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91Y1 -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 Google Patents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91Y1
KR200219691Y1 KR2020000027495U KR20000027495U KR200219691Y1 KR 200219691 Y1 KR200219691 Y1 KR 200219691Y1 KR 2020000027495 U KR2020000027495 U KR 2020000027495U KR 20000027495 U KR20000027495 U KR 20000027495U KR 200219691 Y1 KR200219691 Y1 KR 200219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floor
construction material
flange
materi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4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신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철 filed Critical 신상철
Priority to KR2020000027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91Y1/en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시공재에 관한 것으로, 이 바닥 시공재(1)는 다수의 요홈(2)과 돌출부(3)에 의해 사각 판형의 시공재 몸체(4)가 구비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테두리에 접지홀(5)과 체결홀(6)이 다수 개공된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7)의 모서리면에 보강용 비드(8)가 형성됨과 더불어 플랜지(7)의 하부면에 또다른 시공재 몸체(4)의 체결홀(6)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결합돌기(9)가 형성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요홈(2)과 돌출부(3) 사이에 보일러용 파이프(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끼움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바닥의 기초면에 접촉되는 지지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선단에 십자 홈(13)과 다수의 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진공 보온재(15)가 삽입고정되되, 상기 시공재 몸체(4)와 진공 보온재(15)사이에 다수의 공간부(16)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바닥 시공재의 설치 및 보일러용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바닥 뿐만아니라 비닐 하우스 바닥 및 양어장 바닥 등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onstruction material,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by a plurality of grooves (2) and protrusions (3),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 flange 7 having a plurality of ground holes 5 and fastening holes 6 is integrally formed at an edge of the flange, and a reinforcing bead 8 is formed at an edge of the flange 7 and a flange ( 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9)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6) of another construction member body 4, the groove (2) and the projection (2) of the construction member body (4) 3) fitting grooves 11 for coupling the pipes 10 for the boiler are formed therebetween, and the support part 12 contacting the base surface of the bottom is protru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nd A cross groove 1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art 12, and a vacuum insulating material 15 made of styropol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body 4. 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s 16 can be formed betwee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nd the vacuum insulating material 15,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nd the coupling of the pipe for the boiler is easy, the work of the worker during construction It improves the construction properties, and because it can be widely used not only for concrete floors but also for vinyl house floors and fish farm floors, construction propertie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바닥 시공재{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Floor carrying material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본 고안은 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바닥이나 비닐 하우스 바닥 및 양어장 바닥 등의 시공을 저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설치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and in particular,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that can improve the installation and assemblability of the floor, vinyl house floor and fish farm floor more effectively and at a lower cos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 시공할 경우에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바닥 시공인 바, 이 바닥 시공은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보다 면밀하게 시공되어야 하며, 특히 온돌용 바닥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시공시 많은 요소를 반영하여 보다 쾌적한 상태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In general, when building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houses, the most basic is flooring. This flooring should be constructed more closely for the convenience of living. Since there is a lot of tim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struction, it should be constructed in a more pleasant state reflecting many factors.

즉, 상기와 같이 바닥 시공을 통해 형성된 바닥의 종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1)을 이루기 위한 기초면(102)을 형성시키고, 상기 기초면(102) 상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발포성 콘크리트(103)가 도포되며, 상기 발포성 콘크리트(103)의 상부에 바닥 콘크리트(104)가 도포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 콘크리트(104)의 내측에 다수의 보일러용 파이프(105)가 매설된 구조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the floor formed through the floor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o form a base surface 102 for forming the floor 101, a plurality of pores on the base surface 102 The formed foamed concrete 103 is applied, the bottom concrete 104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ed concrete 103 and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oiler pipes 105 are embedded inside the bottom concrete 104. to be.

그런데, 상기의 바닥(101)구조는 바닥(101) 전체가 단지 콘크리트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101)을 조금만 뛰어도 그 진동이 크게 일어나 불편함을 주게 되고, 바닥(101)의 방음이나 방습 및 방충효과 또한 미흡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bottom 101 structure is because the entire floor 101 is made of only concrete, so even if the floor 101 is slightly run, the vibrations are large, causing inconvenience, and soundproofing, dampproofing, and insect proofing of the floor 101. Since the effect is also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user.

이에 따라 상기 결점을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바닥(101)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1)을 이루는 기초면(102) 상부에 폐타이어를 이용한 방진막(106)이 설치되고, 상기 방진막(106)의 상부에 기포 콘크리트(103)와 바닥 콘크리트(104)가 도포된 구조이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bottom 101 structure to partially improve the defect, as shown in FIG. 2, an anti-vibration membrane 106 using waste tires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se surface 102 forming the bottom 101. Foamed concrete 103 and the bottom concrete 104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dustproof film 106.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방진막(106)을 이용하여 바닥(101)을 시공할 경우 방진막(106)의 제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바닥(101) 시공을 위한 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상기 방진막(106)을 기초면(102)에 씌우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바닥(101) 시공시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며, 상기의 바닥(101)에서는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바닥(101)의 열전도율 저하로 인해 바닥(101) 전체가 따뜻함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bottom 101 is constructed using the anti-vibration membrane 106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nti-vibration membrane 106 is expensive, there is a drawback in that the cost for the bottom 101 is generally increased, and the anti-vibration membrane It is difficult to cover the 106 with the base surface 102, which lowers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floor 101, and since the circulation of air cannot occur at the bottom 101 at all, Due to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floor 101 is difficult to maintain warmth.

그리고,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바닥(101) 이외에도 비닐 하우스나 양어장 바닥 등을 시공할 경우, 대부분 바닥에 비닐을 깔고 흙을 덮어줌으로써 비닐 하우스의 바닥을 이루거나 양어장 바닥을 이루게 되는 바, 상기 비닐에 의해 환경오염이 심각해 질 뿐만아니라 농작물이나 어류 등의 발육에도 좋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었다.And, in addition to the floor 101 of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if the construction of a vinyl house or fish farm floor, etc., most of the floor is covered with a vinyl covering the soil to form the bottom of the vinyl house or fish farm floor, the vinyl As a result, environmental pollution is not only serious but also difficult to develop crops or fish.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바닥이나 비닐 하우스 바닥 및 양어장 바닥 등의 시공을 저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설치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the floor can be installed more efficiently and at a lower cost, such as a floor or a vinyl house floor and a fish farm floor. The purpose is to provide construction materials.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과 돌출부에 의해 사각 판형의 시공재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의 테두리에 타원형의 접지홀과 원형의 체결홀이 다수 개공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모서리면에 보강용 비드가 다수 형성됨과 더불어 플랜지의 하부면에 또다른 시공재 몸체의 체결홀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의 요홈과 돌출부 사이에 보일러용 파이프를 결합시키기 위한 끼움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의 하부에 바닥의 기초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공기의 순환을 위한 십자 홈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의 하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진공 보온재가 삽입고정되되, 상기 시공재 몸체와 진공 보온재 사이에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bar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struction material body by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val ground hole and the edg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and A plurality of circular fastening holes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are formed on the edges of the flange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an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of another construction bod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s.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 coupling the pipe for the boiler between the grooves and protrusions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on the base surface of the floor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to protrude, cross grooves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 the circulation of ai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A vacuum insulation made of styropol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spaces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struction body and the vacuum insulation.

그리고, 상기 시공재 몸체의 돌출부 선단면에 유입홀이 형성되어 흙이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닐 하우스 바닥 또는 양어장 바닥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 inlet hole is formed in the tip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so that soil or water may be introduced therein, thereby being fixed to the vinyl house floor or fish farm bottom.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재는 상기 시공재 몸체의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홀과 결합돌기에 의해 다수의 시공재 몸체가 조립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에 형성된 끼움홈에 보일러용 파이프가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상기 시공재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는 진공 보온재에 의해 시공재 몸체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시공재 몸체의 돌출부에 유입홀이 형성되어 비닐 하우스 바닥이나 양어장 바닥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at is,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 plurality of construction material body is assembled by the fastening hol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in the flang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the boiler pipe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is fix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can be fixed in a solid state by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to be used in the bottom of the plastic house or fish farm will be.

따라서, 상기 바닥 시공재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의 시공을 저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콘크리트 바닥의 열전도율, 방진, 방음, 방습 및 방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바닥 시공재의 설치 및 보일러용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바닥 뿐만아니라 비닐 하우스 바닥 및 양어장 바닥 등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can be more effectively at low cost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loor, and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ncrete floor, dustproof, soundproof, moisture-proof and insect-proof, and also install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nd pipes for boilers It is easy to combine and improves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during construction, and because it can be widely used in not only concrete floor but also vinyl house floor and fish farm floo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바닥을 나타낸 상태도,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loor of a building construct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2는 도 1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를 사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바닥을 나타낸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loor of the building constructed using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접촉부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바닥 시공재 2 : 요홈1: floor construction material 2: groove

3 : 돌출부 4 : 시공재 몸체3: protrusion part 4: construction material body

5 : 접지홀 6 : 체결홀5: grounding hole 6: fastening hole

7 : 플랜지 8 : 보강용 비드7: flange 8: reinforcement bead

9 : 결합돌기 10 : 보일러용 파이프9: coupling protrusion 10: pipe for boiler

11 : 끼움홈 12 : 지지부11: fitting groove 12: support portion

13 : 십자 홈 14 : 돌기13: cross groove 14: projection

15 : 진공 보온재 16 : 공간부15: vacuum insulation 16: space part

17 : 유입홀 18 : 콘크리트 바닥17: inlet hole 18: concrete floor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를 사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바닥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접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loor of the building constructed using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기초면과 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의 하부를 이룰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재(1)가 구비되되, 상기 바닥 시공재(1)는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2)과 돌출부(3)에 의해 사각 판형의 시공재 몸체(4)가 구비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테두리에 타원형의 접지홀(5)과 원형의 체결홀(6)이 다수 개공된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7)의 모서리면에 보강용 비드(8)가 다수 형성됨과 더불어 플랜지(7)의 하부면에 또다른 시공재 몸체(4)의 체결홀(6)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돌기(9)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요홈(2)과 돌출부(3) 사이에 보일러용 파이프(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끼움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바닥의 기초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선단에 공기의 순환을 위한 십자 홈(13)과 다수의 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진공 보온재(15)가 삽입고정되되, 상기 시공재 몸체(4)와 진공 보온재(15)사이에 다수의 공간부(16)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drawings, it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surface and the concrete is provided with a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to achieve the bottom of the floor,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a certain height With a plurality of grooves (2) and the projections (3) formed continuously hav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struction material (4) is provided, the ground hole (5) of the oval in the edg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4) and A flange 7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fastening holes 6 is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8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lange 7, an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7.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9 which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astening hole 6 of the other construction member body 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ecess 2 and the protrusion 3 of the construction member body 4 are formed.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 for coupling the pipes 10 for the boile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nstructio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2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dy 4 in contact with the base surface of the bottom, the cross groove 13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14 for the circulation of air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 Is formed, the vacuum insulating material 15 made of styropo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 plurality of spaces 16 betwee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nd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It can be formed.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재(1)의 특징은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조립 및 보일러용 파이프(10) 고정구조에 있는 바, 상기 바닥 시공재(1)의 상부에 각각 다수의 요홈(2)과 다수의 돌출부(3)가 번갈아 형성되어 바닥의 기초면과 공간을 가지면서 바닥 시공재(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플랜지(7)에 다수의 체결홀(6)과 결합돌기(9)가 형성되어 바닥에 시공되는 다수의 바닥 시공재(1)를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일러용 파이프(10)가 시공재 몸체(4)의 끼움홈(11)에 간편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features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consisting of the above structure is made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and the assembly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nd the fixing structure for the pipe 10 for the boiler,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A plurality of grooves (2)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 are formed alternately at the top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can be installed, having a base surface and space of the floor, the construction material of the body (4)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6 and a coupling protrusion 9 are formed in the flange 7 to connect and install a plurality of floor construction materials 1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boiler pipe 10 is a construction body. (4)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

그리고, 상기 바닥 시공재(1)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진공 보온재(15)가 삽입고정된 것에 있는 바, 상기 진공 보온재(15)는 시공재 몸체(4)와 결합되면서 그 상부에 다수의 공간부(16)를 가지게 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지지부(12) 선단에 돌출된 다수의 돌기(14)는 진공 보온재(15)하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바닥의 기초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Further, another featur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that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is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It is coupled with and has a plurality of space portion 16 on the upper por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 protruding to the tip of the support portion 12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protrudes below the vacuum insulating material 15 In contact with the base surface of the floor.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재(1)는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플랜지(7)에 형성된 체결홀(6)과 결합돌기(9)에 의해 다수의 시공재 몸체(4)가 조립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보일러용 파이프(10)가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삽입되는 진공 보온재(15)에 의해 시공재 몸체(4)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construction material bodies 4 by fastening holes 6 and coupling protrusions 9 formed in the flange 7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Is assembled, and the pipe 10 for the boil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 formed in the construction member body 4, and is also fixed by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inser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ember body 4.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can be fixed in a solid state.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공재 몸체(4)의 돌출부(3)에 유입홀(17)이 형성되어 비닐 하우스 바닥이나 양어장 바닥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바닥(18)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1)의 경우 상기 유입홀(17)이 필요없지만 비닐 하우스 바닥에 상기 바닥 시공재(1)를 설치할 경우에는 유입홀(17)을 통해 흙을 유입시킨 상태로 흙으로 덮어줌으로써 그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inlet hole 17 is formed in the protrusion 3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so that the inlet hole 17 may be used in the vinyl house floor or the fish farm floor, and installed in the concrete floor 18. In the case of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to be used, the inlet hole 17 is not necessary, but when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installed in the vinyl house floor, the soil i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ole 17 so as to cover the soil with soil. The installa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바닥 시공재(1)를 양어장 바닥에 설치할 경우에도 기존에 사용되던 비닐 대신에 상기 바닥 시공재(1)를 조립설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도 상기 유입홀(17)을 통해 물이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시공재(1)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installed on the fish farm floor,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nstead of the previously used vinyl, even in this case the water through the inlet hole (17) Since this can be circulat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한편, 상기 바닥 시공재(1)는 그 시공성을 높여주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가지면서 성형되는 바,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플랜지(7) 면에 타원형으로 된 다수의 접지홀(5)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플랜지(7)의 모서리부에 다수의 보강용 비드(8)가 형성되되, 모서리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formed while having a variety of elements to increase the workability bar, a plurality of ground holes (5) of oval in the flange (7) surfac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It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improve adhesion to concrete, and also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8)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lange (7), which can withstand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concrete by being form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corners It is.

여기서, 상기 바닥 시공재(1)는 시공시 보일러용 파이프(10)를 고정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인 바,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요홈(2)과 돌출부(3) 사이에 끼움홈(11)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1)은 시공재 몸체(4)를 따라 ㄴ자 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거나 혹은 중앙에 +자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끼움홈(11)에 보일러용 파이프(10)를 강제 끼움식으로 삽입시켜 고정하게 되며, 강제 끼움식 이외에도 상기 끼움홈(11)과 홀을 이용하여 체결끈으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f the pipe 10 for the boiler during construction, the fitting groove between the groove (2) and the projection (3)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11) is formed, the fitting groove 11 is continuously arranged in a letter-shaped along the construction body 4 or in the center in a + -shape continuous, the boiler pipe (in the fitting groove 11) 10) is to be fixed by inserting a forced fit, in addition to the forced fit may be fixed by a fastening strap using the fitting groove 11 and the hole.

그리고, 상기 시공재 몸체(4)에는 그 하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진공 보온재(15)가 삽입되는 바, 주로 콘크리트 바닥(18)의 시공시에 진동과 소음감소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와 진공 보온재(15)의 결합시 요홈(2) 속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되기 때문에 이 공간부(16)를 통해 콘크리트 바닥(18)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vacuum insulating material 15 made of styropole, mainly used for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during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loor 18,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 And the vacuum insulation 15 is coupled to a certain distance in the groove (2) when the coupling is to be able to reduce the vibration and noise of the concrete floor 18 through the space 16.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바닥 시공재(1)에 여러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시공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바닥 시공재(1)를 콘크리트 바닥(18) 뿐만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adding various functions to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during construction,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the operator performs the work more easily,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1) As well as the concrete floor 18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to give the user an improved convenie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재에 의하면, 콘크리트 바닥의 시공을 저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콘크리트 바닥의 열전도율, 방진, 방음, 방습 및 방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바닥 시공재의 설치 및 보일러용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바닥 뿐만아니라 비닐 하우스 바닥 및 양어장 바닥 등에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oor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loor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at low cost,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ncrete floor, dustproofing, soundproofing, moisture proof and insect repellent effect can be improved, and also the floor It is easy to install the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oupling of the pipes for the boil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s during construction, and because it can be widely used not only for concrete floors but also for vinyl house floors and fish farm floors,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

Claims (2)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2)과 돌출부(3)에 의해 사각 판형의 시공재 몸체(4)가 구비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테두리에 타원형의 접지홀(5)과 원형의 체결홀(6)이 다수 개공된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7)의 모서리면에 보강용 비드(8)가 다수 형성됨과 더불어 플랜지(7)의 하부면에 또다른 시공재 몸체(4)의 체결홀(6)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돌기(9)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시공재 몸체(4)의 요홈(2)과 돌출부(3) 사이에 보일러용 파이프(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끼움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바닥의 기초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부(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선단에 공기의 순환을 위한 십자 홈(13)과 다수의 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시공재 몸체(4)의 하부에 스티로폴로 이루어진 진공 보온재(15)가 삽입고정되되, 상기 시공재 몸체(4)와 진공 보온재(15)사이에 다수의 공간부(16)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재.A rectangular plate-shaped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is provided by a plurality of grooves 2 and protrusions 3 continuousl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elliptical ground hole 5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 And a flange 7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fastening holes 6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8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flange 7 and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7.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9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fastening hole 6 of another construction member body 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ecesses 2 and the protrusions of the construction member body 4 are formed. (3)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 for coupling the boiler pipe 10 therebetwee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contacting the base surface of the floo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 12 is formed to protrude, and a cross groove 1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 for the circulation of air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support 12,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made of styropo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so that a plurality of spaces 16 can be formed between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and the vacuum insulation material 15. Floor construction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재 몸체(4)의 돌출부(3) 선단면에 유입홀(17)이 형성되어 흙이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닐 하우스 바닥 또는 양어장 바닥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hole (17) is formed i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3)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body 4 so that soil or water can be introduced to be fixed to the floor of the vinyl house or fish farm bottom Floor construction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KR2020000027495U 2000-10-02 2000-10-02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KR2002196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95U KR200219691Y1 (en) 2000-10-02 2000-10-02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95U KR200219691Y1 (en) 2000-10-02 2000-10-02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691Y1 true KR200219691Y1 (en) 2001-04-02

Family

ID=7305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495U KR200219691Y1 (en) 2000-10-02 2000-10-02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9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626B1 (en) 2006-02-14 2007-04-18 김재열 Floor construc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277289B1 (en) * 2011-04-25 2013-06-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ccess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626B1 (en) 2006-02-14 2007-04-18 김재열 Floor construc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277289B1 (en) * 2011-04-25 2013-06-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ccess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915B1 (en) Vent apparatus
KR100741757B1 (en) Story partitions structure body for plural storybuildings
US5590477A (en) Dryer vent box and method
KR200428518Y1 (en) Constructing tool for the floor
KR200219691Y1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KR20090002936U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for a building
KR101359724B1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for construction
KR200291273Y1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KR102087034B1 (en) Pre-fabricated building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659726B1 (en) Indoor wall structure of building
KR101177696B1 (en) Sound insolating pannel and the assembly with a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KR200311791Y1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KR100735574B1 (en) Floor-supporting material
JP3682018B2 (e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KR0136830B1 (en) Floor panel for preventing vibration
KR10125068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bathroom using dry process
KR200251112Y1 (en) A hypocaust of the ground for construction
KR200181154Y1 (en) A carrying out device of the ground for construction
US20040055245A1 (en) Wall cap corner aid
KR200306356Y1 (en) Base material of prefab panel for building
KR200325139Y1 (en) Adiabatic Board for Heat Piping
KR200173231Y1 (en) Fabricated rectangular pipe for air duct
KR100364922B1 (en) Composite floor
KR200269785Y1 (en) Sound Insulation panel
KR200257763Y1 (en) Gypsum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