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26Y1 - 분리가능한 이중캔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이중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26Y1
KR200218626Y1 KR2020000028703U KR20000028703U KR200218626Y1 KR 200218626 Y1 KR200218626 Y1 KR 200218626Y1 KR 2020000028703 U KR2020000028703 U KR 2020000028703U KR 20000028703 U KR20000028703 U KR 20000028703U KR 200218626 Y1 KR200218626 Y1 KR 200218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s
drink
amount
couple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태
Original Assignee
주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태 filed Critical 주원태
Priority to KR2020000028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2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가 가능한 이중캔으로서, 상부캔과 하부캔이 각각 따개를 지니며 상부캔과 하부캔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은 상부캔과 하부캔이 사람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스크루우끼움 또는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상,하부캔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청결하고 적절한 양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고, 음료의 내용물을 각각 동일하거나 혹은 다르게 함으로써 1회의 구입으로 2인 이상이 각각의 양과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음료이용을 돕고 또한 동일인이 분리되지 않은캔을 구입할 경우에는 2회이상 나누어마셔 청량감을 높일 수 있으며, 두사람 이상이 분리되지 않은 캔을 구입할 경우에는 캔을 분리하여 각자의 양과 입맛에 맞추어 나누어 마실 수 있어 편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은 제품 고급화는 물론 캔용기를 게임 및 광고에 이용할 수 있어서 용기,용량의 다양화를 통한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매출의 급성장을 이룰 수 있다. 즉, 하나의 캔으로 나누어 마실 수도 있으며, 각각의 음료량과 입맛에 따라 상,하부 캔중 하나만 구입해도 된다는 광고효과 및 타사제품과 차별되는 제품으로 인한 판매증대를 가져오며,
소매상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상,하부캔이 결합된 일체로, 또는 상,하부캔을 각각으로 분리하여 판매가 가능하여 매출증가를 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안은 소비자, 중간소매인, 생산기업 모두에게 청결성,편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이중캔{separable double can}
본 고안은 분리가능한 이중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음료캔을 구입할 경우 청결하고 경제성있는 음료이용을 돕기위하여 상부캔과 하부캔이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도록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어 있는 이중캔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여러종류의 음료캔은 단일 용기에 단일종류의 음료와 일정하게 정해진 양만으로 채워져 있어서, 각자가 자기에게 맞는 양을 조절할 수 없고, 특히 맥주 또는 탄산음료는 개구를 한번 오픈했을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청량감으로 상당한 양을 버릴 뿐만 아니라, 단 한번의 구입으로 두가지 이상의 음료를 같이 마시거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생산자, 중간소매상, 소비자 모두가 편리하고 경제성있는 분리구조의 이중캔을 생산, 판매,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예를 들면, 상부캔에는 설탕이 첨가되어있는 커피와 하부캔에는 그렇지 않은 블랙커피를 결합시키거나, 사과쥬스와 갈아만든 배를 결합시키는 형태, 이온음료와 비이온음료를 결합시키는 형태, 알콜성 음료와 비알콜성 음료를 결합시키는 형태, 콜라와 사이다를 결합시키는 형태 등 다양한 결합 형태로 제품을 출시 함으로써, 두명이상이 하나의 음료를 구입할 경우에는 각자 구미에 맞는 음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한명이 하나의 음료를 구입할 경우에는 두가지 이상의 맛을 누릴 수 있거나 하나의 음료가 자기에게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부캔에 있는 내용물의 음료나 혹은 하부캔에 있는 내용물의 음료를 선택하여 구입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결합형태는 동일 내용물의 결합형태로도 가능하여 한명의 소비자가 자기의 양에 맞추어 분리하여 구입할 수도있으며, 분리하지 않고 구입할 경우에는 오랫동안 청량감을 유지하며 음료수를 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구조형 이중캔은 소비자에게 청결함,편리함과 경제성이 있음은 물론 새로운 상품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유발을 시킬 수 있으며 같은 가격대로 더 높은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또한 기업(생산자)은 하나의 캔으로 나누어 마실 수도 있으며, 각각의 음료량과 입맛에 따라 상,하부 캔 중 하나만 구입해도 된다는 광고효과, 예를 들어 '골라 먹는 맛이 있다. ', ' 나누어 먹으면 기쁨도 두배. ', ' 하나의 가격으로 두개를.' , ' 나는 먹을 만큼만 먹는다.', '나는 깨끗하게 먹는다.',' 쌍쌍캔', '게임을 즐기며 먹는 음료.' ,'음료수도 먹고 게임도 하고.',' 광고를 보면 음료를 싸게 드립니다.' 등의 광고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으며 타사제품과 차별되는 제품으로 인한 판매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매상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상,하부캔이 결합된 일체로, 또는 상,하부캔 각각으로 분리하여 판매가 가능하여 매출증가를 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분리되지 않은 형태로 구입 할 경우에는 다른 음료와 동일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소비자가 분리된 형태의 음료를 원할 경우에는 분리되지 않은 음료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가격보다 10원 내지 20원 정도를 소비자가 부담한다면 판매자나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경제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다른 음료를 구미에 맞게 구입하거나 자기에게 적절한 양의 음료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생산비 절감과 매출 증대 및 중간 소매상의 높은 수익 창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욱 복잡하고 자유로와진 식생활에 부응하여 새롭고 합리적인 음료문화에 부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청결한 음료의 이용을 돕고, 소비자가 자기에게 적절한 양의 음료를 구입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입으로 두가지 이상의 맛을 향유할 수 있거나 다른 사람과 위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경제적인 음료문화를 만들 수 있다.
다시말하면, 소비자의 구매욕구에 맞게 종래의 하나의 음료캔을 분리가능하게 함으로써, 청결하고 이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만족과 음료의 쓸데없는 낭비를 방지하여 적절하고 경제적인 소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으며, 기업(생산자)은 합리적인 매출증대로 이윤을 극대화하여 국민경제에 도움이 되는 기회가 된다.
도 1 은 본 고안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분리사시도,
도3 은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세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세로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결합부위의 상세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결합부위의 상세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전체사시도,
도 9 는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분리사시도,
도 11 은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세로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세로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결합부위의 상세단면도,
도 14 는 본 고안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결합부위의 상세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 상부캔 2,2': 하부캔
3,3': 따개 4,4': 상부캔의 하단부
5,5': 하부캔의 상단부 6,6': 스크루우
7,7': 엠보씽 8,8': 상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
9,9':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 10,10':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
11,11': 하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의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은, 상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8)과 하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에 각각 따개(3)를 가지고. 상부캔의 하단부(4)와 하부캔의 상단부(5)가 각각 기밀을 유지하며 분리용이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은 상부캔의 하단부(4)와 하부캔의 상단부(5)는 사람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크루우(6)끼움 또는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결합 부위인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에 광고 및 게임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리구조의 청결형 이중캔은,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에 각각 따개(3′)를 가지고 상부캔의 하단부(4′)와 하부캔의 상단부(5′)가 각각 기밀을 유지하며 분리용이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은 상부캔의 하단부(4′)와 하부캔의 상단부(5' )는 사람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크루우(6′)끼움 또는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광고 및 게임형 이중캔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캔(1)과 하부캔(2)이 사람이 분리용이 하도록 스크루우(6)끼움 또는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8)과 하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11)에 각각 따개(3)를 가지고 있다.
도 2 는 스크루우(6)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광고 및 게임형의 분리가능한 이중캔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 은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광고 및 게임형의 분리가능한 이중캔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 는 스크루우(6)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광고 및 게임형의 분리가능한 이중캔의 세로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을 이용하여 광고 및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에 자사의 홍보나 기타 광고주의 광고문구나 그림을 그려넣어 광고 및 게임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의 면부분에 가위,바위,보를 그려 넣거나 주사위 숫자를 그려넣는 등 둘이 승부를 내어 즐길 수 있는 여러가지 게임을 그려넣어 이중캔을 구입할 경우에 둘이서 게임을 통한 흥미를 유발하여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타 광고주의 광고를 유치할 경우 광고수입은 매우 크며, 이러한 광고수입은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마케팅이 가능하다.
도 5 는 엠보씽(7)으로 결합되는 광고 및 게임형의 분리가능한 이중캔의 세로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도 7 은 상기 도 4, 도 5 에서 스크루우(6)끼움 과 엠보씽(7)끼움 결합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은 본 고안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전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부캔(1′)과 하부캔(2′)이 사람이 분리하기 용이하게 스크루우(6′)끼움 또는 엠보씽(7′)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9 는 스크루우(6′)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 은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1 은 스크루우(6′)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세로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9′)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10′)에 각각 따개(3′)가 있고, 상부캔의 하단부(4′)와 하부캔의 상단부(5′)가 스크루우(6′)끼움 또는 엠보씽(7′)끼움 방식으로 서로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하고 있어서 종래의 캔에서 나타날 수 있는 따개 부위에 이물질이 뭍어 음료수를 마실때의 불결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2 는 엠보씽(7′)으로 결합되는 분리가능한 청결형 이중캔의 세로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 과 도 14 는, 도 11 과 도 12 에 도시되어 있는 스크루우(6′)끼움 과 엠보씽(7′)끼움 결합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 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청결한 음료를 즐길 수 있으며, 음료량을 적절하게 맞출 수 있다. 다시말하면, 음료의 내용물을 각각 다르게 혹은 동일하게 함으로써, 1회의 구입으로 2인 이상이 각각의 양과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음료이용을 돕고 또한 한명이 분리되지 않은 캔을 구입할 경우에 2회이상 나누어마셔 청량감을 높일 수 있으며, 두사람 이상이 분리되지않은 캔을 구입할 경우에는 각각 분리하여 각자의 양과 입맛에 맞추어 나누어 마실 수 있어 편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은 제품의 고급화 및 캔용기의 게임 및 광고의 활용 등 용기,용량의 다양화를 통한 신제품 개발로 매출의 급성장 뿐만아니라, 세계의 음료 시장에서 최고의 시장점유율 확보가 가능 할 것이다. 즉 하나의 캔으로 나누어 마실 수도 있으며, 캔 구입으로 광고도 보며 게임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음료량과 입맛에 따라 상,하부 캔 중 하나만 구입해도 된다는 광고효과 및 타사제품과 차별되는 제품으로 인한 판매증대를 가져올 것은 명백하며,
소매상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상,하부 캔이 결합된 일체로, 또는 상,하부 캔 각각으로 분리하여 판매가 가능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매출증가를 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안은 소비자, 중간소매상, 생산기업 모두에게 편리성과 경제성을 향상 시키는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상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과 하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에 각각 따개를 가지고 상부캔의 하단부와 하부캔의 상단부가 각각 기밀을 유지하며 분리용이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부캔의 하단부와 하부캔의 상단부는 사람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크루우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부캔의 하단부와 하부캔의 상단부는 사람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결합 부위인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에 광고 및 게임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5. 상부캔의 하단부의 하단면과 하부캔의 상단부의 상단면에 각각 따개를 가지고 상부캔의 하단부와 하부캔의 상단부가 각각 기밀을 유지하며 분리용이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부캔의 하단부와 하부캔의 상단부는 사람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크루우끼움 또는 엠보씽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의 이중캔.
KR2020000028703U 2000-10-14 2000-10-14 분리가능한 이중캔 KR200218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03U KR200218626Y1 (ko) 2000-10-14 2000-10-14 분리가능한 이중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03U KR200218626Y1 (ko) 2000-10-14 2000-10-14 분리가능한 이중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626Y1 true KR200218626Y1 (ko) 2001-04-02

Family

ID=7305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703U KR200218626Y1 (ko) 2000-10-14 2000-10-14 분리가능한 이중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425A (ko) * 2005-02-11 2005-03-07 박소은 다중 용기
KR100853811B1 (ko) * 2005-05-23 2008-08-22 노리 가부시키가이샤 이지 오픈 형 깡통과 그의 개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425A (ko) * 2005-02-11 2005-03-07 박소은 다중 용기
KR100853811B1 (ko) * 2005-05-23 2008-08-22 노리 가부시키가이샤 이지 오픈 형 깡통과 그의 개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sher et al. Brewing scienc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Priyadarshini et al. Market dimensions of the fruit juice industry
Thomas Elements influencing wine purchasing: a New Zealand view
KR200218626Y1 (ko) 분리가능한 이중캔
Paschen et al. À votre santé–conceptualizing the AO typology for luxury wine and spirits
WO2023000809A1 (zh) 一口装原浆酒、组件及基于品酒习惯的个性化预定方法
Levin Soda and Fizzy Drinks: A Global History
Insights South Korea
Somavarapu et al. A consumer survey on preferences of soft drinks in different stages of adolescence
Madar Elements of design and aesthetics on the beer market in Romania. Case Study: Tuborg
KR20020072425A (ko) 분리 가능한 이중캔
Insights Slovenia
Insights Serbia
Suhag Func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Shifts in the purchasing patterns of non-alcoholic beverages
Mosher et al. Introduction to brewing science
Priyadarshini Market dimensions of industrial juice production
Rozhko Consumer preferences on the Ukrainian market of liqueurs. The review
CN202193246U (zh) 自勾兑黄酒双液瓶
Saini et al. HAMDARD LABORATORIES: LAUNCH OF ROOH AFZA FUSION INTO THE READY-TO-DRINK SEGMENT.
Bottler Pulque: Market Analysis of a Traditional Mexican Beverage and its Commercialization Prospects in Germany
KR200209493Y1 (ko) 광고 기능을 겸비한 용기류
Bjergso et al. Mikkeller's Book of Beer
Suhag An empirical study on new outlook in the product development of beverages
Hu Soft drinks report 2011: South African Beverage Review: July 2011, Volume 1, Number 4
Rowles Processed apple product marketing analysis: apple juice and c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