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56Y1 - 투광기 - Google Patents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56Y1
KR200218756Y1 KR2020000029743U KR20000029743U KR200218756Y1 KR 200218756 Y1 KR200218756 Y1 KR 200218756Y1 KR 2020000029743 U KR2020000029743 U KR 2020000029743U KR 20000029743 U KR20000029743 U KR 20000029743U KR 200218756 Y1 KR200218756 Y1 KR 200218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cket
floodlight
arc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재근
Original Assignee
여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재근 filed Critical 여재근
Priority to KR2020000029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56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방진성과 방수성이 탁월하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조립 및 보관, 운반이 용이한 투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 고안에 따른 투광기(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된 소켓(130)과, 소켓(130) 속에 끼워진 전구(150) 및, 하우징(110)의 전면(111)의 플랜지(112)에 고정된 반사갓(17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111)이 개방되고 배면(113)은 폐쇄된 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스크류 삽입공(117, 118)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배면벽(115)의 내면(116)에는 소켓(130)의 조립시에 정위치를 결정해주는 레지스트리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투광기 {Floodlight}
이 고안은 투광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가 적고 조립 및 보관, 운반이 용이한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투광기는 전구 등과 같은 전기적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투사하는 조명기구를 지칭하는 것이며, 경기장의 야간조명장치나 가로등으로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투광기는 전구 등과 같은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에서 발광하는 빛을 집광하여 특정한 방향으로만 투사하기 위한 반사갓과, 발광장치를 고정시키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소켓 및, 발광장치와 반사갓 및 소켓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와 소켓과 반사갓 및 하우징은 별도의 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투광기는 이러한 부품들을 조립하여 설치하게 구성되며, 사용과정에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노후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부품만을 교체하게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는 상당히 고열을 발열하므로, 소켓은 전기적 절연성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소켓은 세라믹 외피 속에 구리제 배선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반사갓은 내열성과 광반사율이 큰 재료로 구성된다.
조립시에, 소켓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발광장치는 소켓 속에 나사식 결합 또는 스냅핏 방식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반사갓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 또는 반사갓에는 방진용 유리가 별도의 매개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직접 결합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위와 같이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선을 끌어들여 소켓의 급전용 배선에 연결해 주는 역할 및, 조립이 완료된 투광기를 조명탑이나 전주 또는 가로등 설치용 폴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체의 역할도 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우징은 다른 어떤 부품보다도 견고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다기능적인 부품이므로 그 구조도 상당히 복잡하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알루미늄합금 등이며, 제조방법으로는 다이캐스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우징은 구조가 복잡한 탓에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 성형되는 것이 그 설계적 측면이나 조립적 측면에서 용이하므로, 종래에는 그러한 분할 성형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하우징의 후방, 즉 반사갓이 부착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를 개방시키고, 그렇게 개방된 단부를 막기 위한 뚜껑을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며, 이러한 부재에 소켓을 고정하고 배선을 연결한 후에, 뚜껑으로 개방된 단부를 막도록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투광기는 야외에 설치되어 항상 풍진과 강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내부에 대한 방진과 방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될 부품수의 증가는 금형 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생산비의 증가로 귀결된다. 또한,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조립공정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려는 시도가 많으며, 주로 사용되는 구조는 한 쪽은 측벽이 없는 개방구로 형성되고 다른 쪽은 측벽에 의해 폐쇄된 통형 구조이다. 이러한 통형 하우징에서는 폐쇄된 쪽의 측벽의 내면에 소켓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는 개방구를 통해 소켓을 하우징 속에 삽입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측벽과 소켓을 서로 단단히 조여둔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스크류 삽입공과 소켓에 형성된 스크류 삽입공은 서로 정확하게 맞춰져야 하는데, 이러한 정합은 숙련여부에 무관하게 쉽지 않은 작업이고 시간소모적인 작업이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방진성과 방수성이 탁월하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조립 및 보관, 운반이 용이한 투광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또한 투광기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한 쪽만 개방된 통형 하우징에 대해 소켓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보조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도 1은 이 고안에 따른 투광기의 외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광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광기의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개방구 쪽에서 하우징의 내부를 본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소켓과, 소켓 속에 끼워진 전구 및, 하우징의 전면의 플랜지에 고정된 반사갓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은 폐쇄된 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스크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벽의 내면에는 소켓의 조립시에 정위치를 결정해주는 레지스트리가 형성되어 있는 투광기가 제공된다.
상기 레지스트리는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일 수 있으며, 좀더 상세하게는 동심원호를 따라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돌기이거나, 호각이 180도 이상인 원호를 따라 형성된 하나의 돌기이거나, 또는 원호를 따라 3점 이상에 형성된 점형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반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2개 이상의 돌기일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돌기 중에서 곡률반경이 작은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가 곡률반경이 큰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고안에 따른 투광기 및 그러한 투광기에 이용되는 하우징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의 외관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광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광기의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개방구 쪽에서 하우징의 내부를 본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투광기(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된 소켓(130)과, 소켓(130) 속에 끼워진 전구(150)와, 하우징(110)의 전면(111)의 플랜지(112)에 고정된 반사갓(170) 및, 반사갓(170)의 전면을 폐쇄하는 방진 유리(19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하우징(110)은 전면(111)이 개방되고 배면(113)은 폐쇄된 원통형 측벽(114)으로 이루어진 통형 구조를 갖는다. 배면(113)을 폐쇄한 배면벽(115)에는 소켓(130)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를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스크류 삽입공(117, 118)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배면벽(115)의 내면(116) 쪽에는 동심원호를 따라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돌기(121, 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121, 122)의 내주는 소켓(130)의 외주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돌기(121, 122)는 소켓(130)의 조립시에 정위치를 결정해주는 레지스트리의 역할을 한다. 즉, 소켓(130)의 조립시에 소켓(130)을 돌기(121, 122)의 안쪽에 삽입하면 소켓(130)의 중심은 배면벽(115)에 대해 항상 정위치에 배치되며, 그 상태에서 소켓(130)을 조금씩 돌려주면서 확인하면 소켓(130)에 형성된 스크류 삽입공을 배면벽(115)에 형성된 스크류삽입공(117, 118)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원통형 측벽(114)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고안은 측벽(114)의 형상이 원통형인 것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사각벽이나 기타의 다각벽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배면벽(115)에 천공된 스크류삽입공(117, 118)은 2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레지스트리의 역할을 하는 돌기(121, 122)가 소켓(130)의 외주에 꼭 맞게 배치되어 소켓이 움지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단지 하나의 스크류 삽입공만 천공되어 하나의 스크류만 조여도 무방하다.
돌기(121, 122)는 호각이 180도 이상인 원호를 따라 형성된 하나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정길이 이상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선형돌기가 아니라 원호를 따라 3점 이상에 형성된 점형 돌기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원호상에 형성된 돌기(121, 122)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반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원호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2개 이상의 원호를 따라 돌기가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원호의 곡률반경에 일치하는 외주를 갖는 소켓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원호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곡률반경이 작은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가 곡률반경이 큰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하우징(110)에는 전면(111)의 플랜지(112)로부터 연장된 연결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123)는 투광기(100)를 조명탑이나 가로등 설치용 폴 등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배면(113) 근처의 측벽(114)에는 급전선 인입공(124)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급전선 인입공(124)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용 급전선(131)이 인입되어 소켓(130)의 배선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켓(1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급전선(131)이 급전선 인입공(124)까지 최단거리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돌기(121, 122) 중의 하나의 중간 부분을 제거한 통과 틈새(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과틈새(125)는 급전선이 통과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급전선이 당겨져도 급전선이 더 이상 빠지지 않게 저지하는 저지부로서의 역할도 한다. 즉, 외부로부터 급전선을 인입하여 그 끝부분에 매듭을 형성하거나 저지클립을 물려둔 후에, 그러한 매듭이나 저지클립을 돌기(121, 122)의 안쪽에 배치해 두고 급전선의 단부를 소켓(130)의 배선에 연결해 두면, 외부에서 급전선을 당겨도 매듭이나 저지클립이 통과틈새(125)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급전선이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럼으로써, 급전선이 단선됨이 없이 소켓(130)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조립시에, 스크류 삽입공(117, 118) 및 급전선 인입공(124)에는 고무 패킹이 삽입되는 것이 양호하며, 투광기(100)의 설치시에는 급전선 인입공(124)이 지면을 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강우시의 방수적 측면에서 양호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사갓(170)이 하우징(110) 내에 수용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전면(111)의 플랜지(112)에 고정된 채로 외부에 노출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 고안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 하며, 하우징(110)이 좀더 크게 형성되고 반사갓(170)이 하우징(110) 내에 수용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반사갓(170)의 전면을 폐쇄하는 방진유리(190)는 반사갓(170)의 광학적 특성을 감안하여 적절한 곡률반경을 갖는 볼록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위에서는 이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이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이 것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이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부터의 변화나 조절 또는 변경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변화예나 조절예 또는 변경예를 이 고안의 보호범위로 하려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 고안에 따른 장착보조수단을 구비한 통형 하우징을 갖는 투광기는 방진성과 방수성이 탁월하고 생산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보관, 운반이 이 매우 용이하다.

Claims (5)

  1.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소켓과, 소켓 속에 끼워진 전구 및, 하우징의 전면의 플랜지에 고정된 반사갓을 포함하는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은 폐쇄된 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스크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벽의 내면에는 소켓의 조립시에 정위치를 결정해주는 레지스트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트리는 원호를 따라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동심 원호를 따라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중간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통과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삽입공은 배면벽에 천공된 2개 이상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
KR2020000029743U 2000-10-25 2000-10-25 투광기 KR200218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43U KR200218756Y1 (ko) 2000-10-25 2000-10-25 투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43U KR200218756Y1 (ko) 2000-10-25 2000-10-25 투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56Y1 true KR200218756Y1 (ko) 2001-04-02

Family

ID=7305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43U KR200218756Y1 (ko) 2000-10-25 2000-10-25 투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06B2 (en) LED lamp assembly
US20190346121A1 (en) Led light fixture with optional adjustable photoelectric control
JP6552956B2 (ja) 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US10690322B2 (en) Lamp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and waterproof performance
US5749648A (en) Lamp for decorative light strings
US6439750B2 (en) Barrier wall mounting plate for electrical fixture enclosure
KR200437241Y1 (ko) 조명등 구조
KR200218756Y1 (ko) 투광기
US10598362B2 (en) LED lamp with built-in power supply
CN210179516U (zh) 车灯
KR200236692Y1 (ko) 투광기
EP0798509A2 (en) Luminaire
KR100517051B1 (ko)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JP2009054499A (ja) 照明装置
KR200414660Y1 (ko) 가로등
KR200427251Y1 (ko) 가로등 투광기 위치 고정장치
JP7229123B2 (ja) 灯具伸縮構造、灯具、及び照明装置
CN218914640U (zh) 一种可置换模组明装筒灯
WO2008150288A1 (en) Lighting fixture assembly with track-extending rotation arm
CN215982385U (zh) 一种照明装置
CA2296441A1 (en) One piece molded component high mounted stop lamp
KR200442064Y1 (ko) 배전반용 조명등
CN209893242U (zh)
CN211780342U (zh) 一种led灯具
KR200272558Y1 (ko) 천정 매입등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