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354Y1 - 어로용 통발 - Google Patents

어로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354Y1
KR200220354Y1 KR2019980028159U KR19980028159U KR200220354Y1 KR 200220354 Y1 KR200220354 Y1 KR 200220354Y1 KR 2019980028159 U KR2019980028159 U KR 2019980028159U KR 19980028159 U KR19980028159 U KR 19980028159U KR 200220354 Y1 KR200220354 Y1 KR 200220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frame
trap
fishing
n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821U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2019980028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3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35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측의 환형골조에 지주를 고정시에 고정부가 외향되게 하고 거물망과 지주를 결속줄로 결속함으로서 어로시 그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게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고 적재시 보다 많은 량의 통발을 적재하도록 한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측과 중간부위에 환형골조(1)를 위치시키고 환형골조(1)에 다수개의 지주(2)를 고정하고 그물망(3)을 씌우는 통상의 어로용 통발(A)에 있어서,
환형골조(1) 내측으로 지주(2)를 내입하고 상하측 환상골조(1)에 지주(2)의 끝단(2a)이 환형골조(1)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고정하고 고정부(4) 외측의 그물망(3)과 고정부(4)를 결속줄(5)로 결속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어로용 통발
본 고안은 주로 게 또는 어류 포획용 대형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은 상하측의 환형골조에 지주를 고정시에 지주의 끝단을 환형골조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물망과 지주를 결속 줄로 결속함으로서 어로시 그물망의 파손을 방지하고 게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며 적재시 보다 많은 량의 통발을 적재하도록 한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어로용 통발은 상하측의 환형골조에 지주를 고정함에 있어서 지주의 끝단이 환형골조의 내부로 결속하여 이를 용접하고 그물망을 씌워서 사용하였다.
이는 어로 작업시 그물망이 조류에 의해서 흔들거리고 돌출바위와 같은 장애물 등에 쉽게 걸려서 통발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통발의 지주 고정부가 내향으로 되어있어 그물망의 경사면이 급하게 이루어져 게의 접근이 어려웠다.
이러한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으나 짐작키로는 그물망이 조류에 흔들리거나 그물망이 급경사지면 게가 경계하는 탓에 포획이 어려운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통발을 갑판에 올려 내부의 포획물을 수거시에 작업자의 손과 장갑이 걸리게 되어 부상을 입게되며 이를 운반 시에도 지주에 환형골조가 포개지게 되어 많은 수의 통발을 포개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그물망의 파손 등을 줄이면서도 게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고 통발의 적재가 용이토록 한 새로운 어로용 통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어로용 통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설치와 사용성이 더욱 편리하고 실용적인 어로용 통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어자원이 줄어드는 가운데 어획고를 올리기 위해서는 어구가 좋아야하고 출어시에 많은 량의 어로용 통발을 적재하여야 하는바, 통상의 어로용 통발은 어로 작업시 게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야하면서도 운반 시에 많은 수의 통발을 포개는 것이 가장 절실한 해결 문제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기존의 어로용 통발을 개량한 것으로서 상하측의 환형골조에 지주를 고정시에 지주의 끝단이 환형골조 외부에 위치되게 하고 그물망과 지주를 결속줄로 결속함으로서 어로시 그물망의 파손을 방지하고 게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며 적재시 보다 많은 량의 통발을 적재하도록 하는 어로용 통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발지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통발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적재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어로용 통발의 적재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A : 통발 1 : 환형지주
2 : 지주 2a : 끝단
3 : 그물만 4 : 고정부
5 : 결속줄
도 1은 본 고안의 통발골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통발 정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측과 중간부위에 환형골조1를 위치시키고 환형골조1에 다수개의 지주2를 고정하고 그물망3을 씌우는 통상의 어로용 통발A에 있어서.
환형상골조1 내측으로 지주2를 내입하고 상하측 환형골조1에 지주2의 끝단2a이 환형골조1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고정하고 고정부4 외측의 그물망3을 고정부4와 결속줄5로 결속하는 구성이다.
이때 고정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주2의 끝단2a을 절곡하여 환형지주1와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하측의 환형골조1에 지주2를 내입하여 지주2의 끝단2a이 환형골조의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고정하고 외부에 그물망3을 씌운 다음 거물망3과 고정부4를 결속줄5로 고정함으로서 본 고안의 어로용 통발A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어로용 통발A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2가 환형골조1 내측에 위치되고 고정부4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그물망3의 하단부가 통발 내측으로 스무스하게 곡선부6을 형성하게 되며 고정부4와 그물망3을 결속줄5로 결속하여 그물망3을 지주2에 완전히 밀착 고정함으로서 어로시 조류에 영향에 의해서 그물망3의 흔들림을 대폭 감소함으로서 그물망3의 하단부가 스무스하게 곡선부6을 유지하게되어 게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며 어획물 수거시에도 고정부4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그물망3의 하단부가 통발 내측으로 스무스하게 곡선부6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돌출바위등의 장애물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통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성된 통발A을 적재시 적재되는 통발의 고정부가 하측의 통발 고정부 상측까지 완적히 포개지므로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은 종래의 통발 적재상태와 대비하면 보다 안정되게 많은 량을 적재할 수 있어며 통발의 적재량은 대략 40%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적재상태의 일실시예로서 40피트의 콘테이너 내에 종래의 통발은 35개 포개어 9줄 적재하였어나 상기의 통발은 65-70개를 포개어 9줄로 적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어획고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어로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기존의 어로용 통발보다 월등히 많은 량을 적재할 수 있게되므로 물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는 실용적인 어로용 통발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측과 중간부위에 환형골조1를 위치시키고 환형골조1에 다수개의 지주2를 고정하고 그물망3을 씌우는 통상의 어로용 통발A에 있어서,
    환형골조1 내측으로 지주2를 내입하고 상하측 환상골조1에 지주2의 끝단2a이 환형골조1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고정하고 고정부4 외측의 그물망3과 고정부4를 결속줄5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KR2019980028159U 1998-12-28 1998-12-28 어로용 통발 KR200220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59U KR200220354Y1 (ko) 1998-12-28 1998-12-28 어로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59U KR200220354Y1 (ko) 1998-12-28 1998-12-28 어로용 통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21U KR20000014821U (ko) 2000-07-25
KR200220354Y1 true KR200220354Y1 (ko) 2001-05-02

Family

ID=6950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159U KR200220354Y1 (ko) 1998-12-28 1998-12-28 어로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3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21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480B2 (en) Collapsible crustacean trap
US7913448B2 (en) Traps for crabs or lobsters
US3795073A (en) Collapsible trap for crabs and the like
US8336250B2 (en) Portable large animal trap and method
US6267079B1 (en) Fish cage
US3786593A (en) Foldable trap
US3440758A (en) Crab trap
CA2152026A1 (en) Collapsible lobster trap
KR200220354Y1 (ko) 어로용 통발
US20020139032A1 (en) Flexible fish landing net
JP4962579B2 (ja) 干しかご
CA2425964C (en) Cage for trapping crustaceans
KR100846063B1 (ko) 어류 포획망
KR200430062Y1 (ko) 어로용 통발
KR19990014314U (ko) 낙지잡이통발
US3427742A (en) Foldable frame construction for crab pots and the like
CN202425472U (zh) 海鲜诱捕笼
CN219248963U (zh) 捕虾笼
KR20090011703U (ko) 낙지잡이용 통발
US3069803A (en) Fish-traps
KR960001741Y1 (ko) 어로용 통발
WO2009145639A1 (en) Fish and lobster trap
JP2019038563A (ja) 梱包体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及び梱包体
SU1666009A1 (ru) Садок дл живой рыбы
JPH06284838A (ja) いけすの天井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