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78Y1 - 매립형 발효탱크 - Google Patents

매립형 발효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78Y1
KR200219678Y1 KR2020000025990U KR20000025990U KR200219678Y1 KR 200219678 Y1 KR200219678 Y1 KR 200219678Y1 KR 2020000025990 U KR2020000025990 U KR 2020000025990U KR 20000025990 U KR20000025990 U KR 20000025990U KR 200219678 Y1 KR200219678 Y1 KR 200219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ground
fermentation
toilet
ba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직
Original Assignee
배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직 filed Critical 배순직
Priority to KR2020000025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78Y1/ko

Links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립형 발효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부 단턱부(3)의 일면에 설치된 발효탱크(1)의 수거겸용 점검구(4)를 지면(5) 위로 끌어 올려 지상에서 곧바로 발효탱크(1)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지면(5)의 상부로는 콘크리트 슬라브(6)를 칠 수 있도록 평면화 하고, 그 위에 변기(8)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발효탱크(1)와 일체화 하므로서, 별도의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발효탱크를 설치하는 단독주택이나 농어촌주택 등의 발효식 영구 화장실에 있어서의 지하실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지상에서 발효탱크를 점검하고 잔량수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성과 실용성을 갖춘 매립형 발효탱크이다.

Description

매립형 발효탱크{RECLAIMED FERMENTATION TANK}
본 고안은 매립형 발효탱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 단턱부의 일면에 설치한 발효탱크의 수거겸용 점검구를 지면 위로 끌어 올려 지상에서 곧바로 발효탱크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지면의 상부로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칠 수 있도록 평면화 하고, 그 위에 변기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발효탱크와 일체화 하므로서, 별도의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발효탱크를 설치하는 단독주택이나 농어촌주택 등의 발효식 영구 화장실에 있어서의 지하실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지상에서 발효탱크를 점검하고 잔량수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성과 실용성을 갖춘 구조의 매립형 발효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화장실이라 함은 인체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 화장실은 사람의 생장과정과 그 역사를 같이 하며 구조와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굳이 화장실을 분류하자면, 화장실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혹은 그 화장실의 용도가 개인용이냐 단체용이냐에 따라 개인화장실인지 공중화장실인지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고, 사용장소와 기간에 따라 간이화장실인지 혹은 영구화장실인지로 구분되고, 또한 화장실의 저장 및 처리형태에 따라 발효식인지 수세식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발효화장실에는 자연 발효화장실(고정식)과 이동식 발효화장실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발효화장실은 기본적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발효시키는데 있어 발효열이 발생하고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등이 분출되며, 미생물의 분해활동을 가속하기 위하여 공기공급관을 설치하여 발효를 촉진할 수 있는 통기성이 좋은 낙엽, 볏집 썰은 것, 왕겨, 굵은 톱밥 등의 통기성 매질(피트모스)를 섞어 발효를 촉진하게 되는데, 내부에서는 발효 부식열에 의하여 박테리아의 증식이 한층 가속되며 대,소변등의 영양물질이 더이상 투여 되지 않으면 서로를 잡아 먹게 되므로 결국은 박테리아와 세균은 멸균되고 발효가 완성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발효화장실에 있어서, 특히 발효식 영구화장실은 통상 화장실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을 파헤쳐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여러 조의 발효탱크를 설치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예를들면 도4와 도5는 종래의 발효탱크의 설치상태 단면도와 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9)의 하부에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발효탱크(10)와 오수정화탱크(11)를 설치하고 있으며, 오수정화탱크(11) 내에는 정화제로서 활성탄(12)과 안스라사이트(13)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지상에서 지하실로 내려가는 계단(14)을 두어 발효탱크(10)와 오수정화탱크(11)를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구(15)를 통하여 발효탱크(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잔량 수거부(16)를 통하여 잔량을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하실 설치형 발효탱크(10)의 구조에 있어서는 발효탱크(10)를 지하실에 시공 설치하기 위하여 상당한 작업성의 시공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따르며, 특히 지하실을 별도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공사비용이 과다하여 발효탱크(10)의 구입비용의 몇배에 해당하므로서 이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발효탱크(10)와 오수정화탱크(11)가 지하실에 위치하여 이들을 점검하고 잔량을 수거하는데 매번 지하실 연결수단인 계단(14)을 이용하여야 되므로 관리가 번거로우며, 가파른 계단(14)을 왕래하여야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무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별도의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발효탱크를 설치하는 단독주택이나 농어촌주택 등의 발효식 영구 화장실에 있어서의 지하실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지상에서 발효탱크를 점검하고 잔량수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의 편리성과 실용성을 갖춘 매립형 발효탱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4는 종래의 발효탱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5는 도4의 측단면도
※도면중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립형 발효탱크 2 : 대변구
3 : 상부 단턱부 3a : 상향 수직벽
4 : 수거겸용 점검구 5 : 지면
6 : 콘크리트 슬라브 7 : 외벽 8 : 변기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의 구조상의 특징은, 상부 단턱부의 일면에 설치된 발효탱크의 수거겸용 점검구를 지면 위로 끌어 올려 지상에서 곧바로 발효탱크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지면의 상부로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칠 수 있도록 평면화 하고, 그 위에 변기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발효탱크와 일체화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의 사시도, 도2는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보면,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1)는 상부에 변기의 배출구가 유입될 수 있도록 대변구(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뒤쪽으로는 상하 수직벽(3a)을 이루는 상부 단턱부(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부 단턱부(3)의 경사 일면에는 발효탱크(1)의 내면의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점검용 막대나 도구를 사용하여 발효탱크(1)의 내부를 보다 명확히 점검하고 발효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겸용 점검구(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발효탱크(1)를 설치하는 위치는 종래의 경우에 지하실에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거겸용 점검구(4)를 지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수거겸용 점검구(4)에는 개폐걸이와 투시창을 형성하는 개폐덮개(도시생략)를 덮어 두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도3은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1)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발효탱크(1)를 매립하되, 상부 단턱부(3)를 지면(5)에서 돌출되게 매립한 다음, 지면(5)에 콘크리트 슬라브(6)를 쳐서 발효탱크(1)가 건물의 외벽(7) 및 대변구(2)에 연통된 변기(8)와 일체화로 되도록 시공 설치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지면(5)이나 콘크리트 슬라브(6) 위에 서서 발효탱크(1)의 내,외면을 점검할 수 있고, 특히 발효탱크(1)의 내면을 점검하는 경우에는 지상에 노출된 수거겸용 점검구(4)를 통하여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점검용 막대나 도구를 사용하여 내부의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잔량수거 작업도 지상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매립형 발효탱크에 따르면, 상부 단턱부의 일면에 설치된 발효탱크의 수거겸용 점검구를 지면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발효탱크의 내부를 지상에서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지면의 상부로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칠 수 있도록 평면화 하고 그 위에 변기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발효탱크와 일체화 하므로서, 별도의 지하실을 만들고 그 내부에 발효탱크를 설치하는 단독주택이나 농어촌주택 등의 발효식 영구 화장실에 있어서의 지하실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며, 지상에서 발효탱크를 점검하고 잔량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실용성을 갖춘 매립형 발효탱크로서 각종 화장실에의 이용 및 그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1)

  1. 지면(5)에 콘크리트 슬라브(6)를 쳐서 건물의 외벽(7) 및 대변구(2)에 연통된 변기(8)와 일체화되도록 구성한 발효탱크(1)에 있어서,
    상기 대변구(2)의 뒤쪽으로 상향 수직벽(3a)에 의하여 돌설시킨 상부 단턱부(3)의 경사 일면에 수거겸용 점검구(4)의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단턱부(3)가 지면(5)의 상부로 돌설되도록 매립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발효탱크.
KR2020000025990U 2000-09-15 2000-09-15 매립형 발효탱크 KR200219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90U KR200219678Y1 (ko) 2000-09-15 2000-09-15 매립형 발효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90U KR200219678Y1 (ko) 2000-09-15 2000-09-15 매립형 발효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678Y1 true KR200219678Y1 (ko) 2001-04-02

Family

ID=7308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90U KR200219678Y1 (ko) 2000-09-15 2000-09-15 매립형 발효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eys et 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on-site sanitation
US6590146B1 (en) Collection device for depositing refuse for disposal
KR200219678Y1 (ko) 매립형 발효탱크
CN205088765U (zh) 一种脚踏式节水冲厕器
CN209220097U (zh) 一池加双瓮式卫生厕所
CN105476533A (zh) 一种人粪尿自动处理系统
CN211421951U (zh) 一种适合在北方寒冷地区使用的户外防冻冲水厕所
CN211395880U (zh) 智能分布式处理系统
CN204530918U (zh) 一种排气集便器
CN211620321U (zh) 玻璃钢模块三格处理池
CN1119115C (zh) 便具
CN201121359Y (zh) 节水型蹲便器
CN110897537A (zh) 一种新型无水小便器
CN217460805U (zh) 一种旱厕厕屋自动抽气装置
KR200320043Y1 (ko) 매립형 발효장치
CN210066942U (zh) 一种农村室外真空排水系统
CN210597515U (zh) 一种农村移动式厕所
CN113598069B (zh) 下沉式宠物公共卫生间
CN209083057U (zh) 半冲水式环保厕所
CN206916869U (zh) 一种适用于街边路旁的环保厕所
CN211796142U (zh) 机械式室外户用卫生生态厕所
CN2462836Y (zh) 农村用大便器
CN201010942Y (zh) 环保及多功能的洗手间
CN2749963Y (zh) 三无节水多功能厕所卫生转移器
CN210767066U (zh) 一体化聚氨酯压力保温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