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52Y1 -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52Y1
KR200218752Y1 KR2020000029593U KR20000029593U KR200218752Y1 KR 200218752 Y1 KR200218752 Y1 KR 200218752Y1 KR 2020000029593 U KR2020000029593 U KR 2020000029593U KR 20000029593 U KR20000029593 U KR 20000029593U KR 200218752 Y1 KR200218752 Y1 KR 200218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harging
charging terminal
electrostatic dischar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5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충전기능을 구비한 고정장치의 충전단자 부위에 있어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충전단자 부위에 스위치를 추가하여 충전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기적/기구적으로 내부회로와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정전기적 방전에 의한 내부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전압조정부와; 휴대장치의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경로의 통전과 개방을 위한 스위칭부와; 휴대장치의 배터리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압조정부를 통과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단자로 이루어져,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단자에 가해지는 정전기적 방전이 고정장치의 내부회로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ostatic discharge of charging terminal in codeless telephone}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의 차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고정장치의 충전단자 부위에 있어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충전단자 부위에 스위치를 추가하여 충전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기적/기구적으로 내부회로와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정전기적 방전에 의한 내부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는 이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을 위하여 그 전원공급의 수단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재충전 배터리의 보편화에 따라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경우, 충전용 배터리의 전력용량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자주 충전하여야만 한다. 그래서 무선전화기의 사용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 또는 충전부를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의 경우는 고정장치에 휴대장치의 충전을 위한 충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부가 공급하는 전원으로 휴대장치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휴대장치의 충전을 위하여 고정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에 고정장치의 내부회로로 인입되는 정전기적 방전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시 충전단자에 가해지는 정전기적 방전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비되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11)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배터리(15)로 전달되어 충전되도록 하는 경로상에서 정전기적 방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무선전화기중 하나의 고정장치와 하나의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휴대장치를 충전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에 충전단자(13A, 13B)가 있고, 충전단자(13A, 13B)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 충전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는 충전단자(13A, 13B)가 PCB 기판 등의 내부회로에 선로, 충전 터미널 PCB의 직접삽입, 연결기(Connector)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휴대장치가 충전상태일 경우 뿐만 아니라, 충전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충전단자(13A, 13B)와 내부회로는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충전단자(13A, 13B)는 고정장치의 일정부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휴대장치의 단자(14A, 14B)와 접촉되어 휴대장치의 재충전 배터리(15)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전압조정부(12)에 의해 적정하게 조정되어 진다.
고정장치는 휴대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구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내부회로를 통해 충전단자에 회로적으로 연결시켜 두게 된다. 따라서 휴대장치의 충전여부에 무관하게 내부회로는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휴대장치의 충전을 수행하는 동작의 경우,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삽입하면 전원공급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단자를 통해 휴대장치의 배터리로 전달되는 체계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충전단자는 고정장치의 내부회로에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휴대장치를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충전단자에 정전기적 방전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 내부회로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충전단자에 정전기적 방전이 가해지게 되면, 충전단자쪽은 낮은 임피던스가 되어 상기 정전기적 방전이 고정장치의 내부회로쪽으로 전달됨으로써 내부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 등이 손상되는 경우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충전기능을 구비한 고정장치의 충전단자 부위에 있어서, 종래기술과는 달리 충전단자 부위에 스위치를 추가하여 충전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전기적/기구적으로 내부회로와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정전기적 방전에 의한 내부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는,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전압조정부와; 휴대장치의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경로의 통전과 개방을 위한 스위칭부와; 휴대장치의 배터리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압조정부를 통과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단자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도2에 의한 차단장치에서 스위칭부가 개방된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4는 상기 스위칭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전원공급부 22 : 전압조정부
23 : 스위칭부 24A, 24B : 충전단자
25A, 25B : 배터리 단자 26 : 배터리
31 : 플런저 32 : 플런저 돌기
33 : 지지대 34 : 후크 스위치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도2에 의한 차단장치에서 스위칭부가 개방된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4는 상기 스위칭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예는,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와; 상기 전원공급부(21)의 공급전원을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전압조정부(22)와; 휴대장치의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경로의 통전과 개방을 위한 스위칭부(23)와; 휴대장치의 배터리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압조정부(22)를 통과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단자(24A, 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제시하는 장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충전단자를 통하여 인입되는 정전기적 방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의 구현을 위한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충전단자와 내부회로간을 전기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3에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휴대장치를 삽입하여 충전하는 동작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장치에 휴대장치를 삽입하는 순간에 휴대장치에 구비된 배터리(26)의 +/- 단자(25A, 25B)가 고정장치의 충전단자(24A, 24B)에 각각 접촉한다.
그리고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에 삽입하는 경우에 스위칭부(23)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상기 스위칭부(23)의 동작제어는 휴대장치 자체의 중량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휴대장치가 충전단자(24A, 24B)에 삽입되어 그 자체의 하중이 상기 충전단자(24A, 24B)에 가해지면, 상기 충전단자(24A, 24B)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스위칭부(23)의 스위치를 통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부(23)의 스위칭 동작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충전단자(24A, 24B)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23) 자체의 복원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개방된다. 상기 설명한 스위칭부(23)의 동작체계는 전화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의 동작체계와 유사하다.
스위칭부(2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4에서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의 충전단자(24A, 24B)에 삽입되면, 플런저 돌기(31)가 하방으로 밀리면서 플런저(31)를 지지대(33)를 중심으로 하방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플런저 돌기(31)는 휴대장치가 삽입되는 충전단자(24A, 24B)의 적정부위에 구비하여 휴대장치의 삽입/이탈에 따라 상하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플런저(31)가 눌리면 후크 스위치의 상태전이가 일어나는 한편, 후크 스위치(34)는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1)에 가해지던 작용력이 제거되면 자체의 복원력으로 후크 스위치(34)가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31)도 상방으로 이동하는 체계로 작동한다.
상기 스위칭부(23)는 이중화된 선로 모두에 대해 ON/OFF 시킬 수 있도록 이중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위칭부(23)와 선로간 상호 대응관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있어서, 'PWR1' 선로측은 '스위치1'로 지칭하고 'GND1' 선로측은 '스위치2'로 각각 지칭한다.
충전단자(24A, 24B)와 배터리 단자(25A, 25B)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고 스위칭부(23)가 ON 되면, 고정장치의 내부회로측에 위치한 전원공급부(2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전압조정부(22), 스위칭부(23) 및 충전단자(24A, 24B)를 거쳐 배터리(26)로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전원에 의해 휴대장치의 배터리(26)가 충전된다.
이제 충전과정을 종료하고 고정장치로부터 휴대장치를 제거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설명한 스위칭부(23)의 동작체계에 따라 전화기의 오프 후크와 같은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 스위칭 동작을 호프 후크라 칭하기로 한다.
스위칭부(23)가 오프 후크되면, 스위치1/스위치2는 PWR1과 GND1로부터 각각 분리된다. 그러면 충전단자(24A, 24B)와 고정장치의 내부회로간에는 전기적인 접촉 매체가 없는 상태가 된다.
즉, 내부회로와 충전단자(24A, 24B)를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휴대장치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충전단자(24A, 24B)와 내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내부회로와 분리되어 있는 충전단자(24A, 24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충전단자(24A, 24B)에 외부의 정전기적 방전 또는 정전기적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충격이 내부회로로는 인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휴대장치의 삽입여부에 따라 내부회로와 충전단자간을 스위칭하기 위한 기능부를 더 둠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단자에 인가되는 정전기적 방전이 내부회로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는,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충전단자에 가해지는 정전기적 방전이 고정장치의 내부회로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충전단자측 정전기적 방전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 되는데, 본 고안을 적용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정전기적 방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전압조정부와;
    휴대장치의 충전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경로의 통전과 개방을 위한 스위칭부와;
    휴대장치의 배터리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압조정부를 통과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플런저를 상하방 동작시키기 위한 플런저 돌기와;
    상기 플런저 돌기에 연동하여 상하방 이동하면서 후크 스위치를 ON/OFF 시키기 위한 플런저와;
    ON/OFF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플런저가 눌리는 경우에 상태전이 및 복원력 보유가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에 가해지던 작용력이 제거되면 자체의 복원력으로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플런저를 상방이동시키는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압조정부에서 상기 휴대장치의 배터리 단자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상에서 2개의 선로 각각에 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이중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가 스위치를 통전시키고, 상기 휴대장치가 충전단자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가 스위치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KR2020000029593U 2000-10-24 2000-10-24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KR200218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93U KR200218752Y1 (ko) 2000-10-24 2000-10-24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93U KR200218752Y1 (ko) 2000-10-24 2000-10-24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52Y1 true KR200218752Y1 (ko) 2001-04-02

Family

ID=7309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593U KR200218752Y1 (ko) 2000-10-24 2000-10-24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5261Y1 (ko) 디지털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RU2226024C2 (ru) Улучшенный комплект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A2133127C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40014442A (ko) 휴대폰용 백업 밧데리
CN101853970A (zh) 一种通过通用串行总线接口充电的方法和装置
EP28846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battery thereof
KR200218752Y1 (ko) 무선전화기 충전단자의 정전기적 방전 차단장치
JP3830531B2 (ja) 電気及び/又は電子装置用蓄電池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通信端末
KR20060089223A (ko) 전원 공급 장치
CN101854068A (zh) 充电装置
CN101494924A (zh) 免关机置换电子卡的方法及通信装置
KR200396555Y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US5977657A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voltages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JPH11332219A (ja) 携帯tdma無線用の電圧アップコンバ―タ回路
KR100523899B1 (ko)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4342662B2 (ja) 二次電池装置
CN113541291B (zh) 一种具有电池切换功能的终端
CN211377642U (zh) 移动电源和充电系统
CN215009702U (zh) 一种强制断电装置、数据线及电子设备
CN218549547U (zh) 一种插入式通电装置、电池装置及终端设备
KR200181454Y1 (ko) 이중접촉 구조를 이용한 충전단자 구조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KR2005002392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0351258B1 (ko) 휴대용배터리로-급전되는전기장치용안전장치
JP2924405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