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526Y1 -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526Y1
KR200218526Y1 KR2020000030046U KR20000030046U KR200218526Y1 KR 200218526 Y1 KR200218526 Y1 KR 200218526Y1 KR 2020000030046 U KR2020000030046 U KR 2020000030046U KR 20000030046 U KR20000030046 U KR 20000030046U KR 200218526 Y1 KR200218526 Y1 KR 200218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ver
main body
sides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식
Original Assignee
임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식 filed Critical 임우식
Priority to KR2020000030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52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12)와 버튼부(14)가 설치된 본체와 스피커(22)가 설치된 덮개부(20)가 접혀지는 구성으로 된 통상적인 폴더형 휴대전화에 있어서; 덮개부(20)의 내측면에는 작동체삽입부(30)를 형성하여 덮개부(20)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덮개부(20) 외측면에 투명창(20)을 부착하고, 본체(10)의 버튼부(14) 양측에는 슬라이드홈(4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안내장홈(42)을 형성하여 화면창(50)이 설치된 작동체(60)를 본체(10)와 덮개부(20) 사이에 장치하되 작동체(6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각(62)에는 로울러(62a)를 설치하여 이 로울러(62a)가 본체의 안내장홈(42)에 끼워지게하고 작동체(60) 상단부 양측에는 돌편(64)을 형성하여 이 돌편(64)이 작동체삽입부(30) 양측의 안내장홈(34)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작동체가 덮개부의 작동에 의해 전개되거나 매입되게 하며 전화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도 전화기의 바깥쪽에서 화면창 전체를 식별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활용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Display installation structure of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더형 휴대전화의 화면창을 슬라이드식으로 전개되는 작동체에 설치하여 휴대전화의 덮개를 펼치면 화면창을 설치한 작동체가 전개되고, 덮개를 닫으면 작동체가 투명창을 외부에 설치한 덮개 내부에 끼워져서 휴대전화의 덮개를 열지않고도 작동체에 설치된 화면창을 휴대전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서 휴대전화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라고 불리우는 셀룰러폰(Cellular-Phone)은 그 형태에 따라 버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바(Bar)형과 버튼부부분에 뚜껑이 설치된 플립 (Flip)형, 그리고 본체와 덮개부를 반으로 접는 형태로 된 폴더(Folder)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이나 보관의 편리함등을 이유로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플립이나 폴더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폴더형 휴대전화는 전화기 전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기때문에 휴대성에서의 탁월한 이점으로 인하여 점차 사용자층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플립형과는 달리 폴더형은 몸체 자체를 작게 제작하기때문에 화면창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뿐 만 아니라 화면창이 주로 전화기 본체의 내측면이나 덮개부의 내측면에 설치되기때문에 반으로 접는 전화 자체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전화를 접으면 화면창을 확인할 수 없기때문에 배터리의 충전상태나 메시지 도착 여부등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때문에 최근에는 폴더형 전화기의 내측면에 설치된 화면창외에 덮개부의 바깥쪽 면에 별도의 소형 화면창을 설치하여 전화기의 주요 핵심기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가 시중에 판매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전화기의 경우 두 개의 화면창을 설치하므로서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많이들기때문에 전화기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소모량도 많아서 사용시간도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폴더형 휴대전화 덮개의 내측면에는 투명창이 부착되어 덮개부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작동체삽입부를 형성하고 이 작동체삽입부와 본체에 각각 안내장홈을 설치하여 화면창이 설치된 작동체가 작동체삽입부와 본체에 설치된 안내장홈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면서 덮개의 여닫음에 의해 전개되거나, 덮개의 작동체삽입부내에 삽입되어 전화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덮개부 외부에서 화면창 전체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동체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폴더형 휴대전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전화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체가 휴대전화의 덮개부에 형성된 작동체삽입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 도 6, 도 7은 본 고안에서 휴대전화의 덮개부가 펼쳐짐에따라
작동체의 전개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마이크
14 : 버튼부 20 : 덮개부
22 : 스피커 30 : 작동체삽입부
32 : 투명창 34 : 안내장홈
40 : 슬라이드홈 42 : 안내장홈
50 : 화면창 60 : 작동체
62 : 지지각 62a : 로울러
64 : 돌편
마이크(12)와 버튼부(14)가 설치된 본체와 스피커(22)가 설치된 덮개부(20)가 접혀지는 구성으로 된 통상적인 폴더형 휴대전화에 있어서; 덮개부(20)의 내측면에는 작동체삽입부(30)를 형성하여 덮개부(20)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덮개부(20) 외측면에 투명창(20)을 부착하고, 본체(10)의 버튼부(14) 양측에는 슬라이드홈(4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안내장홈(42)을 형성하여 화면창(50)이 설치된 작동체(60)를 본체(10)와 덮개부(20) 사이에 장치하되 작동체(6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각(62)에는 로울러(62a)를 설치하여 이 로울러(62a)가 본체의 안내장홈 (42)에 끼워지게하고 작동체(60) 상단부 양측에는 돌편(64)을 형성하여 이 돌편 (64)이 작동체삽입부(30) 양측의 안내장홈(34)에 끼워지게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폴더형 휴대전화의 덮개부(20)를 펼치게되면 덮개부(20)와 본체(10)사이에 설치된 작동체(60)가 전개되면서 버튼부(14)가 노출되어 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되며, 덮개부(20)를 접으면 화면창(50)이 설치된 작동체(60)가 덮개부(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체삽입부 (30)로 삽입되므로서 작동체삽입부(30) 외부에 형성된 투명창(32)을 통해 전화가 접힌 상태에서도 작동체(60)에 설치된 화면창(50)을 식별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휴대전화의 화면창(50)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전화와 같이 본체(10)나 덮개부(20)의 내측면 또는 덮개부(20)의 외측면에 설치된 것이 아니라 본체(10)와 덮개부(20) 사이에 설치된 별도의 작동체(60)에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휴대전화의 덮개부(20)가 본체(10)에 접혀있으면 덮개부(20)와 본체(10) 사이에 설치된 작동체(60)가 덮개부(20)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체삽입부(30)에 삽입되게되는데, 이 작동체삽입부(30)는 덮개부(20)의 외측면에 투명창(32)이 형성되어 덮개부(20)의 외측면에서 작동체삽입부(30)의 안쪽을 식별할 수 있기때문에 전화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도 투명창(32)을 통해 작동체삽입부(30)에 삽입되어있는 작동체(60)상의 화면창(50) 확인이 가능하므로서 휴대전화의 배터리충전상태뿐 만 아니라 각종 문자나 기호, 메시지전송 식별등 화면창(50)에 표시되는 모든 내용을 덮개부(20)를 펼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 도 6, 도 7에서와 같이 본체(10)에 접혀있는 덮개부(20)를 펼치게되면 덮개부(20)의 내측면의 작동체삽입부(30)에 삽입되어있던 작동체(60)가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전개되는데 이 작동체(60)는 하부 양측에 지지각(62)이 형성되어 이 지지각(62) 단부에 설치된 로울러(62a)가 본체(10)의 슬라이드홈(40) 하부에 형성된 안내장홈(42)에 끼워져 있으며, 작동체(60)의 상단부 양측에는 돌편(64)이 형성되어 이 돌편(64)이 작동체삽입부(30) 양측에 형성된 안내장홈(34)에 끼워져 있기때문에 덮개부(20)가 점차 펼쳐지게되면 작동체삽입부(30) 양측의 안내장홈(34)에 끼워진 작동체(60) 상단부 양측의 돌편(64)에 의해 작동체 (60)가 당겨지면서 덮개부(2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끌려가게되며 이로인해 작동체 (60)에 가려있던 버튼부(14)들이 노출되어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덮개부(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화면창(50)이 설치된 작동체(60)는 상부가 들어올려져 기울어진 상태가되어 시각적으로 화면창(50)을 보기에 편안한 각도를 유지할 뿐 만 아니라 본체(10)의 버튼부(14)가 완전히 노출되므로서 휴대전화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뿐 만 아니라 화면창(50)이 본체(10)나 덮개부(20)에 설치되지않고 본체(10)와 덮개부(20)간에 별도로 설치되는 작동체(60)에 장치되므로서 화면창(50)의 크기를 대형화 할 수 있어 앞으로 휴대전화의 무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시행될경우 휴대전화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출력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한번에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화면창을 별도의 작동체에 설치하여 이 작동체가 덮개부의 작동에 의해 전개되거나 매입되게 하므로서 폴더형 휴대전화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도 전화기의 바깥쪽에서 화면창 전체를 식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 만 아니라 화면창을 대형화할 수 있으므로 전화기의 활용성 면에서 탁월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마이크(12)와 버튼부(14)가 설치된 본체와 스피커(22)가 설치된 덮개부(20)가 접혀지는 구성으로 된 통상적인 폴더형 휴대전화에 있어서; 덮개부(20)의 내측면에는 작동체삽입부(30)를 형성하여 덮개부(20)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덮개부(20) 외측면에 투명창(20)을 부착하고, 본체(10)의 버튼부(14) 양측에는 슬라이드홈(4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안내장홈(42)을 형성하여 화면창(50)이 설치된 작동체(60)를 본체(10)와 덮개부(20) 사이에 장치하되 작동체(6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각(62)에는 로울러(62a)를 설치하여 이 로울러(62a)가 본체의 안내장홈 (42)에 끼워지게하고 작동체(60) 상단부 양측에는 돌편(64)을 형성하여 이 돌편 (64)이 작동체삽입부(30) 양측의 안내장홈(34)에 끼워지게 한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KR2020000030046U 2000-10-27 2000-10-27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KR200218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46U KR200218526Y1 (ko) 2000-10-27 2000-10-27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046U KR200218526Y1 (ko) 2000-10-27 2000-10-27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526Y1 true KR200218526Y1 (ko) 2001-04-02

Family

ID=7309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46U KR200218526Y1 (ko) 2000-10-27 2000-10-27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5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44B1 (ko) * 2001-09-26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시디 장치
KR100664169B1 (ko)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44B1 (ko) * 2001-09-26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시디 장치
KR100664169B1 (ko)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JPH11215218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BRPI0317877B1 (pt) Mecanismo de abertura com auto-operação para utilização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KR100747539B1 (ko)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KR200218526Y1 (ko) 휴대전화의 화면창 설치구조
KR20030037689A (ko) 무선 전화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10028987A (ko) 폴더형 휴대폰
KR200276811Y1 (ko) 회전 폴더형 휴대폰
CN216291052U (zh) 组合式带支架手机保护套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200372928Y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모듈 고정구조
KR200230378Y1 (ko) 이동통신기기의 이중덮개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30056443A (ko) 확장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230377Y1 (ko) 폴더형 휴대폰 덮개
KR100984398B1 (ko) 폴더/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257663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JP2005159390A (ja) 折り畳み型携帯通信端末機
KR200276067Y1 (ko) 배면 폴더형 휴대폰
KR200214784Y1 (ko)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28236A (ko) 보조 덮개를 구비한 슬라이드 휴대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85814A (ko) 휴대전화기
KR100713855B1 (ko) 다기능 휴대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