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59Y1 -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59Y1
KR200220159Y1 KR2020000032924U KR20000032924U KR200220159Y1 KR 200220159 Y1 KR200220159 Y1 KR 200220159Y1 KR 2020000032924 U KR2020000032924 U KR 2020000032924U KR 20000032924 U KR20000032924 U KR 20000032924U KR 200220159 Y1 KR200220159 Y1 KR 200220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spray nozzle
water spray
eli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일
고로우 다나까
오사무 나가오
Original Assignee
김순일
오사무 나가오
고로우 다나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일, 오사무 나가오, 고로우 다나까 filed Critical 김순일
Priority to KR2020000032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59Y1/ko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인쇄공장이나 섬유공장 및 고집적화, 고밀도화된 정밀가공공정을 거치는 전자기판(PCB) 공장 등의 특수 산업장내의 정전기 예방 및 섬유조직 변화 방지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물분무 노즐로 물을 분출 무화시키고 공기를 엘리미네이터 및 필터로 통과시켜 완전히 기화 증발시키므로서 물의 직접 분사에 의한 과포화 결로현상 및 백분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전자제품의 부식 및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게 청정한 가습과 필요한 습도조절이 가능하며 가열에 따른 직접 에너지가 불필요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 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케이스(1)의 전면에 공기 흡입공(2), 습공기 유출공(3)과 기기를 콘트롤하는 전원스위치(4a)와 습도조절 볼륨(4b)이 부착된 습도조절기(4). 팬모터와 펌프모터를 구동시키는 동작 스위치부(5)가 형성되고 케이스(1) 내부로는 펌프모터(6)와 물순환수조(7)를 착설하되 물순환수조(7)의 일측면으로는 물공급관(8)이 펌프모터(6)를 통하여 물분사 노즐(9)과 연결되고 물공급관(8) 말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설치되며, 상기 물순환수조(7)와 물분사 노즐(9) 사이에는 격판(11)이 형성되어 물분사실이 형성되며, 상기 물분사노즐(9) 상단으로는 엘리미네이터판이 다수개 중첩된 엘리미네이터부(12)와 여과필터(13)가 설치되며 상부로는 공기 흡입용 팬모터(14)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humidifier}
본 고안은 공기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인쇄공장이나 섬유공장 및 고집적화, 고밀도화된 정밀가공공정을 거치는 전자기판(PCB) 공장 등의 특수 산업장내의 정전기 예방 및 섬유생산공정에 필요한 습도제어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물분무 노즐로 물을 분출 무화시키고 흡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가습모듈인 엘리미네이터로 물을 기화되지 않은 물은 제거시켜 완전히 기화 증발된 공기를 실내에 방출하므로서 물의 직접 분사에 의한 과포화 결로현상 및 증기가습식과 초음파 가습식에서 나타나는 물방울에 의한 백분현상을 방지하고 실내공기의 먼지를 물의 분사에 의하여 제거하므로서 청정한 공기에 의한 가습과 필요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하며 가열에 따른 직접 에너지가 불필요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 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절기에는 난방에 따라 습도가 내려가서 공기가 건조해지고 이에 따라 쾌적한 생활이 어려우며 특히 산업장 등에서는 정전기가 발생하여 기기의 고장 및 오작동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가습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올려줄 필요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가습기는 히터 및 초음파 가열로 수도의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히터로 수조를 가열하는데 따른 시간낭비 및 전기 등의 직접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물의 직접분사로 물방울 및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는 과포화 결로현상으로 습도에 예민한 산업장내 전자기기 부품의 부식현상 및 오동작이 발생하였고 특히 초음파식은 물속의 칼슘, 마그네슘까지 분산시켜 하얀가루(백분)가 전자부품 및 섬유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잡균이 공기중에 방출되어 실내에 균이 퍼지는 등 청정하지 못한 가습효과에 따라서 사전 수처리가 요구되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고안으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56580호 '공기 조화식 가습기'(공고일자:1991.2.8, 공고번호 20-1991-000726호)가 있으나 이는 엘리미네이터에 물을 직접 분사하므로서 물이 직접 공기와 같이 비산하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교환장치가 설치되므로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물의 비산도 완전히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깨끗한 공기로의 가습 및 적절한 습도조절이 필요한 특수산업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습효과를 얻기 위하여 물의 직접방사로 인한 결로현상이나 백분의 산포를 극소화하기 시키고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분무 노즐로 물을 균등하게 분사시켜 무화시키고 상승하는 기류에 함께 비산하는 물을 엘리미네이터와 필터를 통과시켜서 통과되는 공기가 완전히 기화되므로서 과포화 결로(結露)현상과 백분(白粉)현상을 제거하고 청정한 공기의 가습효과를 얻게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엘리미네이터부를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엘리미네이터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2:공기흡입공 3:습공기유출공 4:습도조절기
5:동작스위치부 6:펌프모터 7:물순환수조 8:물공급관
9:물분사노즐 10:솔레노이드 밸브 11:격판
12:엘리미네이터 13:여과필터 14:팬모터 15:입수관
16:배수관 17:여과망 18:전면투시창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수조의 물을 물분무 노즐로 분사시켜 기화된 습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가습효과를 얻는 산업장용 가습기에 있어서, 케이스(1)의 전면에 공기 흡입공(2), 습공기 유출공(3)과 기기를 콘트롤하는 전원스위치(4a)와 습도조절 볼륨(4b)이 부착된 습도조절기(4). 팬모터와 펌프모터를 구동시키는 동작 스위치부(5)가 형성되고 케이스(1) 내부로는 펌프모터(6)와 물순환수조(7)를 착설하되 물순환수조(7)의 일측면으로는 물공급관(8)이 펌프모터(6)를 통하여 물분사 노즐(9)과 연결되고 물공급관(8) 말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설치되며, 상기 물순환수조(7)와 물분사 노즐(9) 사이에는 격판(11)이 형성되어 물분사실이 형성되며, 상기 물분사노즐(9) 상단으로는 엘리미네이터판이 다수개 중첩된 엘리미네이터부(ELIMINATOER)(12)와 여과필터(13)가 설치되며 상부로는 공기 흡입용 팬모터(1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 공기 조화식 가습기이다.
미설명 부호 15는 입수관, 16은 배수관, 17은 여과망, 18은 전면 투시창이다.
또한 상기 물순환수조(7) 일측으로는 볼탑의 작동으로 수도로부터 공급받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15a)가 설치된 입수관(15), 개폐 밸브(blow-off valve)(16a)가 설치되어 물을 배출 시키는 배수관(16)이 설치되어 물순환수조(7)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물을 순환시킨후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자동 급배수 기능을 하며, 물순환수조(7) 일측으로는 물공급관(8)이 펌프모터(6)를 통하여 물분사 노즐(9)과 연결되고 물공급관(8) 말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물공급관(8)을 개폐시켜서 물분사노즐(9)로 물이 분사되게 하며 실내습도감지기에 의해 물분사를 연동시켜 펌프모터(6 )와 팬모터(14 )의 전원을 온오프시켜서 자동으로 제어하게 하였다.
격판(11)은 물순환수조(7)와 엘리미네이터부(12) 사이의 분사실에 위치하여 물분사노즐(9)로 부터 분무되는 물과 팬모터(14)의 작동으로 흡입된 공기가 분사되는 물과 원활하게 접촉하게 하고 엘리미네이터부(12)로 부터 응축되어 환류되거나 공기와 혼합되지 않은 물방울이 물순환수조(7)로 환류되어 집결되게하는 기능을 한다.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내구성 있는 엘리미네이터부(12)는 흡입된 유통공기와 물분사 노즐(9)로 부터 분사되는 가습수가 혼합된 습공기가 필터링되지 아니하고 직접 산업장의 실내로 토출될때 과습되어 포화상태가 되고 물방울이 생겨서 결로현상에 의하여 전자제품이나 부품 등의 기기가 부식되거나 오작동되는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제수판(除水板)으로서, 공기가 이곳을 지날때 와류현상을 일으키게 하여 표면으로 물을 증발시켜 기류를 발생시키므로서 기화증발시키게하며 기회되지 않은 물은 제수판을 따라 응축되어 자연 낙하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엘리미네이터부(12)는 홈(12a)(12b)을 각각 형성하고 지그재그로 일정위치에서 절곡되어 경사면이 형성된 파상형의 가지는 엘리미네이터판이 다수개 중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물분사 노즐(9)로부터 분사된 물방울과 공기흡입공(2)으로 흡입된 공기가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공기중에서 기체화되고 남은 물방울은 경사면을 갖는 엘리미네이터판이 다수개 삽착된 엘리미네이터부(12)의 통로(12c)를 통과하면서 경사면에 부딪쳐서 엘리미네이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응축되고 자중에 의하여 홈(12a)(12b)에 낙하되며 기체화된 공기만을 필터(13)을 거쳐 습공기유출공(3)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결국 경사면의 굴곡지점에서 부딪혀서 운동방향이 변경되므로서 엘리미네이터판의 표면에 흡착되고 흡착된 물방울은 응집되어 중량이 무거워지며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어서 홈(12a)(12b)에 적하되고 물순환수조(7 )로 환류되며 중량이 가벼운 기류는 팬모터(14)의 흡인력에 의한 가속도가 붙어서 계속 진행하므로서 물방울이 완전히 제거된 습공기가 산업장내의 실내로 배출되게 한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습도조절기(4)의 전원 스위치(4a)에 전원이 공급되고 습도조절기 볼륨(4b)으로 습도를 조절하고 동작 스위치부(5)를 가동하여 팬모터와 펌프모터를 가동하면 펌프모터(6)가 작동하고 수도와 연결된 입수관(15)을 통하여 물이 유입된 물순환수조(7)의 물은 펌프모터(6)의 흡인력으로 물공급관(8)을 통하여 물분사노즐(9)로 유입되며 물분사노즐(9)은 물을 분사시킨다. 한편 팬모터(14)가 동작하여 공기흡입공(2)으로 흡인된 공기는 여과망(17)에 의하여 1차로 먼지 및 티끌 등이 제거되어 상향이동되며 이렇게 이동된 공기와 물분사노즐(9)로부터 분사된 물방울은 혼합되어 엘리미네이터부(1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물방울은 물의 성질인 표면장력과 응집력에 의하여 엘리미네이터부(12)의 파상형 판재의 굴곡진 경사면에 부딛치고 응축되어 홈(12a)(12b)으로 낙하되고 물순환수조(7)로 환류되며 물방울이 제거되고 기화된 공기는 상향이동하는데 이때 여과필터(13)로 잔류 습기 및 먼지 등 오물을 제거하고 습공기 배출공으로 습기를 배출하므로서 가습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물공급관(8)에 연결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10)는 가습기 습도조절기의 센서와 타이머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가습수를 전자적으로 개폐 제어하며 물순환수조(7)의 입수관(15)에 연결된 볼탑(15a)은 유량이 일정수위 이하이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물을 공급하며 배수관(16)은 개폐밸브(16a)에 의하여 물을 유출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나 증기식 가습기에 비하여 통과공기의 현열만으로 증발시키므로서 가습을 위한 직접 에너지가 절약되어 동력비가 절약되며 종래의 고안인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56580호 '공기 조화식 가습기'의 결점인 엘리미네이터에 직접 물을 분사시키므로 인해서 배출되는 공기에 비산되는 물이 함께 방출되는 현상을 없앤 실용적인 고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인쇄공장이나 섬유공장 및 정전기 방지를 위한 50%이상의 습도가 필요한 고집적화, 고밀도화된 정밀가공공정을 거치는 전자기판(PCB) 공장 등의 특수 산업장내에 사용하면 물방울이나 수증기가 완전히 제거된 가습을 할 수 있어서 결로현상에 의한 전자기기나 부품의 부식 및 오작동을 막을 수 잇으며 완벽한 공기의 필터링으로 공기 청정효과가 우수하여 백분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화식으로서 공기를 균등하게 분사하므로 사전 수처리가 불필요하며 저에너지로서 청정한 현장 가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1)

  1.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수조의 물을 물분무 노즐로 분사시켜 혼합된 습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가습효과를 얻는 산업장용 가습기에 있어서, 케이스(1)의 전면에 공기 흡입공(2), 습공기 유출공(3)과 기기를 콘트롤하는 전원스위치(4a)와 습도조절 볼륨(4b)이 부착된 습도조절기(4). 팬모터와 펌프모터를 구동시키는 동작 스위치부(5)가 형성되고 케이스(1) 내부로는 펌프모터(6)와 물순환수조(7)를 착설하되 물순환수조(7)의 일측면으로는 물공급관(8)이 펌프모터(6)를 통하여 물분사 노즐(9)과 연결되고 물공급관(8) 말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설치되며, 상기 물순환수조(7)와 물분사 노즐(9) 사이에는 격판(11)이 형성되어 물분사실이 형성되며, 상기 물분사노즐(9) 상단으로는 엘리미네이터판이 다수개 중첩된 엘리미네이터부(12)와 여과필터(13)가 설치되며 상부로는 공기 흡입용 팬모터(14)가 설치됨을 특지으로 하는 산업장용 공기 조화식 가습기
KR2020000032924U 2000-11-24 2000-11-24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KR200220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24U KR200220159Y1 (ko) 2000-11-24 2000-11-24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24U KR200220159Y1 (ko) 2000-11-24 2000-11-24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59Y1 true KR200220159Y1 (ko) 2001-04-16

Family

ID=7306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924U KR200220159Y1 (ko) 2000-11-24 2000-11-24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55B1 (ko) * 2011-09-14 2012-06-18 한국식품연구원 강제증발식 가습기
WO2013039329A3 (ko) * 2011-09-14 2013-05-10 한국식품연구원 나노 증기를 이용한 강제증발식 가습기
KR101324720B1 (ko) 2013-07-23 2013-11-05 김인봉 병렬 미세분무 냉난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55B1 (ko) * 2011-09-14 2012-06-18 한국식품연구원 강제증발식 가습기
WO2013039329A3 (ko) * 2011-09-14 2013-05-10 한국식품연구원 나노 증기를 이용한 강제증발식 가습기
US9518749B2 (en) 2011-09-14 2016-12-13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using nano-vapor
KR101324720B1 (ko) 2013-07-23 2013-11-05 김인봉 병렬 미세분무 냉난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2087C (en) System and method for humidifying homes and commercial sites
US3990427A (en) Air humidifying method and apparatus
CA2134989C (en) Humidifier and method for humidifying air
US5407604A (en) Humidifier using a neubilizer
US5620503A (en) Humidifier and method for humidifying air
US8186656B2 (en) Sauna device
JP2009180402A (ja) 加湿器、熱交換器、加湿方法
KR101403960B1 (ko) 자연 기화 가습기
KR100740670B1 (ko) 응축수 제거 및 가습기능을 갖는 환기조화시스템
JP5276074B2 (ja) ハイブリット噴霧システム。
KR101917819B1 (ko)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Purushothama Humidification and ventilation management in textile industry
CN1217052A (zh) 用于加湿和净化空气的装置
KR200220159Y1 (ko) 산업장용 공기조화식 가습기
JPH0765788B2 (ja) 気化式加湿器及びこれを用いた加湿システム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JP2011185475A (ja) クリーンルームの水噴霧加湿制御方法及び加湿制御システム
KR20120090918A (ko) 흙이온 성분을 분출 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습기와 실내로 낙하 하는 수분과 실내에 존재하는 독성물질의 물질결합작용을 통하여 형성되는 독성 물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주도록 작용하면서 건축물 내부의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켜 주는 작용을 발휘하는 공기 청정기 겸용 다기능 청정 가습기
KR200388854Y1 (ko) 기화식 가습기용 엘레먼트
KR100698518B1 (ko) 기화식 가습장치
JPH0455645A (ja) 空調用水加湿ノズルの詰り防止方法
KR100706261B1 (ko) 기화식 가습장치의 가습판
JPH0752508Y2 (ja) 空気調和機用加湿装置及び加湿装置付き空気調和機
KR101938689B1 (ko) 미세먼지포집 및 가습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공기조화기
KR20030005723A (ko) 공기청정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