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23Y1 -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23Y1
KR200219623Y1 KR2019980026164U KR19980026164U KR200219623Y1 KR 200219623 Y1 KR200219623 Y1 KR 200219623Y1 KR 2019980026164 U KR2019980026164 U KR 2019980026164U KR 19980026164 U KR19980026164 U KR 19980026164U KR 200219623 Y1 KR200219623 Y1 KR 200219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ower control
motor
powe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037U (ko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2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23Y1/ko

Links

Landscapes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단에 설치되어 모터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파우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파우어 조절단을 손잡이가 없는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측에 커버를 씌우고, 상기 파우어 조절단의 선단부에 PCB를 수평으로 안착시키며, PCB의 상단에는 회전식의 로타리 볼륨(Rotary Volume)이 구비된 가변저항을 부착하여 이로 부터 인출된 리드선을 본체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커버에는 로타리 볼륨에 끼워지는 로타리 노브를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로타리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모터의 전원이 온/오프 되고, 또한 파우어(흡입력)가 조절되므로서 조립 및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단에 설치되어 모터의 흡입력을 조절하는 파우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어 조절장치를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조립공정을 단축시키고, 제작원가의 절감에 기여하며, 모터의 파우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구동원인 모터와 먼지주머니 및 필터 등이 내장되어 있고, 본체의 흡입구에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이 플렉시블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는 흡입되는 이물질의 안내통로 역할을 하는 연장관이 연결되어 있고, 연장관의 단부에는 이물질을 긁어서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러쉬몸체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과 연장관 사이에는 손잡이를 겸하는 파우어 조절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파우어 조절단에는 모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킴과 함께 그 흡입력을 조절하는 파우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파우어 조절장치는 통상 가변저항을 이용한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파우어 조절단의 스위치를 통하여 본체 내의 모터를 작동시키면, 모터의 작동과 동시 본체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므로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 흡입력은 흡입관과 파우어 조절단 및 연장관을 통하여 브러쉬몸체에 작용한다.
이로 인해, 외부의 이물질이 브러쉬몸체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연장관과 파우어 조절단 및 흡입관을 통하여 본체 내로 흡입된 다음 필터를 거쳐 먼지주머니에 쌓인다.
이후,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먼지주머니에 적당량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집진표시기(Dust Meter)가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는 본체로 부터 먼지주머니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세척한 다음 다시 장착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진공청소기에서 본 발명은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파우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우어 조절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흡입관(10)과 연장관(20) 사이에 설치되는 파우어 조절단(30)에 있어서, 상기 파우어 조절단(130)의 손잡이부(131) 내부에 가변저항(150)이 부착된 PCB(140)를 안착시켜 그로 부터 인출된 리드선을 본체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외부에는 플레이트(1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드 노브(180)를 돌출되게 설치하여 그 내측의 슬라이드 볼륨(Slid Volume, 160)이 상기 가변저항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드 노브(180)를 손가락으로 움직여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면, 모터의 전원이 "온/오프(On/Off)"되거나 또는 흡입력(파우어)이 단계별로 조절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슬라이드 노브를 원하는 쪽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방식인 관계로 진공청소기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고유의 진동과 유동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 노브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이동시키기가 어렵고, 손가락에 불필요한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조작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치는 파우어 조절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공정이 많고, 원가상승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보턴타잎이 있으나, 이는 슬라이드 노브 대신 그 자리에 모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파우어(흡입력)를 "강, 중, 약" 별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보턴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턴을 누를 때마다 모터의 전원이 오/오프 되거나 파우어가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 이 엮시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조립공정이 필요하여 원가상승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단에 설치되는 파우어 조절장치를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모터의 온/오프 와 파우어 조절이 용이하고, 제작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수 있는 회전식의 파우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조립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관 20 : 연장관
30 : 파우어 조절단 31 : 고정돌기
40 : 커버 50 : PCB
60 : 가변저항 70 : 로타리 볼륨
80 : 로타리 노브 81 : 노브축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우어 조절단을 손잡이가 없는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측에 커버를 씌우고, 상기 파우어 조절단의 선단부에 PCB를 수평으로 안착시키며, PCB의 상단에는 회전식의 로타리 볼륨(Rotary Volume)이 구비된 가변저항을 부착하여 이로 부터 인출된 리드선을 본체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커버에는 로타리 볼륨에 끼워지는 로타리 노브를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로타리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모터의 전원이 온/오프 되고, 또한 파우어(흡입력)가 조절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관(10)과 연장관(20) 사이에 설치되며 커버(40)가 씌워지는 파우어 조절단(30)과, 이 파우어 조절단에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우어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파우어 조절단(30)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커버(40)를 씌우고, 상기 파우어 조절단의 상측에 PCB(50)를 안착시켜 그 상단에 로타리 볼륨(70)이 구비된 가변저항(60)을 부착하며, 상기 가변저항과 대응하는 커버(40)에는 로타리 노브(80)를 설치하여 그 하단의 노브축(81)을 상기 로타리 볼륨(70)에 끼워서 된 것이다.
상기 파우어 조절단(30)은 손잡이가 없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에 각각 흡입관(10)과 연장관(20)이 연결된다.
상기 커버(40)는 본 고안의 장치와 각종 전자부품 및 리드선 등을 보호하기 위해 파우어 조절단(30)의 상측에 그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씌워진다.
상기 PCB(50)는 파우어 조절단(30)에 수평으로 안착되어 그 선후단에 고정돌기(31)가 끼워지므로서 견고히 고정되며, 모터와 연결되는 리드선은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상기 가변저항(60)은 PCB(50)의 상단에 견고히 취부되어 고정된다.
상기 로타리 볼륨(60)은 원통형으로서 가변저항(50)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진다.
상기 로타리 노브(80)는 커버(40)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조작이 편리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노브축(81)은 로타리 볼륨(70)에 끼워져 그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로타리 노브(80)는 360°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강제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270°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고, 그 중 70°는 온/오프 구간이다.
따라서, 로타리 노브는 200°의 범위 내에서 모터의 파우어(흡입력)을 조절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시에는 파우어 조절단(30)의 고정돌기(31)에 가변저항(60)과 로타리 볼륨(70)이 구비된 PCB(50)의 선후단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커버(40)를 씌우면 PCB가 압착력을 받게 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이후, 커버(40)의 상측에서 로타리 노브(80)를 삽입하여 그 저면의 노브축(81)을 로타리 볼륨(70)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역삽 방지수단이 파우어 조절노브의 강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로타리 노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270°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무리하게 로타리 볼륨을 회전시킬 경우 가변저항(60)과 로타리 볼륨(70)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조립된 상태에서 가변저항과 로타리 볼륨은 도시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하여 본체 내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로타리 노브(80)를 회전시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수 있다.
즉, 로타리 노브를 최초의 70°구간 내에서 회전시켜 온/오프 시킬수 있고, 모터가 온 된 상태에서는 다시 200°의 범위 내에서 파우어의 강, 약을 조절할수 있다.
상기 동작중, 로타리 노브와 로타리 볼륨은 항상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 로타리 노브(80)를 회전시키면 가변저항(60)이 로타리 볼륨(70)이 그와 일체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로타리 볼륨과 가변저항(60)이 선택된 위치에서만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로타리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모터의 흡입력이 달라지게 된다.
즉, 모터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로타리 노브(80)를 회전시켜 로타리 볼륨(70)의 일단이 가변저항(60)과 접촉하고 있을 때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이 "0"에 가까워 그만큼 흡입력이 감소되지만, 로타리 노브를 서서히 회전시켜 로타리 볼륨이 가변저항의 반대측과 접촉하게 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도 그만큼 커지게 되어 흡입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타리 노브를 원하는 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모터의 파우어를 제어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단을 손잡이가 없는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측에 커버를 씌우고, 상기 파우어 조절단에는 가변저항과 로타리 볼륨이 구비된 PCB를 안착시키며, 상기 커버에 로타리 볼륨을 설치하여 그 저면의 노브축을 상기 로타리 볼륨에 끼우므로서 상기 로타리 노브의 회전을 통하여 모터의 온/오프 와 파우어를 손쉽게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것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공정이 단축되어 제작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이 뛰어나며, 조작이 간편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진공청소기의 흡입관(10)과 연장관(20) 사이에 설치되며 커버(40)가 씌워지는 파우어 조절단(30)과, 이 파우어 조절단에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우어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파우어 조절단(30)에 가변저항(60)과 로타리 볼륨(70)이 구비된 PCB(50)를 안착시켜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파우어 조절단에 씌워지는 커버(40)에는 로타리 노브(80)를 설치하여 그 저면의 노브축(81)을 상기 로타리 볼륨(70)에 끼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60)은 PCB(5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로타리 볼륨(60)은 가변저항(50)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져 로타리 노브(80)와 일체로 회전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 노브(80)의 회전범위는 270°이고, 그 중 70°의 온/오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장치.
KR2019980026164U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KR200219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64U KR200219623Y1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64U KR200219623Y1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37U KR20000013037U (ko) 2000-07-15
KR200219623Y1 true KR200219623Y1 (ko) 2001-05-02

Family

ID=6950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164U KR200219623Y1 (ko) 1998-12-23 1998-12-23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37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358A (en)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rotating connection portion
US5747764A (en) Electric power switch for a vacuum cleaner which has a suction control function
KR10020813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219623Y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파우어 조절장치
KR10057029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20040038556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274436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248927Y1 (ko) 진공청소기의회전식파우어조절장치
KR20015782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100510746B1 (ko) 진공청소기용 제어노브의 결합구조
KR20000007114U (ko) 회전식 파우어 조절노브를 갖는 진공청소기의 온/오프 감지구조
KR200157820Y1 (ko) 청소기의 연장관
KR19990073729A (ko) 업라이트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60208Y1 (ko) 진공청소기의 연통장치
KR100504469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손잡이 연결구조
KR200157819Y1 (ko) 청소기의 연장관
KR200172947Y1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19990021426U (ko)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노브 조립구조
KR10021335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고정구조
KR100222647B1 (ko) 청소기의 연장관
KR2006005897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213496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0136310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팩보강부재의 고정수단
KR100386261B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101136667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