (ko) 방역조
AU2019330774B9 (en) Bee feeder having labyrinthine portal
KR200412795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CO6640212A2 (es) .tejido reticular que contiene insecticida
Hall et al. Prolonged anthelmintic effect of closantel and disophenol against a thiabendazole selected resistant strain of Haemonchus contortus in sheep
US7842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medication to a hoof
US20160015844A1 (en) Sanitizing Floor Mat
CN214028359U (zh) 用于防疫的一次性车垫
KR102368952B1 (ko) 반려 동물용 유골함
KR102080847B1 (ko) 방역용 매트
KR200408106Y1 (ko) 소의 발굽장애 예방용 세족기
KR20200090057A (ko) 방역용 매트
KR102080846B1 (ko) 발판용 방역매트
NL1039890C2 (nl) Klauwen sproeimat.
KR200456038Y1 (ko) 차량에 구비된 방역 및 소독장치
KR200220419Y1 (ko) 차륜용 소독조
KR102203547B1 (ko) 연막 소독기가 구비된 시신 이송용 위생팩
KR101270600B1 (ko) 출입자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장 및 부화장 출입자 소독 방법
CN204762960U (zh) 组合式捕虫装置
KR101367416B1 (ko) 차량 방역시스템
US20140366812A1 (en) Animal protective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7624793A (zh) 一种降低病虫害抗药性的农药制剂
KR20120108634A (ko) 가축방역용 처리장치
CN105475371A (zh) 一种植物用绿色杀虫剂
TWM601063U (zh) 消毒踏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